SK 공유기 WOL - SK gong-yugi WOL

 안녕하세요 페넌섭 문학채널에 서식중인 '하레와구우' 입니다.

사실 프야매팁이라기 보다는 PC사용팁에 가깝지만 이번 이벤트처럼 PC접속을 강요하여 

참여하지 못하는 분들이나 원격에서 매크로를 돌리고자 하는 분들을 위해 올려봅니다.

1. 스마트폰으로 부팅

원격으로 PC를 부팅하는데에는 WOL(Wake On Lan)기능을 사용하는데 여기에는 몇가지 조건이 붙습니다.

- 메인보드에서 WOL 기능을 지원 할 것.

- 컴퓨터와 인터넷을 사용하는 데 필요한 전원이 공급되어야 할 것.

- 공유기에서 WOL 기능을 지원 할 것.

(유동아이피가 아닌 고정아이피를 사용 할 경우 공유기가 없어도 된다고 합니다.)

위 조건들을 만족 할 경우 랜선으로 컴퓨터에 신호를 보내 컴퓨터 부팅을 할 수 있습니다.

1)윈도우 설정

제어판-장치관리자 실행 후 네트워크 어댑터에 자신의 랜카드를 선택해줍니다.

SK 공유기 WOL - SK gong-yugi WOL

고급탭으로 이동 후 WOL 관련 설정(Wake on Magic packet, 패턴일치)을 모두 사용으로 바꿔줍니다.

SK 공유기 WOL - SK gong-yugi WOL

전원관리 탭으로 이동하여 '전원을 절약하기~ 끌 수 있음' 항목 체크 해제

SK 공유기 WOL - SK gong-yugi WOL

2)CMOS 설정

CMOS진입 후 PME 관련 설정이나 WOL설정,Onboard Lan Boot 설정에 Enable 후 저장.

메인보드마다 모두 CMOS 설정 화면이 다르기때문에 어느 하나가지고 설명을 할 수 없네요 ㅋ;

본인이 사용하는 메인보드의 메뉴얼을 참조하시는거나 아래를 그림을 참조하세요


3)공유기 설정

SK브로드밴드나,KT인터넷을 사용하시는 분들에게 제공하는 공유기에서도 이기능을 제공하긴 

합니다만(안하는 모델도 있습니다 제꺼같은....) 

iptime공유기 기준으로 설명 하겠습니다.

- 접속포트 설정

외부에서 집공유기로 접근하기 위한 포트설정입니다.

좌측에 고급설정 - 보안기능 - 공유기 접속관리 이동

원격관리포트 사용 체크 및 빈칸에 사용할 포트번호 작성 후 적용 클릭

SK 공유기 WOL - SK gong-yugi WOL

- DMZ설정

포트포워딩 설정으로도 가능하긴 하지만 여기선 DMZ설정으로 하겠습니다.

고급설정 - NAT/라우터 관리 - DMZ/Twin IP 설정 이동

DMZ 항목 체크 후 내부 IP주소란에 본인PC의 IP를 적어넣고 적용 클릭

('현재 ~ 주소로 설정'에 체크하면 현재 사용하는 PC IP주소가 들어갑니다.)

- WOL 설정

원격 부팅할 PC의 랜카드 MAC주소를 설정합니다.

고급설정 - 특수기능 - WOL기능 이동 

'현재 접속된 PC의 MAC주소로 설정' 체크하여 MAC주소를 입력하고 추가버튼 클릭 

- DDNS 설정

사실 고정아이피를 사용하고 있다면 위 순서까지만 해도 원격부팅은 가능합니다만.

KT나 SK브로드밴드같은 인터넷 사업체로부터 서비스를 받는 개인사용자들은 

DHCP를 통해 유동아이피를 받게됩니다. 이때 본인이 할당받은 외부IP가 변경이 되더라도

공유기 접속을 가능하게 해주기 위해 DDNS 설정을 해줍니다. 

고급설정 - 특수기능 - DDNS 설정 이동

호스트 이름에 임의의주소.iptime.org 입력(입력하는 임의의주소를 다른사람이 사용하고있다면 

등록이 안되니 안겹칠만한 주소로사용)

사용자 계정에 본인 이메일 주소 입력(비밀번호 찾을때 사용하니 정확히 입력합니다.)

사용자 암호 입력 후 추가를 누르면 아래 상태창이 '등록 시도 중'이라고 나올텐데 쫄지마시고 ㅋ

수분후에 접속상태 다시보기를 누르면 '정상 등록'이라고 나올겁니다. 스샷의 접속상태는 무시하세요 ㅋㅋ

4)스마트폰 설정

앱스토어나 구글플레이에서 iptime wol 어플을 찾아서 설치합니다.

설치 후 실행하면 이런 화면이 나오는데 home은 제가 이미 만들어 둔 것이기 때문에 무시하시고

공유기 수동추가 클릭!!

아래와 같이 공유기에서 설정했던 포트및 DDNS 설정 정보들을 입력 후 공유기 연결 클릭하면

위 화면과 같이 본인이 설정한 공유기 아이콘이 맨위에 나타납니다.

'home' 폴더로 이동 후 새PC 자동추가 클릭!(맨위에 집PC는 만들어 둔거니 무시하세요 ㅋ)

공유기 설정이 제대로 되어 있다면 이렇게 공유기와 연결된 PC가 표시가 됩니다.

PC를 추가하시고...

추가된 PC를 클릭하시면 아래와같은 대화창이 나타나며 '예'를 누르면

원격 부팅 완료! 

참고로 테스트 할땐 와이파이뿐만 아니라 꼭 3G망이나 LTE 망으로 접속이 되는지 확인해 봐야합니다.

2. 스마트폰으로 접속하기

이제 부팅을 했으니 접속을 해야겠죠? 접속을 하기위해선 원격제어 프로그램이 필요합니다.

몇가지 원격제어 프로그램이 있지만 여기선 많이 알려진 팀뷰어를 사용할게요.

설치과정은 생략ㅋㅋ  설정부터 설명할게요.

팀뷰어를 실행하게 되면 이런 화면이 나오는데요 가운데 절반으로 나눠서 

원격 제어 허용은 원격제어를 받고자 하는대상(집PC) 에서 하는 설정

원격 컴퓨터 제어는 원격제어를 사용할 스마트폰,외부PC 에서 하는 설정 입니다.

실행을 하면 자동으로 원격제어허용의 귀하의ID와 비밀번호가 입력되는데 

아이디만 기억해두시고 아래 개인비밀번호 설정을 눌러 개인비밀번호를 설정

비밀번호 입력후 다음을 누르고

계정을 만들기 원하지 않는다 체크하고 끝냅니다.

여기까지하면 집PC 설정은 끝난겁니다.

다음은 스마트폰 설정입니다.

파트너ID 입력하는곳에 위에서 설정했던 귀하의ID를 입력후 원격제어를 누릅니다.

위에서 따로 설정한 개인비밀번호를 입력하고 ok를 누르면...

이렇게 접속이 됩니다.

할땐 내용 얼마 안되니 금방하겠지 했는데 중간에 쓰다 블루스크린땜시 날아가고.. 

인벤 사진첨부 5장 제한땜시 다시 편집하느라 엄청 걸렸네요..

부디 많은 분들에게 도움이 되었으면 합니다. 

PS.원격제어로 접속시 시간이 지날수록 많이 느려지고 3G나 LTE망으로 접속시 오래사용하면

데이터사용량 많이 나오니. 이벤트 참여나 매크로 돌릴때만 잠깐씩 쓰세요!! ㅋㅋ