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람의 체온은 몇도? - salam-ui che-on-eun myeochdo?

사람의 체온은 몇도? - salam-ui che-on-eun myeochdo?
[Tony Cenicola/The New York Times]

1851년 섭씨 37도가 정상 체온의 기준으로 정해져
데이터베이스 분석 결과 10년마다 0.03도씩 하락
위생환경·의학 발달 등···오늘날은 36.4도에 가까워

사람들의 체온은 몇 도가 정상적인가? 역사적으로 보면 인간의 체온은 아주 조금씩 내려가고 있는 것 같다.

섭씨 37도, 화씨로는 98.6도가 사람의 정상 체온의 기준이라고 정해진 게 1851년이었다. 그 이후로 인간의 체온 평균치는 꾸준히 감소하는 경향을 보여왔다.

연구자들은 다음의 3가지 데이터베이스를 분석했다. 첫 번째는 1862년부터 1930년 사이에 미 남북전쟁 참전자들을 대상으로 측정한 2만3,710건의 체온 자료, 두 번째는 1971년부터 1975년 사이 측정된 전국 건강 설문조사에 나타난 1만5,301건의 체온 자료, 그리고 세 번째는 스탠포드대의 데이터베이스에 저장된 2007년에서 2017년까지 사이 측정된 15만280건의 체온 자료다. 이 분석 결과는 e라이프(eLife)에 실렸다.

전반적으로 사람의 평균 체온은 10년 마다 섭씨로는 0.03도, 화씨로는 0.05도씩 내려간 것으로 나타났다. 측정 방법이나 도구의 차이가 이같은 감소 추세에 영향을 미친 것은 아닌 것으로 보인다. 각각의 데이터베이스마다 매년 감소 추세가 명확하게 나타났고, 또 체온 측정 방법과 도구가 동일했던 현대의 2가지 데이터베이스에서 나타난 감소치가 서로 똑같았던 것이다.

왜 이렇게 사람의 평균 체온이 내려가는 현상이 나타나고 있는지는 분명치 않다. 하지만 과학자들은 위생 환경이 급격히 개선된 점과 의료 및 치과 검진 발달로 만성적인 염증 발병이 줄어든 점, 그리고 현대적인 냉난방이 체온을 일정하게 유지하는 것을 가능하게 하고 있어 이것이 신진대사율을 낮추고 있다는 점 등으로 체온 감소를 설명하고 있다. 오늘날 사람의 정상 체온은 전통적인 화씨 98.6도(섭씨 37도)보다는 화씨 97.5도(섭씨 36.4도)에 더 가깝다.

이번 분석 연구를 이끈 스탠포드 대학의 의학교수 줄리 파스넷 박사는 “우리는 미국의 자료들을 분석한 것으로, 다른 국가들의 자료들에서도 이러한 경향이 나타나는 지를 조사해야 한다”고 말했다. 그는 이어 “우리는 생리적으로 진화하고 있는데 이것이 정확히 무엇을 의미하는지는 아직 잘 모으며, 어떤 방식으로 이를 살펴봐야 하는지도 고민해봐야 한다”고 말했다.<By Nicholas Bakalar>

사람의 체온은 몇도? - salam-ui che-on-eun myeochdo?

시카고 한인사회 선도언론 시카고 한국일보
615 Milwaukee Ave Glenview, IL 60025

감성적인 한의사 트리플제이가
진료를 하다보면
의외로 사람들은 36.5도만을
정상 체온으로 생각하는 경우를 많이 본다.

 과연 정상 체온의 범위는
어디서 어디까지 일까?

사람의 체온은 몇도? - salam-ui che-on-eun myeochdo?


일단 이 표를 보면
정상체온의 범위가 35.9도~ 37.5도로
매우 폭이 큰 것을 알 수 있다.

(물론 어디서 쟀느냐에 따라 다르다)

보통 직장이 다른 곳보다 높게 나온다.


사람의 체온은 몇도? - salam-ui che-on-eun myeochdo?

사실 정상적인
사람의 체온이라는 것은
하루중에도 여러번 변한다. 

이것이 정상적인 몸의 생리 현상이다.



그리고 또 중요한 것은

나이에 따라
 정상체온이 다르다는 것이다.

사람의 체온은 몇도? - salam-ui che-on-eun myeochdo?


이 그림은 화씨로 되어있어서
설명이 좀 어려 울 수 있겠다. 


사람의 체온은 몇도? - salam-ui che-on-eun myeochdo?


표에서 C로 되어있는 부분이
한국에서 쓰는 섭씨 온도이니 이 표를 참고하자


표를 보면 
나이가 들수록
기초 체온이 떨어지는 경향이 보인다.

사람의 체온은 몇도? - salam-ui che-on-eun myeochdo?


엄밀히 말하면 위의 표와 같이
소아도 나이대에
따라 정상 체온을
좀 더 세부적으로
분류 해 볼수 있다.

신생아를 제외하고 10세 이하의 소아는

36.7도~37.2도 정도로
성인보다 조금 더 높은게 정상이다.

태어난지 돌이 안된 소아는
정상체온이 37.5도 이상인것이 흥미롭다.


혹시 아이의 열을 쟀을때
36.5도 보다 높다고 걱정하지 않아도 된다.


소아(小兒)는 양물(陽物)이라는
표현이 있는데
소아는 양기가 많아서
열도 많고 땀도 많다는 말이다.

사람의 체온은 몇도? - salam-ui che-on-eun myeochdo?



3세 이상의 소아는
잘 자고 끙끙 앓지 않는다면
39도 이하에서
해열제부터 먹일 필요가 없다
.


대부분 자연스럽게 떨어지며
몸에서 열을 내는 것이
바이러스등으로부터
저항하는 과정이다.

물론 열 외에 다른 증상은 없는지
면밀히 관찰하여야 하며
더 오른다면 즉각 해열제 투여를
고려해여야 한다.


열이 오르면 과잉반응 할 필요는 없지
증상을 잘 살피고 필요에 따라
의료인의 도움을 받자.

-

그리고 트리플제이의 경험상
체온이 실제보다 조금 높게 나오는 체온계가 많다.

(실제보다 낮게 나와서 약이 투여 안되었을 때
생기는 문제 때문에 차라리
높게 세팅해놓은게 아닐까.. )

아이를 키우는 부모라면
다음 포스팅을  참조하자


https://blog.naver.com/rascon/220759189184

-

소아의 열 뿐 아니라
성인의 체온도 중요하다.

사람에 따라 열대사의 차이가 있고
기초체온이 천차만별인데

기초체온이 낮을 수록
면역력이 떨어진다는 것은
어느정도 정설로 자리잡아가고 있다.

-

실제로 36도 이하로 떨어지면 알레르기가 발생하고
자율신경에 교란이 올 정도로

저체온이 우리몸에 미치는 영향은 크다.

-

저체온과 암과의 상관관계도 많은데
저체온이 암 치료를 늦추고
암 발병을 높힌다는 연구 결과들이 있다.

-

또 트리플제이의 임상 경험상
생리적인 체온이 낮은 사람일수록
체력이 빨리 떨어 지는 경향을 보인다. 

특히나
중년 이상의 여자 환자들에게
몸이 차가운 경향이 많이 보이는데

트리플제이는
몸의 열을 보충해주는
한약이나 차를 복용 시켰을때 
환자 대다수가
 전체적인 몸상태 호전을 보였다.

-

특히나 수족냉증이나 몸의 냉증은
생활 환경과 소화기 건강을 잘 봐야 한다.

(English) BODY TEMPERATURE | NORMAL RANGE | VARIATION | REGULATION MECHANISM

사람의 체온은 몇도? - salam-ui che-on-eun myeochdo?

저체온은 몇도?

직장 체온이 35℃ 미만일 경우를 저체온증이라고 합니다. 온도에 따라 3단계로 구분합니다. 32℃~35℃가 경도, 28℃~32℃가 중등도, 28℃ 미만이 중도입니다. 신체의 매우 많은 요인이 열 손실을 예방하는 방어 기전에 영향을 미칩니다.

정상체온은 화씨 몇도?

어린이는'고열'보다 열 상승 속도가 문제 그렇다면 인간의 체온은 얼마가 정상일까. 대부분의 의사들은 화씨 98.6정상체온으로 본다. 섭씨로는 37도다.

강아지 체온은 몇 도야?

강아지 정상 체온은 사람보다 조금 더 높은 37.5°C~39.1°C 사이입니다. 강아지 체온이 변하는 원인은 주변 온도, 질병, 약물 부작용 등으로 매우 다양한데요. 만약 강아지 체온이 37.2°C 이하라면 저체온증, 39.5°C 이상이라면 열이 난다고 볼 수 있습니다.

화씨 97도는 섭씨 몇도?

- 화씨 104도는 외우기 쉽다: 섭씨 40. 물론 화씨 97도~99도가 정상 체온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