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진 원본 찾기 - sajin wonbon chajgi

덕질

이미지 검색 사이트 (부제 : 이것만 알면 너도 망가 찾기 마스터!)

1. 구글 이미지 검색 (https://www.google.com/imghp?hl=ko)

 - 많이들 알고있고 사용하는 곳이다. 구글 검색결과에 있는 이미지들을 찾아서 보여준다.

장점

구글 검색엔진인 만큼 검색속도가 빠르고 자료가 많다.

이미지와 관련된 연관 검색어를 표시해주는 기능이 있다.

사이즈 별로 정렬한다거나 하는 기능이 있어 저화질의 이미지를 가지고 고화질의 이미지를 찾는게 가능하다.

단점

검색엔진에 나오는 것을 표시하므로 자료의 원 출처를 찾기가 어렵다.

흑백 이미지 (만화 페이지 등)의 검색 정확도가 떨어진다. 대체적으로 못 찾는 편

2. TinEye (https://www.tineye.com/)

 - 구글 이미지 검색의 보조 사이트이다. 구글에서 자료가 나오지 않으면 이쪽을 한번 찾아보는것도 좋다.

장점

검색 성능이 꽤 좋다. 잘린 이미지나 박박 지워진 이미지도 찾아내는 경우가 있다.

단점

이미지 자료 자체는 많으나 특정 분야에 특화된 이미지(그러니까 망가 말이야 망가)의 자료는 적은편.

3. Ascii2D (http://www.ascii2d.net/)

 - 일어권 사이트이며 사이트 제목 처럼 2D 이미지 찾기에 특화되어있다.

장점

2D 이미지 검색에 특화되어있어 우리가 원하는 자료에 대한 정보가 많다.

픽시브와 니코동, 트위터를 최우선으로 검색하기 때문에 이미지의 원 출처를 쉽게 알 수 있다.

단점

검색 정확도가 떨어지는 편이어서 사실상 똑같은 이미지가 아니면 찾는게 어렵다. 예를들어 한국어로 번역된 이미지를 가지고 일본어로 된 원본을 찾는다거나 하는게 어려운 편이다.

4. Multi image search (http://iqdb.org/)

 - Ascii2D를 보조하는 사이트로 이쪽의 경우 이미지 전문 사이트 (단부루, e-shuushuu 등)를 우선으로 검색한다.

장점

Ascii2D 보다 검색 성능이 좋으며 원 출처가 아닌 2차 출처 사이트에서 검색이 이뤄지므로 원 출처가 삭제된 경우 사용한다.

특정 사이트 내부에 특화된 검색을 사용할 수 있다.

단점

2차 출처 사이트에서 검색 하는 만큼 원 출처를 찾기위해선 그 안에서 또 출처를 찾아야하는 번거로움이 있다.

5. SauceNAO (http://saucenao.com/)

 - 그야말로 망가 찾기에 특화된 사이트. 각종 망가사이트를 기반으로 한 이미지 검색을 수행한다.

장점

그쪽 분야 특화인 만큼 흑백이미지등도 잘 찾아낸다.

해당하는 작품의 작가와 제목을 해당 사이트에 올라온 것을 기반으로 하여 표시해 주기 때문에 쉽게 찾을 수 있다.

검색 성능이 좋아 번역된 작품 같은것도 잘 찾아낸다.

단점

서버가 잘 터진다

망가에만 특화되어있기 때문에 짤종류의 검색 성능은 현저히 낮은 편이다.

6. Yandex 이미지 검색 (https://yandex.com/images/)

 - 러시아의 구글이라고 생각하면 좋은 검색엔진 사이트이다. 영어 지원이 되니 너무 겁먹을 필요는 없다.

장점

그쪽 분야 특화라고 해도 믿을 정도로 흑백 이미지의 검색 성능이 엄청나다.

일부 컷만 잘린 이미지쪽의 성능이 훌륭할 정도로 높은 편

단점

구글 + Multi image search 같은 느낌으로 이미지 전문 사이트 결과가 최상단에 표시된다. 정보 찾기는 좋지만 출처 찾기는 번거로운 편

드물지만 파일 업로드 형태를 사용할 경우 일부 이미지가 업로드 되지 않는 현상이 있다.

크롬 기준 확장플러그인 지원이 없다.

각 사이트의 장점과 단점을 판단하여 적절하게 섞어 쓰도록 하자.

크롬 기준으로 얀덱스를 제외한 5개 모두 확장 플러그인을 지원하고 있기 때문에 다 설치해놓으면 쉽게 검색할 수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