니어 레플리칸트 far - nieo lepeullikanteu far

- 경험기, 프리뷰, 리뷰, 기록 분석, 패치 노트 등을 올리실 수 있습니다.

Date2021/04/24 17:49:23NameLord Be GojaFile #1per_7.jpg (1.43 MB), Download : 40Subject[기타] 니어 레플리칸트 √ 1.5 스팀판의 문제와 해결법 (데이타 있음) (수정됨)
니어 레플리칸트 far - nieo lepeullikanteu far

제가 이전에 소개했던 게임인데..
( https://pgr21.com/free2/70905 )
스팀판의 상태가 오토마타때보다도 어떤의미에선 심각합니다..
저한테 낚인분도 한두분은 계실테니..책임감이 느껴져서.
레플리칸트 갤러리에 상주하면서 알아낸 몇몇 문제의 해결방법입니다.

-----------------------------------------------------------------------------

1. 게임이 지나치게 빨리 진행되는 문제 or 사양대비 지나치게 버벅이는 문제

게임의 속도가  빠르게 느껴진다면 버그입니다.
모니터의 수직주파수가 60hz를 초과할때 ,그래픽카드가 61프레임 이상을 뽑으면 나오는증상으로
게임내에서는 FPS락도,수직동기화도 지원하지 않아서
일단 발병하면 게임내에서는 해결이 불가능합니다.

또 반대로 특정부분에서 지나치게 버벅이거나 (2080인데 15프레임이라던지) 하는 경우도 같은 해결방법을 써야합니다.

바탕화면에 우클릭-엔비디아 제어판- 3d설정관리 -프로그램설정 - 추가
레플리칸트 폴더-실행파일- 선택 - 최대프레임속도 60으로 변경

움짤

추가 1: 만약 48프레임으로 고정된다면 위 화면에서 수직동기도 꺼주세요

추가2 : 만약 어느날 프레임이 갑자기 10,12 8 수준으로 떨어진다면 게임 패드와의 충돌이니 패드를 제거한후 다시 연결해주세요.
추가3 :  위 증상이 반복된다면 아래 그림의 조치를 해주세요

니어 레플리칸트 far - nieo lepeullikanteu far

2.플스로 하는사람들이나 외국인들은 무료 요르하 DLC설치해서 카이네상 엉덩이도 가려주고 그러는데 저는 dlc가 안보여요...

한국 지역의 dlc지역락이 개발자들의 실수로 풀리지 않은거 같습니다

https://steamdb.info/app/1408390/
로 들어가서
아래 움짤처럼 해주시면 됩니다

(누락된 움짤 수정함)

3.저는 예구판이라 특전 음악이랑 월페이파 받아야 하는데 어디서 주는거죠?

스팀의 라이브러리에서 우클릭-로컬파일 보기하시면 나옵니다

니어 레플리칸트 far - nieo lepeullikanteu far

니어 레플리칸트 far - nieo lepeullikanteu far

그리고 실망하시겠죠..

4.자막이 좌상단인데 게임 정보는 하단,우하단,우상단에 몰려있어서 큰화면으로 하면 전투중 자막보기가 너무 불편해요...

불편하면 자세를 고쳐 앉으세요

이건 플스판도 동일합니다..

그래서 해결방법은

A.작은 화면으로 게임을 한다
B.이번기회에 넓은 시야를 가지도록 노력합시다

5.21:9랑 144hz는 미지원인가요???
1.에서 느끼셨겠지만 이게임에서 그런걸 바라는건 사치죠

6.패드를 쓰니까 하얀색 마우스커서가 게임내내 보여서 신경쓰입니다.

다른 모니터에 마우스를 치우거나 FAR패치가 나올때까지 참고하셔야 합니다.

나머지는 제가 생각 나는대로 업데이트 하겠습니다.


"Pgr은 '명문화된 삭제규정'이 반드시 필요하지 않은 분을 환영합니다.
법 없이도 사는 사람, 남에게 상처를 주지 않으면서 같이 이야기 나눌 수 있는 분이면 좋겠습니다."

캐릭터 모델은 물론 각종 지형까지 전부 새로 제작되었다. 단, 오리지널에서는 화면 전체에 엷은 녹황색 필터를 낀 듯한 특유의 색감 연출이 특징적이었던 반면, 버전업판에서는 이런 식의 연출은 없어졌고, 기본적인 색상 세팅이 전반적으로 밝아졌다.

  • 음악 역시 전부 편곡 및 재녹음 작업을 거쳤다. 오리지널에서 음악과 관련해 유일한 단점으로 거론되었던 것이 필드에서는 너무 짧은 구성의 음악이 반복되어 단조로운 느낌을 줬다는 점인데, 편곡 과정에서 이 문제를 상당 부분 해결하고자 했다.

  • 액션

    • 무브셋을 전부 새로 제작했다. 달리기의 최고 속도가 빨라져, 빠른 이동을 위해 구르기를 반복하거나 일부 무기의 특수 공격을 반복할 필요가 없게 되었다. 이외에도 패리나 적의 배후를 잡기 위한 특수 회피 등, 전작에도 존재는 했지만 활용도가 매우 낮았던 동작들을 편하게 사용할 수 있게 되었다. 단, 오리지널에 있던 '벽차기' 동작은 도저히 의미를 알 수 없어 삭제했다고 한다.

    • 오리지널판과 다르게 마법을 이동하면서 충전/사용하거나 공중에서 발사할 수 있게 되었다. 특히 마법을 일반 무기 공격 도중에도 충전할 수 있게 되면서, 더욱 복잡한 액션을 구사할 수 있게 되었다.

    • 록온이 가능해졌다.

    • 일부 마법의 연출이 변경되었다. 특히 몇몇 마법은 발동 타이밍(달리기 중, 일반 공격 도중, ...)에 따라 발동 시 특성이 달라지기도 한다.[15]

    • 세 종류의 무기(한손검, 양손검, 창)를 장비할 수 있게 되는 성년기(2부)가 되면, 드래그 온 드라군 3나 니어:오토마타와 유사하게 간단한 조작으로 무기를 교환할 수 있게 되었다.

    • 무기군의 밸런스를 재조정했다. 오리지널에서는 '불사조의 창'이 OP 무기 취급을 받았기 때문에, 상황에 맞춰 무기를 교환해 사용하는 맛이 있도록 조정했다고 한다. 양손검은 슈퍼아머가 달려있어 체력이 지속되는 한 적의 공격을 무시하고 콤보를 이어갈 수 있으며, 창은 리치 중심으로 설계되었다고 한다.

    • 난이도를 '쉬움'으로 설정할 시, 니어:오토마타와 비슷하게 오토 배틀 기능(아이템 사용, 무기공격, 무기교환, 마법공격, 가드 및 회피)을 사용할 수 있다.

    • 스토리 관련

      • 오리지널의 DLC였던 '15 Nightmares'를 본편에 탑재했다. 오리지널과 동일하게, '반복되는 세계' 퀘스트에서 아버지 주인공을 플레이할 수 있다.

      • 오리지널의 설정집 'GRIMOIRE NieR'에 단편소설로 수록되었던 에피소드 중 하나인 '인어공주'를 본편에 추가했다.

      [스포일러 (접기/펼치기)]

      • 오리지널의 설정집 'GRIMOIRE NieR'에 단편소설로만 수록되었던 '엔딩 E'를 본편에 추가했다. 특히, 만약 오토마타 BGM 모드로 E엔딩을 보면 원판 BGM 배치와는 다른 소소한 차이가 생기는데 오토마타같이 스텝롤 직전 엔딩 타이틀이 뜨며 엔딩곡 역시 다른 엔딩과 다르게 오토마타 E엔딩 버전으로 바뀌어 재생된다.

      • 3회차의 진행이 2회차와 전혀 차이가 없던 원작과 달리, 3회차에서의 스토리 요소가 추가되었다. 메인 스토리 (및 '인어공주' 에피소드)의 맥락을 보강해주는 이벤트에 더해, 에밀의 과거와 생존에 관한 텍스트 어드벤처 파트가 추가되었다. '인어공주' 에피소드는 3회차부터는 전개 자체에 큰 변화가 생긴다.

      • 추가 된 요나의 일기장에서 아콜이 언급된다.

    • 기타

      • 오리지널과 달리 풀보이스 더빙이다.

      • 니어:오토마타의 사운드트랙 일부가 본편에 탑재되어, 본편을 오토마타에 수록된 BGM으로 변경하는 기능이 추가되었다. DLC가 아니라 본편의 추가 기능이지만, 무료 DLC에 제공되는 요르하 부대 코스튬 & 무기와 함께 즐길 수 있도록 설계된 부분.

      • 니어:오토마타의 성우진 일부가 단역으로 참가한다.

      • 그동안 드래그 온 드라군 시리즈나 니어:오토마타에는 존재했지만 본작의 오리지널판에는 없었던, 각 무기가 레벨업함에 따라 숨겨진 이야기가 드러나는 '웨폰 스토리' 시스템이 버전업판에는 새로이 추가되는 것으로 확정되었다('니어 리인카네이션' 공식 생방송 중). 애당초 웨폰 스토리 시스템이 드래그 온 드라군 제작 당시 RPG적 요소를 추가하라는 오더에서부터 시작된 것이라, 서브 퀘스트가 많은 본작에서는 아마도 필요없을 것이라 생각해 제외했었다고 한다. 하지만 이후에 웨폰 스토리가 있었으면 좋았겠다는 피드백이 많았고, 때문에 후속작인 니어:오토마타는 물론 본작의 버전업판에서도 해당 요소를 다시 사용하기로 결정했다고 한다.

    6. PC 버전[편집]

    시스템 요구 사양

    최소 요구 사항 (60 FPS @ 1280x720)

    운영체제

    Windows 10 64bit

    프로세서(AMD)

    AMD Ryzen™ 3 1300X

    프로세서(Intel)

    Intel® Core™ i5-6400

    메인 메모리

    8GB

    그래픽 카드(AMD)

    AMD Radeon™ R9 270X

    그래픽 카드(NVDIA)

    NVIDIA® GeForce® GTX 960

    다이렉트 X

    DX11

    저장 공간

    25GB 이상

    권장 요구 사항 (60 FPS @ 1920x1080)

    운영체제

    Windows 10 64bit

    프로세서(AMD)

    AMD Ryzen™ 3 1300X

    프로세서(Intel)

    Intel® Core™ i5-6400

    메인 메모리

    16GB

    그래픽 카드(AMD)

    AMD Radeon™ RX Vega 56

    그래픽 카드(NVDIA)

    NVIDIA® GeForce® GTX 1660

    다이렉트 X

    DX11

    저장 공간

    25GB 이상


    오토마타와 다르게 PC 동시발매가 결정되었으며 전작에 비해 요구 사양이 크게 올라갔다. CPU는 고성능을 요구하지는 않지만, 권장 요구 사항에서 그래픽 카드를 꽤 고사양으로 요구하는데다가 램을 무려 16GB나 요구하는 것이 눈에 띈다.

    복제 방지 장치로 니어:오토마타와 같은 Denuvo가 적용되었다.

    GTX 1060 수준의 그래픽 카드에서 FHD 기준 최상옵 40~50대 프레임이 나오는 것으로 밝혀져 하옵으로 변경하면 최소사양인 GTX 960보다 체급이 낮은 그래픽카드에서도 구동이 가능할 것으로 보인다.

    개발사가 제시한 권장 사양보다 낮은 사양으로 구동할 순 있지만, 최적화가 좋은 편은 아니다. 몇몇 치명적인 버그들이 존재하고, 전작 오토마타를 보면 업데이트를 기대하기도 힘든 상황이다.

    6.1. 버그 및 최적화 팁[편집]

    여러 버그 및 성능 저하 이슈와 그 해결법을 다룬다.

    • 퍼포먼스 저하 문제

      • 유저가 죄적한 최적화 MOD로 Radical Replicant라는 게 존재한다.[16][17] 적용 시 GTX 1060급 카드에서도 FHD 최상옵 기준 고정 60FPS의 엄청난 성능 향상을 보인다. 성능 향상 이외에도 프레임 버그 해결을 위한 60FPS 고정, 게임패드 사용시 마우스 커서 자동숨김 등의 편의 기능이 자동으로 적용된다. 하지만 게임 최신 버전하고는 호환이 되지 않기 때문에 따로 세팅을 하거나 게임을 구버전으로 다운그레이드해야만 적용할 수 있다. 세팅 방법이나 다운그레이드에 관한 자세한 방법은 페이지 참고.

    • 60프레임 이상을 넘어서면 게임 속도가 빨라지는 버그

      • 최신 버전에서는 기본적으로 해결되었으나 그래도 문제가 발생했을 경우 드라이버 설정이나 외부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60프레임으로 고정하거나, 상기한 Radical Replicant 모드를 적용한다.

    • 게임패드 사용시 프레임이 떨어지거나 조작 오류가 발생하는 버그, 듀얼센스 사용이 불가능한 버그

      • 스팀 게임 속성 - 컨트롤러 - Steam 입력 사용 안 함을 선택한다.

    • 물빠진 색감으로 표시되는 버그

      • 전체화면 모드를 사용하지 않는다.[18]

    • 게임이 30FPS로 고정되는 버그

      • 세이브파일을 다시 로드한다.

    7. 평가[편집]

    니어 레플리칸트 far - nieo lepeullikanteu far

    플랫폼

    메타스코어

    유저 평점

    PS4

    83

    8.5

    XBO

    83

    7.9

    PC

    80

    7.3

    니어 레플리칸트 far - nieo lepeullikanteu far

    니어 레플리칸트 far - nieo lepeullikanteu far

    평론가 평점
    83 / 100

    평론가 추천도
    85%

    니어 레플리칸트 far - nieo lepeullikanteu far

    종합 평가

    최근 평가

    매우 긍정적 (88%)
    (14,226)

    매우 긍정적 (84%)
    (167)

    기준일: 2022-11-02

    • 오리지널 니어 레플리칸트의 평가에 대해서는 '평가' 문단을 참고.

    한국 시간으로 2021년 4월 22일 밤 9시를 기점으로 메타크리틱과 오픈크리틱의 비평가 점수가 공개되어, 80점대 초중반으로 스타트를 끊었다. 긍정적인 평은 오리지널에서부터 이미 강점으로 손꼽히던 스토리와 음악은 물론, 현세대 첨단을 달린다고 말할 수는 없지만 그럼에도 분명히 대폭 개선된 그래픽과, 훨씬 빠르고 쾌적해진 액션에 집중되어 있다. 한편, 부정적인 평가 가운데는 2021년 게임으로서는 낡은 게임 디자인, 특히 11년 전이나 지금이나 크게 다를 것이 없는 반복적인 사이드 퀘스트들에 대한 악평이 많다. 회차 플레이의 디자인 역시 약간의 추가 요소를 제외하면 큰 변화가 없는데, 아무리 본작이 리마스터/리메이크라고는 하지만 상당히 파격적인 설계를 보여준 후속작인 니어:오토마타와의 대비가 부각되어, '시간이 많은 사람이 아니라면 추천할 수 없는 게임'이라는 지적을 받았기도 했다. 하지만 동시에 (오리지널에서와 마찬가지로) 이 회차 플레이 구성으로 인해 '비디오 게임이기에 가능한 스토리텔링'을 만들 수 있었다는 측면에서 보면 충분히 감수할 가치가 있다는 평가 역시 받는다.[19]

    스팀판의 경우 출시 직후 평가가 복합적이었다. 제일 큰 문제로 게임이 60fps을 넘어가면 게임 속도가 빨라지는 버그가 있는데, 쉽게 말해 게임 프레임이 120이라면 게임이 정상 속도의 2배속으로 실행된다는 것이다. 심지어 게임 내에서 조절할 수도 없어서, 유저가 직접 각 그래픽 카드 제조사 제어판(NVIDIA 제어판 등)이나 서드 파티 프로그램(리바 튜너 등)을 사용해서 60프레임 상한을 직접 설정해줘야 해서 비판을 받고 있다.

    그 외에도 안티에일리어싱이나 성능의 최적화에도 문제가 있다고 하며, 특정 이펙트가 출력이 안 된다는 유저도 있다. 가끔 프레임이 10-20대로 떨어지는 문제도 있으며, 이 점은 컨트롤러와 관련이 있는지 컨트롤러를 뽑았다가 다시 연결하면 원상복구된다. 일부는 엑박패드 연결 시 키가 제멋대로 꼬여버리는 문제도 발생하는 중.

    2017년 니어:오토마타 발매 당시에도 스팀판에 온갖 문제가 많아 플레이어들이 직접 유저 픽스를 설치해야 했던 전례가 있고, 이후 스퀘어 에닉스는 4년간 사후 지원을 하지 않다가 본작 발매 열흘 전에야 공식 패치를 준비중이라는 공지를 띄우는 촌극을 벌인 직후라, 현재 상황에 대해 더더욱 PC 게이머들로부터의 비난의 화살이 거세다. 향후 패치로 개선이 될지는 모르겠으나, 출시일 기준 기술적 결함이 상당해 평가는 좋지 않다.

    그래도 이후 업데이트로 게임 프레임의 상한이 60으로 고정[20]되어서 가장 심각한 문제는 일단 해결되었고 그 외의 일부 버그도 개선되어 지금은 평가가 '매우 긍정적'까지 상승하였다. 다만 스팀 페이지 개발사의 공지에 따르면 일부 디스플레이(60의 배수가 아닌 디스플레이. 144hz 모니터 등)에서는 다른 문제(화면이 각지는 문제)가 발생할 수 있으니 '전체 화면' 모드로 게임을 실행하거나 수동으로 디스플레이 설정을 60으로 세팅해달라고 한다.

    • 패미통 크로스리뷰: 8.5 (8/8/9/9)
      패미통 크로스리뷰에서는 오리지널과 똑같은 8.5점을 받았다. 그래픽 개선과 풀 보이스 지원뿐만 아니라, 액션의 템포를 포함해 전반적으로 쾌적해진 전투를 좋게 평가한 리뷰어들이 많으며, 니어:오토마타와 비슷하게 액션 게임에 약한 사람들을 위한 오토 액션 지원 역시 주목받았다. 한편 독특한 개성[21]이 있지만 좋아하는 사람은 깊이 빠져들 수 있다는 (즉, 반대로 말하면 호불호가 갈리는 부분이 있을 것이라는) 코멘트도 있다. 지역 간 빠른 이동이 제한적이고, 이곳 저곳을 반복적으로 왔다갔다 해야 하는 게임 진행 자체는 바뀌지 않아 옛날 게임 느낌을 준다는 지적도 있다.

    • 음악
      니어 시리즈의 음악이 항상 그랬듯 전반적으로 호평이 많고, 특히 편곡 과정에서 새로 추가된 부분들로 인해 인게임에서 음악이 다소 단조로운 지점이 몇 있다는 평이 해결된 점도 있다. 그러나 일부 팬들로부터는 오케스트라 중심의 편곡이 이루어지면서, 오리지널의 음악이 가지고 있던 좋은 특징들(강렬한 타악기의 사용 등)이 옅어졌다는 평도 받는다. '규정에 속박된 신(掟ニ囚ワレシ神)'[22] 같이 오리지널의 사운드트랙을 기억하는 이들로부터 편곡이 과하다는 평을 받은 곡들 역시 있다. 전반적으로 데몬즈 소울(2020)의 사운드트랙이 받는 평과 비슷한 양상으로, 특히 니어 레플리칸트의 경우 사운드트랙이 본편보다 더 팔린 게임으로 회자될 정도로 음악에 대한 평이 좋은 게임이었기 때문에, 어떤 식의 편곡이 이루어졌든 변화를 즐기는 쪽과 거부하는 쪽으로 오리지널 팬의 반응이 양분되는 것은 피하기 어려운 일이었다.
      편곡의 퀄리티나 인게임 버전 음악과는 별개로, 일반판매용으로 발매된 사운드트랙의 믹싱 상태가 그다지 좋지 못하다는 비판이 있다. 대표적으로 지적되는 내용은 코러스가 악기 연주에 묻혀버리는 경우가 많다는 것.

    8. 관련 상품[편집]

    8.1. 사운드트랙[편집]

    게임 본편 발매 하루 전에 오리지널 사운드트랙이 출시됨과 더불어, 한정판인 'White Snow Edition'(일본/북미/유럽)과 'Lunar Tear Edition'(한국 포함 기타 아시아 국가)에는 전용 어레인지 사운드트랙 'Weiss Edition'이 첨부된다.

    • 오리지널 사운드트랙: 니어 레플리칸트의 수록곡을 재편곡한 버전 이외에 네 개의 신곡, 두 개의 신규 어레인지가 추가되었다. 조기구입특전으로는 게임의 로딩화면에 등장하는 요나의 일기(+α)를 담은 소책자가 함께 제공되었다.[23]

    • 사운드트랙 Weiss Edition: 오리지널 사운드트랙 수록곡 일부를 전혀 다른 방식으로 편집한 곡들('Another Edit Version')과 더불어, 뮤지션들에 의한 리믹스/리워크 버전이 수록된다.

    8.1.1. 오리지널 사운드트랙 수록곡[편집]

    오리지널 작곡

    오카베 케이이치, 이시하마 카케루, 호아시 케이고, 니시무라 타카후미

    버전업 편곡

    오카베 케이이치, 호아시 케이고[24]
    타카다 류이치, Oliver Good, 타카하시 쿠니유키, 세오 쇼타로

    트랙

    제목
    (일본어 원제, 영어 제목, 원제 기반 해석)

    상세

    DISC 1

    01

    夏ノ雪
    Snow in Summer
    (여름의 눈)

    프롤로그: 폐허
    난파선 내
    돌의 신전[마왕성]

    02

    光ノ風吹ク丘
    Hills of Radiant Winds
    (빛나는 바람이 부는 언덕)

    북쪽/남쪽 평원

    03

    不完全ナ石
    The Incomplete Stone
    (불완전한 돌)

    돌의 신전
    신화의 숲 퀴즈

    04

    青イ鳥
    Blu-bird
    (파랑새)

    돌의 신전: 헨젤 & 그레텔
    청년기: 초반 마물의 습격

    05

    イニシエノウタ/ポポル
    Song of the Ancients / Popola
    (고대의 노래/포폴)

    주인공의 마을 실내

    06

    心閉ザセシ鉄棺
    Cold Steel Coffin
    (마음을 닫은 철 관)

    절벽 마을
    돌의 신전: 카이네

    07

    オバアチャン
    Grandma
    (할머니)

    [A] 절벽 마을: 후크

    08

    愚カシイ機械
    The Wretched Automatons
    (어리석은 기계)

    로봇 산

    09

    ヨナ/Ver.弦
    Yonah / Pluck Ver.
    (요나/기타)

    [A] 신화의 숲: 촌장의 꿈 속
    가면 도시: 결혼식 전날 밤

    10

    売買ノ街
    City of Commerce
    (상업의 도시)

    해안 도시

    11

    仮面ノ誉
    The Prestigious Mask
    (가면의 명예)

    가면 도시

    12

    流砂ノ神殿
    Temple of Drifting Sands
    (유사[26]의 신전)

    모래 신전

    13

    掟ニ囚ワレシ神
    Gods Bound by Rules
    (규정에 속박된 신)

    모래 신전 응접실

    14

    喪失/Ver.ピアノ
    Dispossession / Piano Ver.
    (상실/피아노)

    [A] 컷신: 후크의 속삭임[27]
    [A] 컷신: 모습이 변해벼린 에밀

    15

    Ashes of Dreams / New

    현대 영어
    엔딩 A

    DISC 2

    01

    カイネ/予感
    Kaine / Premonition
    (카이네/예감)

    신규 어레인지
    도쿄 게임쇼 2020 트레일러

    02

    イニシエノウタ/デボル
    Song of the Ancients / Devola
    (고대의 노래/데볼)

    주인공의 마을[28]
    마왕성: 포폴

    03

    最終兵器
    The Ultimate Weapon
    (최종병기)

    저택

    04

    ハルア
    Halua
    (할루아)

    신곡[29]

    05

    深紅ノ敵
    Deep Crimson Foe
    (심홍의 적)

    프롤로그: 대형 마물
    저택: 보스[30]
    로봇산 최심부: 보스[31]

    06

    失ワレタ森
    The Lost Forest
    (잃어버린 숲)

    동쪽 도로, 사막
    돌의 신전으로 가는 뒷길

    07

    彼ノ夢
    His Dream
    (그의 꿈)

    신화의 숲
    흘러 들어온 난파선

    08

    此ノ夢
    This Dream
    (이 꿈)

    마물 시점의 이야기

    09

    喪失/Ver.重奏
    Dispossession / Strings Ver.
    (상실/중주)

    컷신: 가면의 왕의 고충
    왕비가 사라진 왕궁

    10

    カイネ/救済
    Kaine / Salvation
    (카이네/구제)

    카이네

    11

    全テヲ破壊スル黒キ巨人
    The Dark Colossus Destroys All
    (모든 것을 파괴하는 검은 거인)

    [A] 주인공의 마을: 습격
    로봇산: P33 (페이즈 2)
    사막: 리더 늑대
    [C,D] 마왕성: ??? (페이즈 1)

    12

    ヨナ/Ver.ピアノ
    Yonah / Piano Ver.
    (요나/피아노)

    로봇산: P33 퇴치
    주인공의 마을[마왕성]
    마왕성: 마왕의 거처 앞

    13

    Ashes of Dreams / Nouveau

    프랑스어 기반 조어
    엔딩 B

    14

    Ashes of Dreams / Nuadhaich

    게일어 기반 조어
    엔딩 C

    15

    Ashes of Dreams / Lost Music Box Ver.

    엔딩 D

    DISC 3

    01

    泡沫ノ言葉/家族
    Fleeting Words / Family
    (물거품의 말/가족)

    신곡
    난파선: 루이제의 최후

    02

    泡沫ノ言葉/他者
    Fleeting Words / Outsider
    (물거품의 말/타자)

    신곡
    난파선: 루이제

    03

    休息
    Repose
    (휴식)

    해안 도시: 실내
    컷신: 마을에서 쫒겨난 주인공
    [E] 신화의 숲 깊은 곳

    04

    イニシエノウタ/虚ロナ夢
    Song of the Ancients / Hollow Dreams
    (고대의 노래/공허한 꿈)

    [A] 데볼 & 포폴의 노래

    05

    喪失/Ver.オルゴール
    Dispossession / Music Box Ver.
    (상실/오르골)

    [A] 마왕성: 돌아온 요나

    06

    魔王ノ城
    Shadowlord's Castle
    (마왕의 성)

    [A] 컷신: 흑의 서의 유혹
    필드: 대형 마물
    마왕성 필드

    07

    儚キ者達ノ舞踏
    Dance of the Evanescent
    (덧없는 자들의 춤)

    마왕성: 왈츠

    08

    イニシエノウタ/運命
    Song of the Ancients / Fate
    (고대의 노래/운명)

    [A] 도서관: 흑의 서
    마왕성: 데볼

    09

    エミール/業苦
    Emil / Karma
    (에밀/업고[33])

    가면 도시: 늑대의 습격
    마왕성: 가면족의 지원
    [C,D] 마왕성: ??? (페이즈 2)

    10

    エミール/犠牲
    Emil / Sacrifice
    (에밀/희생)

    컷신: 희생[34]

    11

    魔王
    Shadowlord
    (마왕)

    마왕성: 마왕
    [E] 신화의 숲: 기억 중추

    12

    相似スル記憶
    Analogous Memories
    (서로 닮은 기억)

    신곡
    [E] 신화의 숲: 숲의 관리자

    13

    オバアチャン/再会
    Grandma / Reunion
    (할머니/재회)

    신규 어레인지
    [E] ???: 후크

    14

    カイネ/逃避
    Kaine / Escape
    (카이네/도피)

    [A] 도서관: 마물의 습격
    [E] ???: 돌아온 ???

    15

    Ashes of Dreams / Aratanaru

    일본어 기반 조어
    엔딩 E

    8.1.2. Weiss Edition 수록곡 일반공개 리스트[편집]

    스퀘어 에닉스에서 정식으로 유튜브에 공개한 Weiss Edition 수록곡들이다.

    • 여름의 눈(夏ノ雪; Snow in Summer) Another Edit Version

    • 카이네(カイネ; Kaine) Another Edit Version

    • 물거품의 말(泡沫ノ言葉; Fleeting Words) Another Edit Version

    • Weiss Edition Disc 2 Samples (리믹스/리워크 버전)

    8.2. 서적류[편집]

    • 2017년에 니어:오토마타 한정판 'Black Box Edition'에 포함되었던 소설 '게슈탈트계획 회상록'을 가필 수정하여 2021년 6월 28일에 발매하였다(#1, #2). 저자는 에이시마 준.

    • 오리지널의 설정집이었던 'GRIMOIRE NieR'를 업데이트한 'GRIMOIRE NieR: Revised Edition'이 2021년 7월 출판되었다. 게임 공략 자료는 버전업 기준으로 수정되었으며, 아트웍은 오리지널과 버전업 자료를 모두 수록했다고 한다.

    9. 기타[편집]

    • 일본과 북미권에서는 대사집, 초회판 전용 사운드트랙, 3종의 마도서를 본딴 핀뱃지, 스틸 케이스 등으로 구성된 초회 한정판 'White Snow Edition'이 구성되었으며, 한국 및 기타 아시아 국가에서는 대사집이 제외된 사양인 'Lunar Tear Edition'이 이를 대신한다.

    • 2020년 크리스마스 이브에 진행된 니어 특집 생방송에서 밝혀진 몇 가지 비화 중 하나에 따르면, 이번 리메이크에서 아버지 니어 버전이 별도로 제작되지 않는 이유는 간단히 말하면 게임(오리지널)이 잘 팔리지 않아서. 북미/유럽권 게이머들의 성향에 맞춰 아버지 니어를 별도로 만들었지만, 프로젝트가 종료된 뒤 요코 타로는 "해외 팬들은 마초 캐릭터를 원하지만 '스퀘어 에닉스의 마초 캐릭터'는 그다지 원하지 않는 것 같다"라는 이야기를 스퀘어 에닉스 관계자로부터 들었다고 한다(#). 담당 프로듀서인 사이토 요스케 왈, 오토마타의 반(방송 당시 기준으로 250만장)만 팔리면 아버지판 DLC 제작을 생각해볼 수 있다고 한다(#). 단, 해당 발언 자체가 농담 반 진담 반의 분위기에서 나왔기 때문에, 실제로 실현 가능성을 염두에 두고 있는지는 알 수 없다.
      전술된 방송에서 언급된 '아버지 DLC'와는 거리가 있으나, 발매 직전 본편에 편입된 엑스트라 컨텐츠 가운데 니어 레플리칸트의 DLC "15 Nightmares"가 포함되어 있음이 밝혀졌다. 오리지널 당시와 똑같이 던전 한정으로 아버지 니어로 플레이가 가능하게 되었다. 이 컨텐츠를 위해 아버지의 모델 역시 새로 제작했다고 한다.

    • 2021년 4월 1일에 새로운 트레일러가 올라왔다. 농사, 동물, 낚시, "개성 넘치는 주민들" 등 일부러 동물의 숲 시리즈 느낌이 나도록 편집한 것이 포인트. 실제로 농사와 낚시는 서브 퀘스트 진행에 필요한 요소로서 오리지널에도 등장했다.

    • 스퀘어 에닉스 북미/유럽 지사를 중심으로 좋은 의미로든 나쁜 의미로든 기묘한 게임 홍보가 이어지고 있다.

      • 스퀘어 에닉스 US에서는 버전업판의 발매를 기념해, 영어판 주연 성우진들이 메시지를 남긴 '백의 서' 1:1 레플리카를 제작해 1명에게 증정하는 행사를 기획했다(#, 미국에 거주하는 영주권자 한정 신청 가능).

      • 핀란드의 종이접기 아티스트와 협업해 남주인공과 에밀의 종이 모델을 만들었다(#).

      • 이탈리아의 한 피자 레스토랑과 협업해 에밀 얼굴을 본딴 피자를 만들어 생방송에 공개했다(#). 이후 콜라보레이션에 참여한 다른 레스토랑에서 에밀 컨셉의 피자를 만들어 기간 한정으로 판매하게 됐다(#).

    • 니어:오토마타의 '최후의 치트 코드'를 게임 발매 이후 4년만에 발견해낸 트위터 유저 'Lance McDonald'가 이번에는 오리지널 니어 레플리칸트에는 존재하지 않는, 본작의 정체불명 아이템에 대한 정보를 공유했다(#). 해당 아이템은 특정 커맨드를 입력하면 무언가를 해금할 수 있다는 내용을 담고 있다. Lance는 해당 아이템은 다른 플레이어가 PS4에서 처음으로 발견했음을 분명히 했으며, 자신은 PC판에서 세부적인 정보를 얻어보려 하였으나 2021년 5월 12일 현재로서는 별 소득이 없었다고 보고했다.


    [1] 드래곤 퀘스트 XI의 닌텐도 3DS 버전, 디 이블 위딘, 대난투 스매시브라더스 X 등의 제작에 일부 참여한 게임 제작사다.[2] PS4 Pro 대응.[3] XBOX ONE X 대응.[4] 직접적인 선정적, 과도한 폭력 표현. 심의 정보[5] 참고로 요코오 타로는 CERO B나 C(12, 15세 이용가)를 상정하고 만들었는데 심의를 받고 보니 D등급이어서 아이러니했다고 한다. CERO의 심의가 특히나 엄격한 것도 있지만, 작중 유혈 묘사와 전반적인 게임 내용을 종합적으로 고려하면 반박의 여지가 없는 성인용 게임이다.[6] 일본/아시아 스퀘어 에닉스 채널에서는 북미/유럽판 명칭인 "NIER"로, 북미/유럽 스퀘어 에닉스 채널에서는 일본판 명칭인 "NieR Gestalt"로 공개되었다.[7] 이 때는 임시로 플래티넘 게임즈 내부 직책을 받았던 것으로 알려져 있다.[A] 8.1 8.2 커버에는 일본판과 미국/유럽판 일러스트가 양면에 인쇄되어 있어 원하는 일러스트를 골라 장식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PS4 패키지판은 모든 국가에서 구매할 수 있으나, XBOX ONE 패키지판은 북미와 유럽에서만 발매.[10] 건강 상의 문제로 인해, 가끔 취미로 그리는 그림 이외에 본격적인 일러스트레이터로서의 활동은 없다.[11] 파이널 판타지 크리스탈 크로니클 시리즈의 캐릭터 디자인 등을 담당.[12] '0.25'라는 숫자에 대해서는 유튜브 플레이어 기능으로 0.25배속 재생을 해 보라는 숨겨진 메시지로 해석된다. 영상 연출은 물론, 일본어 청해가 가능한 사람이라면 이해할 수 있게 되는 요소들이 있다. 영상 제목에 적힌 '2주년'은 원문의 의미를 살리지 못한 번역으로, 원래는 2회차라는 뜻이다. 2회차부터 밝혀지는 요소들에 대한 암시로 풀이된다.[13] 각 게임 웹진 등에 배포된 프리뷰 플레이용 빌드를 기반으로 촬영된 영상 중 하나이다.[14] 스캐너 모델을 제외하면 요르하 부대에는 여성형 기체 설정밖에 없는 관계로, 9S 유니폼 느낌의 성인용 버전을 신규 제작했다고 한다.[15] 예를 들어, 니어:오토마타의 포드 프로그램 '블레이드'에 해당하는 마법 '검은 선무'는 무기 공격 중 발동하면 다른 때보다 칼날의 회전속도가 빠르게 시전되고, 달리기 중 발동하면 최초 회전 반경이 보통 때보다 넓어지는 식.[16] 몬스터 헌터: 월드 등의 게임들에서 최적화 모드로 유명세를 떨친 Special K 모드를 본작에 맞춰 수정한 것이다.[17] 페이지 설명에도 적혀있지만 사전에 VC++ 2019 재배포 패키지를 설치해야 한다.[18] 전체화면 설정 시 강제로 Full HDR 적용을 시도해서 일부 하드웨어와 충돌하는 것으로 추정.[19] 니어:오토마타에서 사용된 회차 플레이의 파격적인 설계는 사실 니어 레플리칸트가 원형이자 선례로서 앞서 존재했기 때문에 가능했던 면이 크다. 오토마타 발매 이후 요코오 타로가 가졌던 강연(#)에 따르면, 레플리칸트에서 플레이어의 관점을 전환하는 다회차 설계를 사용함으로써 이미 사람들에게 '니어는 다회차를 통해 숨겨진 이야기를 알 수 있는 게임'이라는 인식이 생겨버렸기 때문에, 오토마타에서 플레이어의 예상을 벗어나는 방식으로 세계관을 확장하기 위해서는 레플리칸트의 설계를 한 차례 더 비틀어 활용해야 했다고 한다. 즉, 아무리 리메이크를 하더라도 게임의 근본적인 설계 자체를 뒤엎지 않는 한 니어 레플리칸트의 회차 플레이는 니어 오토마타의 설계에 비해서는 낡은 것으로 여겨질 수밖에 없다는 것.[20] 정확히는 57 ~ 58 FPS로 고정된다. 즉 여전히 완벽한 건 아니다. 그래서 여전히 60 FPS로 고정을 위해 유저 MOD Radical Replicant를 사용하는 유저도 많다.[21] 원문에서는 소위 '쿠세'(クセ)가 있다고 표현. 한국어로 직역하면 버릇, 습관, 성질 등에 해당된다. 다소 안 좋게 받아들여질 수 있는 버릇 등을 묘사하기 위해 쓰이는 경우가 많다.[22] 오리지널편곡 이 곡은 특히 아예 다른 곡으로 들릴 정도로 편곡이 많이 된 편이라 그만큼 호불호가 많이 갈린다. 오히려 Weiss Edition에 수록된 음악이 원곡과 비슷한 편이다.[23] 소책자 첫장에는 '이 특전책자에는 스포일러가 엄청 많이 적혀있으니까 게임 클리어 전에는 보지 않는 게 좋다고 오빠가 그랬어. 요나도 그렇게 생각해.'라는 경고문이 적혀있다.[24] 오카베 케이이치는 본 버전업에서도 음악감독으로서 참여해 전체 프로젝트를 총괄했으며, 작곡과 관련해서는 호아시 케이고와 함께 신곡 및 기존 곡의 신규 어레인지 쪽에 중심적으로 기여한 것으로 알려져 있다.[마왕성] 25.1 25.2 마왕성에 갈 수 있을 때.[26] 바람이나 흐르는 물에 의해 흘러내리는 모래[27] 후크가 카이네에게 할머니의 목소리로 설득하려 할 때.[28] 포폴이 주위에 있으면 보컬 버전으로 바뀐다.[29] 1부에서 에밀을 처음 만날 때 에밀이 연주하고 있던 곡이 아니냐는 추측이 많다. 오리지널에서는 주인공이 에밀의 방에 들어가자마자 연주를 멈췄기 때문에 어떤 곡을 연주하는지 알 방도도 없었고, 마찬가지로 사운드트랙에도 완성된 버전이 수록되지 않았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