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국 GDP 발표 일정 - migug GDP balpyo iljeong

미국 GDP 발표 일정 - migug GDP balpyo iljeong
viewer

제롬 파월 연준 의장. 로이터연합뉴스

미국의 기업 활동이 2년 만에 위축되며 경기 침체 리스크가 고조되고 있다. 이런 가운데 이번 주 미 연방준비제도(Fed·연준)의 7월 연방공개시장위원회(FOMC)와 2분기 미국 국내총생산(GDP) 발표 등 경제의 향방을 가를 주요 일정이 진행된다. 경제 매체 CNBC는 23일(현지 시간) “올여름 가장 중요한 한 주가 될 것”이라고 평했다.

26~27일 열리는 FOMC에서의 기준금리 인상 폭은 0.75%포인트로 모이는 분위기다. 이에 시장은 금리 결정 자체보다는 제롬 파월 연준 의장이 내놓을 메시지에 더욱 주목하고 있다. 경기 침체 가능성에 무게를 싣는 등 9월 이후 긴축을 완화할 만한 신호를 보낼 수 있지 않겠느냐는 것이다. BNY멜런웰스매니지먼트의 네로 그로호스키 최고투자책임자는 “문제는 9월 이후 연준의 행보”라며 “오랫동안 긴축을 유지한다면 1년 내 침체 가능성에 대한 전망을 지금(60%)보다 더 높여야 한다”고 말했다.

미국 GDP 발표 일정 - migug GDP balpyo iljeong
viewer

사진 설명

최근 지표는 미국과 유럽의 경제활동이 이미 위축되고 있음을 보여준다. S&P글로벌은 22일 7월 미국의 종합 구매관리자지수(PMI)가 전월의 52.3에서 47.5까지 하락해 2년 2개월 만에 최저치를 기록했다고 밝혔다. 50 이하는 경기 위축을 뜻한다. 크리스 윌리엄슨 S&P글로벌 수석비즈니스이코노미스트는 “팬데믹 기간을 제외하면 글로벌 금융위기였던 2009년 이후 볼 수 없었던 속도로 생산량이 하락하고 있다”고 설명했다. 유로존(유로화 사용 19개국)의 7월 종합 PMI 역시 전월 대비 2.6포인트 하락한 49.4를 나타내 글로벌 경기 침체 우려를 부추겼다.

28일에는 미 상무부 산하 경제분석국(BEA)이 2분기 미국 GDP를 통해 미국 경기의 현주소를 확실하게 보여줄 예정이다. 월스트리트저널(WSJ)은 이코노미스트 설문 결과 0.3% 성장을 예상했지만 애틀랜타연방준비은행 경제모델 GDP나우가 예고하는 성장률은 -1.6%에 그친다. 1분기(-1.6%)에 이어 2분기에도 마이너스 성장할 경우 경기 침체 논란은 더욱 확산할 것으로 분석된다.

더 큰 문제는 경기 둔화에도 인플레이션이 쉽사리 꺾이지 않을 수 있다는 점이다. 시장에서는 물가가 6월 9%대에서 정점을 찍고 내려올 것이라는 전망이 우세하지만 웰스파고은행은 이날 “물가 상승률은 4분기에도 7.5~7.8% 수준일 것”이라며 “6월이 정점이든 말든, 연말까지 고통스러울 것”이라고 경고했다. 노무라증권은 “물가 상승률이 연말까지 0.3% 수준으로 낮아지면 연준이 금리 인상 폭을 완화할 수 있지만 현재로서는 쉽지 않다”며 “이는 침체에 접어든 후에도 연준이 금리를 올릴 수 있다는 뜻”이라고 설명했다.

<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

- 8월 17일 수요일

▲0745뉴질랜드 Q2생산자물가지수(PPI)

▲0850일본6월핵심기계류수주

▲0850일본7월무역수지(예비치)

▲1030호주 Q2임금가격지수

▲1100뉴질랜드 기준금리 발표

▲1300호주8월고용선행지수

▲1500영국7월PPI

▲1500영국7월소비자물가지수(CPI)

▲1730영국6월주택가격지수

▲1800유럽 Q2국내총생산(GDP)(수정치)

▲2000미국 08/12 모기지은행협회(MBA) 주간 모기지 신청건수

▲2130미국7월소매판매

▲2230미국 미셸 보우만 연방준비제도(Fed·연준) 이사 연설

▲2300미국6월기업재고

▲2330미국 08/12 에너지정보청(EIA) 주간 원유재고

▲0300(18일)미국 연방공개시장위원회(FOMC) 의사록

▲0320미국 미셸 보우만 연준 이사 연설

(끝)

본 기사는 인포맥스 금융정보 단말기에서 2시간 더 빠른 06시 50분에 서비스된 기사입니다.

저작권자 © 연합인포맥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미국 GDP 발표 일정 - migug GDP balpyo iljeong

9월 13일 (화요일)
1.유럽 경제지표 및 연설일정
─────────────────────────────────────
▲1500영국8월실업률
▲1500독일8월소비자물가지수(CPI)
▲1800독일9월ZEW 경기기대지수
▲1900 프랑스Q2경제협력개발기구(OECD) G20 국내총생산(GDP) 성장률
▲2245 EU엘리자베스 맥컬 유럽중앙은행(ECB) 이사 바클레이즈 금융 회의 참가 및 연설
─────────────────────────────────────

2. 미국 경제지표 및 연설일정
─────────────────────────────────────
▲N/A 미국 UN 총회 개회
▲1900미국8월전미자영업연맹(NFIB) 소기업 낙관지수
▲2130미국8월CPI
▲2130미국8월실질소득
▲2155미국 존슨레드북 소매판매지수
▲2300미국9월경기낙관지수
▲0300미국8월재무부 대차대조표
▲0530(14일)미국 미국석유협회(API) 주간 원유재고
─────────────────────────────────────

(끝)

본 기사는 인포맥스 금융정보 단말기에서 2시간 더 빠른 13시 24분에 서비스된 기사입니다.

저작권자 © 연합인포맥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미국 GDP 발표 일정 - migug GDP balpyo iljeong

美 2분기 GDP에 쏠린 눈…마이너스냐, 플러스냐 엇갈린 전망

미 6월 내구재 수주 실적·무역 수치 발표에 전망치 상향

28일(현지시간) 미국 2분기 국내총생산(GDP) 지표 발표를 앞두고 전망치가 엇갈리고 있다. 마이너스 성장으로 내다보는 것과 플러스 성장 전망이 함께 나오고 있는 것이다. 27일 CNBC에 따르면 28일 미국의 2분기 GDP 지표 발표를 앞두고 미국의 6월 내구재(3년 이상 사용 가능한 제품) 수주 실적이 예상치를 웃돌자 일부 경제학자들이 전망치를 상향 조정했다.

대표적인 경기선행지표인 미국의 6월 내구재 수주 실적은 전월 대비 1.9% 상승했다. 골드만삭스의 이코노미스트들은 2분기 미국 GDP 전망치를 당초 0.4%에서 1%로 상향 조정했다. 무디스애널리틱스의 마크 잔디 수석이코노미스트는 기존에는 -1.3%를 예측했으나 현재는 -1%로 조정했다.

JP모건 이코노미스트들은 0.7%에서 1.4%로 상향 조정했다. JP모건은 미국의 6월 상품 무역 적자가 5월 1040억달러에서 6월 982억달러로 줄어들었고, 수출은 2.5% 증가했다며 "무역 적자 개선이 더 많은 성장을 의미할 것으로 기대한다"고 밝혔다.

이번 2분기 GDP 발표에 시장이 집중하는 이유는 미국 GDP가 1분기에 이어 2분기도 마이너스 성장을 기록하면 경기 침체로 해석될 수 있기 때문이다. 미국의 1분기 성장률은 -1.6%를 기록한 바 있다. 통상 경기침체는 기술적으로 2분기 연속 GDP 성장률이 마이너스를 기록한 때 진입했다고 본다.

다만 경기 침체 여부를 공식 판정하는 전미경제연구소(NBER)는 소득, 제조업 활동, 고용 등 다양한 지표를 조사한 후 판단한다. 제롬 파월 연준 의장은 이날 FOMC 회의 후 기자회견에서 경제 침체 상태라고 보지 않는다고 밝혔다. 그는 "경제의 많은 부분이 잘 수행되고 있기 때문"이라며 상반기 270만 명이 고용됐다는 점을 거론하며 경제가 불황에 빠질 것이라는 것은 말이 되지 않는다고 지적했다.

[뉴시스 제공]

미국 GDP 발표 일정 - migug GDP balpyo iljeong


  • 아프가니스탄
  • 알바니아
  • 알제리
  • 앙골라
  • 아르헨티나
  • 아르메니아
  • 호주
  • 오스트리아
  • 아제르바이잔
  • 바레인
  • 방글라데시
  • 벨라루스
  • 벨기에
  • 볼리비아
  • 보스니아 헤르체고비나
  • 보츠와나
  • 브라질
  • 브루나이
  • 불가리아
  • 캄보디아
  • 카메룬
  • 캐나다
  • 카보 베르데
  • 칠레
  • 중국
  • 콜롬비아
  • 콩고
  • 코스타리카
  • 크로아티아의
  • 쿠바
  • 키프로스
  • 체코
  • 덴마크
  • 에콰도르
  • 이집트
  • 엘살바도르
  • 에스토니아
  • 에티오피아
  • 유럽​​ 지역
  • 핀란드
  • 프랑스
  • 그루지야
  • G20
  • G7
  • 독일
  • 아프리카 서부의 공화국
  • 그리스
  • 온두라스
  • 홍콩
  • 헝가리
  • 아이슬란드
  • 인도
  • 인도네시아
  • IMF
  • 이란
  • 아일랜드
  • 이스라엘
  • 이탈리아
  • 코트디부아르
  • 자메이카
  • 일본
  • 요르단
  • 카자흐스탄
  • 케냐
  • 코소보
  • 쿠웨이트
  • 키르기스스탄
  • 라트비아
  • 레바논
  • 리투아니아
  • 룩셈부르크
  • 마카오
  • 마케도니아
  • 마다가스카르
  • 말레이시아
  • 말리
  • 몰타
  • 모리셔스
  • 멕시코
  • 몰르 더바
  • 몽골리아
  • 몬테네그로
  • 아프리카 북서부의 회교 왕국
  • 모잠비크
  • 미얀마
  • 나미비아
  • 네덜란드
  • 뉴질랜드
  • 니카라과
  • 나이지리아
  • 노르웨이
  • 오만
  • OPEC
  • 파키스탄
  • 팔레스타인
  • 파나마
  • 파라과이
  • 페루
  • 필리핀
  • 폴란드
  • 포르투갈
  • 푸에르토 리코
  • 카타르
  • 콩고 공화국
  • 루마니아
  • 러시아
  • 르완다
  • 상투 메 프린시 페
  • 사우디 아라비아
  • 세네갈
  • 세르비아
  • 시에라 리온
  • 싱가포르
  • 슬로바키아
  • 슬로베니아
  • 소말리아
  • 남아프리카 공화국
  • 대한민국
  • 스페인
  • 스리랑카
  • 수단
  • 스웨덴
  • 스위스
  • 대만
  • 타지키스탄
  • 탄자니아
  • 태국
  • 트리니다드 토바고
  • 튀니지
  • 터키
  • 우간다
  • 우크라이나
  • 아랍 에미리트
  • 연합 왕국
  • 미국
  • 우루과이
  • 우즈 베키스탄
  • 베네수엘라
  • 베트남
  • 짐바브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