맥 윈도우 키보드 한영 키 - maeg windou kibodeu han-yeong ki

썸넬은 나도 한번 꼭 찍어보고 싶었던 맥북 감성샷 ㅎㅎ

이런 기회에 찍어보고 자랑하고 하는 거지 뭐 ㅎ_ㅎ

맥북을 더 자주 쓰다 보니 집 데스크탑도 그렇고 회사 컴퓨터도 그렇고 한영키때문에 딱 죽을 맛이었다.
cmd 키도 적응 잘 안되는데 커맨드 키는 어떻게 어떻게 쓸 수 있다지만 한영키는 진짜 답이 없었다

그래서 윈도우 키보드를 맥북 키보드 배열로 바꾸는 방법을 찾아보다보니 대부분이 AutoHotkey라는 프로그램을 다운받는 것이었다.
아무리 크기가 300kb정도로 작다지만 뭐 다운받는 것도 싫고 보안 문제 일어나는 건 더 싫다

게다가 내 컴이면 몰라도 회사 컴퓨터는 보안상의 이유로 아무 파일이나 다운로드할 수 없게 막아놨기 때문에 (그리고 내가 해킹당해서 뭐 유출되면 일이 커진다 무섭다 귀찮다..)
AutoHotKey 없이 다운받는 방법을 열심히 찾아봤따

그러다가 레지스트리 편집기를 통해 금방 caps lock을 한영키로 바꾸는 법을 알아냈다....

사실 caps lock 잘 안쓰니까 이렇게라도 사용되어주는 게 너무 감사할 따름이다 ㅎ.ㅎ.ㅎ.ㅎ..

거두절미하고 일단 레지스트리 편집기로 들어가준다.

윈도우 Caps Lock 한영키로 바꾸기


1. regedit 혹은 레지스트리 편집기 검색

맥 윈도우 키보드 한영 키 - maeg windou kibodeu han-yeong ki

2. 경로 찾기


HKEY_LOCAL_MACHINE/SYSTEM/CurrentControlSet/Control/Keyboard Layout

위의 경로로 잘 찾아서 들어가주셔야 합니다
아시겠지만 주소창에 입력해도 상관없습니다.
왼쪽 파일 옆에 > 요거 누르면 하위 경로들이 뜹니다 그거 따라가시면 됩니다.
윈도우는 백슬래시인듯? \ 이거

홈 루트만 본인에게 맞게 넣어주시고 아래꺼 복붙하시면 갈겁니당

\HKEY_LOCAL_MACHINE\SYSTEM\CurrentControlSet\Control\Keyboard Layout

맥 윈도우 키보드 한영 키 - maeg windou kibodeu han-yeong ki

3. 새로 만들기 > 이진값(Binary Value) 선택

맥 윈도우 키보드 한영 키 - maeg windou kibodeu han-yeong ki

파일명은 Scancode Map으로 지정해주셔야 합니다.
제가 이것저것 파일명으로 넣어봤는데 대문자 지켜주셔야 하는 것 같습니다!

4. Scancode Map 값 수정

여기까지 오셨으면 이제 만든 파일을 더블클릭해서 이진 값 편집 탭으로 들어갑니다.
그리고 아래의 그림과 같이 입력해주시고 확인을 누르신 다음에 재시작하면 caps lock이 한영키로 바뀌어 있는 것을 알 수 있습니당.

맥 윈도우 키보드 한영 키 - maeg windou kibodeu han-yeong ki

찾아보니 여기에도 뭔가의 문법이 있어서 caps lock 뿐만 아니라 원하는 키로 이것저것 설정할 수 있는 모양인데, cmd도 만들려고 했더니 caps lock이랑 겹치는 ? 게 있어서 귀찮아서 안했습니당..

혹시 필요하신 분 있으시면 scancode map 구글링하셔서 찾아보시면 될 것 같아요~!

맥 윈도우 키보드 한영 키 - maeg windou kibodeu han-yeong ki

맥북 한영 전환키를 윈도우처럼 변경하는 방법

윈도우를 사용하다가 맥 OS로 넘어가게 되면 당장 키보드 사용에서 불편함을 겪게 됩니다. 앞으로 맥 OS만 계속 사용한다면 맥 OS의 한영 전화키인 Command + Sppace 버튼을 사용하거나

키보드의 왼쪽에 있는 한/A키를 익숙하게 사용하면 됩니다. 하지만 저같이 윈도즈와 맥 OS를 번갈아 사용할 경우는 맥 OS의 한영 전환키를 윈도우즈의 키처럼 스페이스바 옆에 있는 command버튼으로 변경하는 것이 편리합니다.

한영 전환키를 기본 시스템에서는 변경할 수 없고 Karabiner라는 유틸리티 프로그램의 도움을 받아야 합니다.

먼저 https://karabiner-elements.pqrs.org 에 접속을 합니다.

다운로드 및 설치하기

자신의 OS 버전에 맞는 설치 파일을 다운로드하고 설치를 합니다.

맥 윈도우 키보드 한영 키 - maeg windou kibodeu han-yeong ki

설정하기

응용프로그램에서 karabiner를 실행시킵니다.

  1. 먼저 Simple modifications 탭을 선택합니다.
  2. Add item 을 선택하여 추가합니다.
  3. right_command를 선택하고 F18을 추가합니다.

이번에는 시스템 환경설정으로 들어가서 키보드 항목을 실행합니다.

단축키 > 입력 소스 > 이전 입력 소스 선택을 클릭하여 F18(right Command)를 선택합니다. 이렇게 하면 오른쪽 Command키를 누르면 한영 키가 전환이 됩니다.

보안 설정

위의 설명대로 설정을 하면 되지만 맥 OS는 보안사항으로 인해 기본적으로 설정을 막아 놓습니다. 그래서 아래의 방법으로 2가지를 설정 해제해야 합니다.

Karabiner-Elements 용 가상 장치를 제공하는 시스템 소프트웨어 허용

  1. Karabiner-Elements Preferences를 열면 다음 경고가 표시됩니다.
  2. 보안 및 개인 정보 보호 시스템 환경 설정 열기 버튼을 클릭한 다음 허용 버튼을 누릅니다

Karabiner-Elements 프로세스에 대한 입력 모니터링 부여

  1. 커널 확장을 허용한 후 macOS Catalina 이상에서 두 개의 키 입력 수신 알림이 표시됩니다.
  2. 시스템 환경설정 열기 버튼을 누르십시오.

시스템 환경설정 열기 버튼을 누르면 시스템 환경설정이 열립니다. 개인 정보 보호 > 입력 모니터링을 선택한 다음 karabiner_grabber 및 karabiner_observer를 활성화합니다. (왼쪽 하단 모서리에 있는 자물쇠 아이콘을 클릭하고 유효한 관리자 계정 사용자 이름과 암호를 제공하여 구성 잠금을 해제해야 합니다.)

CSS에서 ellipsis('...')를 처리하는 방법

맥 윈도우 키보드 한영 키 - maeg windou kibodeu han-yeong ki

이번에 ellipsis에 대해 정리해 보도록 하겠습니다. 보통 게시판 리스트의 제목부분이 길어질 경우 php나 jsp등의 프로그램단에서 일정 글자수 이상이 되는 것에 대해 '...'으로 마무리 하는 경우가 많은데요.. 이것을 프로그램이 아닌 CSS만 가지고도 처리할 수 가 있습니다. 한줄라인 글자수 제한 한줄 라인 글자수 를 제한하는 방법은 아래와 같습니다. <div class="txt_line">통영의 신흥보물 강구안의 동쪽벼랑인 동피랑의 벽화마을을 다녀왔다</div> .txt_line { width:70px; padding:0 5px; overflow:hidden; text-overflow:ellipsis; white-space:nowrap; } Block레벨 테그에서만 적용됨. overflow:hidden : 넓이가 70px를 넒어서는 내용에 대해서는 보이지 않게 처리함 text-overflow:ellipsis : 글자가 넓이 70px를 넘을 경우 생략부호를 표시함 white-space:nowrap : 공백문자가 있는 경우 줄바꿈하지 않고 한줄로 나오게 처리함 (\A로 줄바꿈가능) 멀티라인 글자수 제한 멀티라인에 대해서 글자수를 제한하는 방법은 아래와 같습니다. <p class="txt_post">통영의 신흥보물 강구안의 동쪽벼랑인 동피랑의 벽화마을을 다녀왔다.&nbsp; 비도 추적추적 내리고 일정상 늦으막해서 그런지 사람이 많지는 않았다. 덕분에 보통때는 한참을 기다려야 겨우 날개달린 사진을 찍을 수 있었을 텐데, 이번에는 바로 천사날개를 달고 사진을 찍을 수 있는 행운까지 얻었다. 이번이 동피랑 벽화마을 방문 3번째인데 예전에 왔을때에 비해서 벽화가 많이 바뀌어 있었다</p> .txt_post { overflow: hidden; text-ove

nano에디터 소개 및 사용법

맥 윈도우 키보드 한영 키 - maeg windou kibodeu han-yeong ki

윈도우를 사용할 경우는 전용에디터를 사용하면 되는데.. 리눅스나 유닉스 같은 경우 CLI환경 에서 간단한 수정을 할 경우는 vi 애디터 만큼 편한 것이 없습니다. 다만 vi 에디터 가 사용자 친화적이 아니여서 그것을 사용하려면 별도의 학습이 필요하고 사용법을 익혔다고 하더라도 한동안 사용하지 않다가 다시 사용하려면 여간 헷갈린 것이 아닙니다. 그래서 그런 불편한 점을 해소하기 위해서 많이 사용하는 것이 nano 에디터 입니다. nano 에디터 는 사용법도 쉬울뿐만 아니라 하단에 단축키들이 설명되어 있어서 별도의 학습이 없더라도 쉽게 사용을 할 수 있습니다. nano에디터가 기본적으로 설치가 되어 있는 경우 그냥 터미널창에서 $ nano 또는 $ nano <파일명> 명령어를 입력하고 실행시키면 프로그램이 실행됩니다. $ nano $ nano test.txt 내용을 작성하는 본문 영역입니다. 단축키를 보여주는 영역입니다. 만약 nano에디터가 설치가 되어 있지 않은 경우 아래의 명령어로 설치를 하면 됩니다. 아래의 yum 은 CentOS의 패키지 설치 명령어 입니다. $ sudo yum install nano nano에디터를 기본 편집기로 설정 nano에디터를 리눅스나 Mac OS의 기본 터미널편집기인 vi대신에 사용할 수 있습니다. .bash_profile 파일을 아래와 같이 변경하면 됩니다. nano에디터를 설치했기때문에 아래와 같이 nano에디터로 .bash_profile 파일을 오픈합니다. $ nano ~/.bash_profile 그러면 아래와 비슷한 내용이 나오는데 가장 아래쪽에 기본에디터에 대한 설정을 추가해 줍니다. PATH=$PATH:$HOME/bin export PATH ### 기본 에디터를 nano로 사용 설정 추가 export EDITOR=nano 그런 다음 .bash_profile 를 아래와 같이 재로딩하거나 로그인을 다시 하면 됩니다. $ source ~/.bash_profile 단

구글 머티리얼 아이콘(Material icons) 폰트 사용하기

맥 윈도우 키보드 한영 키 - maeg windou kibodeu han-yeong ki

아이콘 폰트인 구글 머티리얼 아이콘 (Google Material icons) 을 사용하는 방법입니다. 아이콘폰트가 무엇인지 궁금하면 이전에 포스팅한 아이콘 폰트(Icon font) 자유자제로 사용하기 를 먼저 읽어 보시는 것을 추천합니다. 구글 머티리얼 아이콘 (Google Material icons) 구글 머티리얼 아이콘 홈페이지바로가기 구글에서도 머티리얼 아이콘을 무료로 사용할 수 있게 공개를 했습니다. 구글 머티리얼 아이콘은 웹폰트 형식 뿐만이 아니라 안드로이드나 아이폰에서도 사용할 수 있게 SVG 와 PNG 형식으로도 아이콘을 제공을 하고 있습니다. 여기서는 다른사이트와 동일하게 웹폰트형식의 아이콘 폰트를 사용할 수 있는 방법에 대해서만 설명을 하도록 하겠습니다. 설치 방법 설치는 크게 2가지로 나누어지는데.. CDN 을 통해서 설치하는 방법과 아이콘 폰트를 다운로드 받아서 설치하는 방법이 있습니다. CDN 설치 가장 간단하게 사용할 수 있는 CDN설치 는 특별히 아이콘을 커스터마이징 할 일이 없을 떄 사용하면 됩니다. 구글 머티리얼 아이콘의 CDN 주소를 적용하고자 하는 웹사이트의 <hrad> 태그 영역에 styleseet 를 불러오는 것 처럼 링크를 걸어주면 됩니다. 웹사이트의 <head> 태그영역 안에 아래의 코드를 삽입합니다. <link href="https://fonts.googleapis.com/icon?family=Material+Icons" rel="stylesheet"> CDN이란? : CDN은 C ontent D elivery N etwork의 앞글자로 접속자가 인터넷상에서 가장 가까운 곳의 서버로 컨텐츠를 전송받아 트래픽이 특정 서버에 집중되지 않고 각 서버로 분산되도록 하는기술입니다 (구글검색) 소스제공자가 CDN을 전문으로 서비스하는 googleCDN 이나 BootstrapCDN , jsdelivrCDN 에 소스를 올려놓