리튬폴리머 배터리 충전 방법 - lityumpollimeo baeteoli chungjeon bangbeob

리튬폴리머 배터리 충전 방법 - lityumpollimeo baeteoli chungjeon bangbeob

리튬폴리머 드론배터리 사용방법과 충전시 주의사항,폐기방법 ,셀(cell)관리 및 충전기 구매정보

리튬폴리머 배터리 충전 방법 - lityumpollimeo baeteoli chungjeon bangbeob
Dragontiger2021. 1. 7. 19:55

안녕하세요 Flydrones 입니다.

DragonTiger

오늘은 드론배터리로 가장 많이 사용하고 있는 리튬폴리머 배터리의 사용방법과 주의사항,폐기사항에 대해서

포스팅 하도록 하겠습니다.

배터리는 특성에 따라서 크게 1차전지,2차전지,연료전지로 구분이 됩니다.

1차전지는 1회용배터리라고 보시면 되고. 2차전지는 충전용 배터리라고 보시면 됩니다.

1.2차 배터리의 특성은 아래와 같습니다.

1.2차 전지 특성 비교(빨강 리튬폴리머)

가끔 드론배터리에 리튬이온을 쓰기도 하는데 리튬폴리머에 비해 효율도 떨어지고 폭발성도 있기 때문에 추천하지는

않습니다. 하지만 장거리 또는 큰 힘을 필요로 하지 않고 오래 비행하고 싶을때는 리튬이온을 쓰기도 합니다.

오늘 시간에는 드론에 가장 많이 쓰고 있는 리튬폴리머에 대해서 알아보는 시간이니 다른 배터리들은 생략

하도록 하겠습니다. 또한 리튬폴리머 배터리에 표시되어있는 각종 숫자에 대해서 궁금하신분들은

아래에 링크로 가셔서 확인하시기 바랍니다. 하트좀 눌러주세요 ㅋㅋ

https://blog.naver.com/flydrones/222195334821

매빅2프로,매빅미니1 리튬폴리머 배터리

리튬폴리머 배터리 장점

Li-Po 배터리장점

1.배터리 무게 대비 전압과 방전율이 높다.

2.리튬이온에 비해 안전성이 높다.(폭발성)

3.수명이 길고 자연방전과 메모리 현상이 거의 없다.

드론배터리로 쓰는 리튬폴리머 배터리의 장점입니다. 쉽게 말하면 쬐그만놈이 힘이 아주 쎄다는 말입니다

그리고 충격이나 기타 이유로 인한 폭발성이 없습니다. 하지만 폭발성이 없다는거지 화재의 위험은

있으니 관리를 잘해주셔야 됩니다. 또한 관리만 잘해준다면 수명이 길고 자연방전이 거의 안됩니다.

실제로 제가 쓰는 배터리가 보관직전에 55%정도 였는데 한달이 지나도 54%로 거의 줄지 않았습니다.

메모리현상이 거의 없다는것은 완전 방전이 아닌 상태에서 다시 충전을 해도 최대용량이 줄지 않는다는 말입니다.

6sell 리튬폴리머 배터리

리튬폴리머 배터리 단점

Li-Po 배터리 단점

1.가격이 비싸다.

2. 낮은온도와 높은온도에 취약하다.

3.충격에 취약하다.

4.완전방전시 수명이 급격히 줄어든다.

5.셀이 망가졌을때 개인적으로 수리가 힘들다.

드론배터리! 리튬폴리머의 단점입니다.

비쌉니다.....대부분의 드론을 장기적으로 운영하는데 있어 드론값보다 배터리 값이 더 나옵니다.

한겨울,한여름 비행에 취약합니다. 대형기체의 경우 배터리가 상당히 무겁기 때문에 들고 다니다가 낮은 위치에서

낙하로 인한 충격에도 수명이 급격히 떨어집니다. 완전방전을 하지 않고 40%정도 남겨야 오래 쓰기 때문에

정해진 용량보다 사용시간이 적습니다. 망가지면...전문가가 아닌이상 수리가 힘듭니다. 못하는건 아닙니다.

리튬폴리머 배터리 보관 팩

드론에 많이 쓰는 리튬폴리머 배터리는 보관시 몇가지 주의사항이 있습니다.

1. 5~28도의 적정온도에서 보관을 해야합니다.

너무 춥거나 너무 뜨거운곳에 보관하면 안됩니다.

2.장기보관시에는 대략 50~70%를 남겨놓고 보관합니다.

만약에 100%충전이 되어 있는 배터리라고 한다면 방전모드로 방전을 하던가 드론에 장착해서

배터리를 어느정도 소모한 이후에 보관하셔야 됩니다. 완충상태로 보관을 하면 배터리가 부풀어올라서

수명이 줄어들거나 사용할수 없는 상태가 됩니다.

3. 찍히거나 손상되고 배부른 배터리는 폐기하거나 보관시 주의하셔야 됩니다.

아래에 손상된 배터리의 위험성이 있습니다. 꼭 보시길 바랄께요.

4.전용용기에 보관을 하거나 고온 다습한곳에 보관하지 않습니다.

위에 언급한 온도랑 관련이 있는데요. 특히 습한곳에 보관해서 배터리 안쪽으로 습기가 차지 않도록

주의하셔야 됩니다.

리튬폴리머 배터리 보관 전용 팩

제가 쓰고 있는 드론배터리 리튬폴리머 전용 보관 팩입니다. 화재에도 강하고 약간의 보온성도 있습니다.

특정항공사의 경우 전용보관 팩에 넣지 않으면 기내와 화물칸에 실지 못하게 하는 경우도 있습니다.

레이싱드론에 장착된 리튬폴리머 배터리

드론배터리 사용시 주의사항입니다.

1.리튬폴리머 배터리는 사용직전에 충전해서 사용하는게 가장 좋습니다.

완충 상태로 오래 보관하면 보관할수록 수명은 계속 줄어듭니다. 저같은 경우에도 비행하러 가기 바로 전날에

완충시켜놓고 다음날 나가서 전부다 쓰고 들어옵니다. 1300mAh 정도의 배터리 10팩정도를 가지고 있는데

비행을 나가서 배터리를 다 못쓰더라도 남은 배터리를 연결해서 호버링만 시켜서라도 배터리를

50%정도 쓰고 들어옵니다. 충전기에 방전모드가 있긴 하지만 시간이 너무 올래걸려서 잘 쓰지 않습니다.

2. 비행 또는 이동,보관시 충격에 주의해야 합니다.

리튬폴리머 배터리는 충격에 취약합니다. 살짝 찍히는 정도도 무시하시면 안됩니다.특히 레이싱 드론의 경우

배터리가 외부로 노출되어 있고 레이싱드론 특성상 추락이 잦기 때문에 항상 배터리 외관을 확인해서

배터리에 충격이 있는지 확인을 해주셔야 됩니다.

레이싱드론 추락 기체

제가 비행하다 강렬한 햇빛의 눈뽕을 맞고 나무에 부딪혀서 추락했습니다.ㅠㅠ 팔이 부러졌어요 ㅋㅋㅋㅋ

다행이 팔만 부러지고 다른데는 멀쩡하더라구요. 저럴때 배터리를 분리하고 제일먼저 배터리 외관부터

확인합니다. 찍히거나 파손되어 있으면 바로 폐기 처분합니다.

리튬폴리머배터리가 충격으로 터지면? 어떻게 되는지 영상으로 보시겠습니다.

위 영상의 배터리는 리튬폴리머배터리 6S 입니다. 일부러 날카로운걸로 찍은 영상이지만 돌덩이나 날카로운것에

찔려도 저렇게 됩니다. 찍힌부분에서 연기가 발생하고 화재로 이어질수 있습니다. 찍힌 배터리를 집에

가지고 왔다가 잠자는 사이에 저렇게 되버리면 생각만 해도 아찔합니다. 작은것도 연기가 어마어마하게 납니다.

3. 너무 춥거나 너무 더울때는 드론에 장착하여 비행을 삼가합니다.

기온이 영하10도이하 이거나 영상 40도 이상일 경우 배터리가 정상적으로 작동하지 않을수 있습니다.

표시되는 배터리의 양은 100%일지라도 드론에 장착하고 높은곳으로 올라가면 갑자기 배터리 잔량이

0%로 인식되어 이유없이 추락하거나 그자리에 착륙해버리는 경우도 있습니다.

특히 날씨가 추울때는 배터리를 장착하고 충분히 예열을 시킨후 비행하는것이 좋습니다. 저도 날씨가 영하10도

이하로 떨어지면 비행을 거의 안합니다. 글을 쓰는 오늘도 최강한파라 원래 계획한 비행이 있었는데

취소를 했습니다. ㅠㅠ

전세계적으로 유명한 드론회사인 DJI에서도 기체의 적정 작동 온도 범위는 영하10도~ 영상40도 사이라고

합니다. 그 이하든 이상이든 비행이 안되지는 않지만 구지 위험을 감수할 필요는 없겠죠?

4.배터리 폐기시에는 배터리 최대한 소모한 이후 소금물에 2-3일정도 담가둡니다.

완전히 방전시킨 후에는 집 베란다에서 소금물에 담궈도 되지만 잔량이 많이 남아있으면 집에서 하면

안됩니다. 안에서 가스가 나오기 때문에 주의하셔야 됩니다. 완전 방전된 배터리는 배터리 수거함에 넣으시면

됩니다.

리튬폴리머 배터리 병렬 충전

드론배터리 리튬폴리머 충전시 주의사항 입니다. 위 충전기는 4S~6S 배터리 전용 충전기라고 보시면 됩니다.

1. 반드시 전용 충전기를 이용하셔야 됩니다.

일반충전용 충전기를 이용하면 화재의 위험이 있으니 반드시 전용 충전기로 충전하시길 바랍니다.

리튬폴리머배터리는 cell 밸런스까지 잡아야하기 때문에 일반충전기를 쓰시면 안됩니다. 각 cell의 밸런스가

맞지 않으면 배터리 수명을 단축시키기 때문에 절대 일반 충전기를 쓰시면 안됩니다.

2. 충전을 걸고 1회 이상 배터리의 온도 체크를 합니다.

눈에 안보이게 망가진 배터리는 충전을 걸었을때 온도가 급격히 올라갑니다. 온도가 심하게 올라가는 배터리는

바로 폐기하셔야 됩니다.사실상 교육원이나 이런데서는 배터리가 워낙 많아서 이부분이 힘들긴하죠.

그래서 배터리 외관상태를 자주 봐주셔야 됩니다.

3. 충전중에는 외출을 하지 않습니다. 중간 중간 체크를 해줍니다.

휴대폰 충전처럼 충전을 걸고 잠을 자거나 외출을 하면 안됩니다. 잠을 자거나 외출을 할때는 반드시

전원을 분리하고 가시길 바랍니다. 충전이 되면 자동으로 멈추는 충전기들도 있기는 하지만 계속 걸어두는건

위험합니다.

4.충전 전류(A)는 1C 기준으로 합니다.

드론배터리 충전을 할때 몇 A로 충전을 해야되는지 모르는분들이 꽤 있습니다. 물론 DJI사의 드론들은 전용

충전기가 있기 때문에 몰라도 상관없지만 일반적으로는 설정을 해야하기 때문에 알아두셔야 합니다.

충전은 배터리의 용량과 비례하게

걸어주면 됩니다. 예를 들어 배터리 용량이 1300mAh 라고 한다면 1.3A로 충전하면 됩니다.

22,000mAh 용량 배터리라고 하면 22A로 하면 되겠죠? 충전 시간은 1:1 비율로 충전했을때

딱 1시간에 해당하는 용량으로 충전한다고 보시면 됩니다.

1300mAh 리튬폴리머 배터리 충전전류

저는 리튬폴리머 배터리를 4개씩 충전합니다. 1300mAh 리튬폴리머 배터리 4개니까 5,200mAh

충전시 전류는 5.2A로 해줍니다. 하지만 저같은 경우에는 배터리를 병렬로 여러개 충전할때는 충전전류를

조금 내려서 충전합니다. 전 4개씩 충전하는데 개당 1A인 4A로 충전합니다.

제 개인적인 성향이라 정답은 아닙니다. 병렬로 여러개를 충전할때 전압을 내려서 충전하는 이유는

리튬폴리머 배터리 셀 밸런스 포트

리튬폴리머 배터리는 충전을 하면서 각 cell의 밸런스까지 자동으로 잡아야됩니다.

충전전류를 높히면 더 빨리 충전이 되기는 하지만 cell 밸런스를 잡는데 시간이 오래걸리고 충전전류를 낮추면

천천히 충전되는 대신 cell밸런스가 잘잡히는 느낌이라 저는 충전전류를 좀 낮춰서 충전합니다.

개인 취향입니다. ㅋㅋ

사진에 보이시는 아래쪽 홈이 cell 밸런스 케이블을 연결하는 곳입니다.

5. cell당 편차가 0.1V이상 나는 배터리는 병렬로 동시에 충전하지 않기+ cell 편차 주기적으로 확인하기

리튬폴리머 배터리 셀당 편차

위사진에 나온 1.2.3.4번이 제가 연결한 배터리의 cell당 전압입니다. 4개니까 4S 배터리겠죠?

각 cell당 전압 차이가 0.1V이상 나면 개별 충전에는 지장이 없지만 동시 충전시에는 cell밸런스를 잡으면서

다른 배터리 cell을 오버히트 시켜 수명을 떨어트릴수 있기 때문에 가급적 따로 충전하시는게 좋습니다.

그리고 배터리 용량이 차이가 많이 나는것도 따로 충전하는게 좋습니다. 예를들어 750mAh 용량 배터리와

1800mAh 용량 배터리는 따로 충전하는게 좋습니다. 1800mAh 배터리가 충전 다될때까지

750mAh 배터리에 계속 밀어넣으면 배터리가 부풀거나 cell이 망가질수 있습니다.

하지만 요즘 충전기들이 좋아져서 완충된 배터리는 자동으로 차단하고 다른 배터리를 충전한다고하니

충전기는 너무 싼거 말고 좋은거로 쓰세요 ㅋㅋ

리튬폴리머 배터리 체커기

리튬폴리머 배터리 체커기 입니다. 왼쪽 사진처럼 cell 밸런스케이블을 이용해서 배터리 전압과 남은 잔량을

확인할수 있습니다. 체커기 가운데 cell 을 누르면 각 셀당 전압도 확인할수 있으니까 셀당 전압이 0.1V 이상나는

배터리는 개별적으로 충전하시는게 좋습니다.

6. cell당 편차 0.3V이상인 배터리는 과감하게 폐기!

체커기로 배터리 cell을 체크 했을때 편차가 심하면 고급 충전기에는 cell밸런스만 잡는 기능이 따로 있기 때문에

cell 밸런스만 따로 잡아보시고 cell밸런스가 잡히면 그냥 쓰면 되고 cell 밸런스가 안잡히면 폐기하시면 됩니다.

만약 cell밸런스 기능이 없는 충전기로 cell밸런스를 잡을때는 배터리를 절반정도 소모하고 저전류로 충전,

다시 배터리를 소모하고 저전류로 충전하는 방식으로 cell밸런스를 잡을수 있습니다.

cell밸런스 안잡히면 버리세요 ㅋㅋ

괜히 더 써보겠다고 하다가 드론 비행중에 갑자기 힘없이 추락해버립니다. 과감히 버리세요.

아니면 작은 배터리 충전용 배터리뱅크로 쓰셔도 되긴합니다. 부풀거나 찍히지만 않았으면요 ㅋㅋ

ISDT Q6 PRO 300w/14A 밸런스 충전기,병령 충전 보드,파워서플라이,1300mAh 리포배터리

제가 쓰고있는 리튬폴리머 전용 배터리 충전기 입니다. 충전기를 구매하시면 금액이 비싼 충전기는 파워서플라이가

따로 필요없지만 제꺼 같은 저렴이 버전은 파워서플라이를 따로 구매하셔야 됩니다.

제 충전기는 최대 DC7-32V, 15A까지 입력이 가능하고 14A까지 충전이 가능합니다.

충전용량에 맞는 파워서플라이를 구매하시면 됩니다. 저 같은 경우는 집에서 안쓰는 노트북

파워서플라이로 만들었습니다.

ISDT Q6 PRO 충전용 어댑터

제가 쓰던 노트북 파워서플라이인데 DC12V,10A 입력입니다. 충전기 허용 스펙보다 좀 낮은 어댑터죠.

리튬폴리머 배터리 충전도 저는 5A이상 거의 하지 않기 때문에 쓰는데 거의 지장이 없더라구요.

어댑터가 없는 충전기를 구매 하시는분들은 참고하시길 바랄께요.

레이싱용 리튬폴리머 배터리 충전기는 ISDT Q6 PRO, e4Q, IMAX B6, EDUTEK PEAK ONE

등이 있습니다. 구성품 자체에는 파워서플라이가 없지만 판매처에서 파워서플라이를 붙혀서 파는곳도

있으니까 잘 고르시면 됩니다. 개인적으로 e4Q 충전기는 비추합니다. 충전할때 보기 불편해요.

그리고 멀티 충전 병렬 보드는 ISDT Safe parallel Board 입니다. 비싸긴한데 고급지고 단단합니다.

저용량 리튬폴리머배터리는 위에 나온 충전기 정도면 충분하구요.

대용량 배터리 충전은 Dagan 1080,Graupner POLARON 시리즈 등을 가장 많이 씁니다.

폴라론 충전기는 드론 충전기의 거의 끝판왕이라고 할수 있습니다. ㅋㅋ

드론을 날리기 위해 반드시 지켜야될 드론배터리. 리튬폴리머 배터리에 대해서 알아보았습니다.

재미있고 쓰는데 유용한만큼 확실하게 관리해서 오래오래 쓸수 있는 리튬폴리머 배터리를

만드시길 바랍니다. 드론은 드론보다 배터리 값이 비싸요. 그러니 관리 잘하셔야 됩니다 ㅋㅋ

이상 드론을 사랑하는 Flydrones 였습니다.

DragonTiger

#리튬폴리머배터리 #드론배터리 #셀당편차 #cell편차 #리포배터리 #리포충전기 #배터리취급사항 #6셀배터리 #4셀배터리 #충전전압 #충전전류 #리포병렬충전 #리포밸런스 #리포폐기 #고양시드론 #일산드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