조선일보 구독자 수 - joseon-ilbo gudogja su

재무현황 전체보기

NICE평가정보 자료를 바탕으로 구성되었습니다.

2018.05기준

현금흐름등급, WATCH등급을 통해 살펴본 결과, 신용능력이 양호합니다. 외부환경 대처능력도 있습니다.

NICE평가정보 자료를 바탕으로 구성되었습니다.

  1. 1위

    (주)조선일보사

  2. 2위

  3. 3위

  4. 4위

  5. 5위

  1. 6위

  2. 7위

  3. 8위

  4. 9위

  5. 10위

표준산업 분류 기준 [신문 발행업]의 공시된 재무정보(매출액)를 기준으로 평가된 순위입니다.

2021기준

1937

01

'소년조선일보' 타블로이드판 4면 발행 시장

07

국내신문 최초의 지방판인 경북판 4면 발행개시

더보기

조선일보는 1920년 3월 5일 창간된 한국에서 가장 오래된 신문입니다. 또한 한국 ABC가 공인하는 가장 널리 읽혀지는 신문이기도 합니다. 발행부수 규모는 1999년의 경우 미국의 유명 언론잡지의 집계에 따르면 전세계 10위입니다. 또한 세계신문협회의 2000년판 World Press Trends에는 발행부수, 열독률, 매출액 등 신문관련 주요 지표에서 1위로 기록되어 있습니다. 또한 세계 주요 언론들은 The most influential newspaper in Korea, a leading newspaper in Korea 등등으로 조선일보를 표현하면서 많은 글을 인용하고 있습니다. 이처럼 조선일보는 최대부수, 최대 영향력으로 국내외에서 공인을 받고 있으며, 대한민국 성인 5명중 1명이 조선일보를 읽고 있다고 보면 됩니다. 조선일보사는 국내 최고의 영향력, 최대의 발행부수를 자랑하는 신문사입니다.향후 인터넷,위성방송등 첨단 미디어를 통한 종합정보통신매체를 지향하고 있습니다.

[기업이념]

조선일보 구독자 수 - joseon-ilbo gudogja su

[조직도]

조선일보 구독자 수 - joseon-ilbo gudogja su

[인재상]

조선일보 구독자 수 - joseon-ilbo gudogja su

[기업위치]
※ 본 위치는 정동별관점 정보입니다.

조선일보 구독자 수 - joseon-ilbo gudogja su

더보기

서울특별시 중구 태평로1가 조선일보사건물

지도보기

잡코리아 기업정보와 NICE평가정보 기업정보를 기반으로 기업 프로필을 제공합니다. 잘못된 정보는 신고해주시면 빠르게 전달하여 수정 검토하겠습니다.
게시된 정보는 무단으로 수집 및 배포할 수 없습니다.

잡코리아 고객센터 (T. 1588-9350, E. )

노웅래, 24일 최고위에서 "정부광고에서도 부당 이득.. 부수 '뻥튀기' 즉각 시정해야"

"언론진흥재단에서 20억 넘는 지원금 부정수령, 정부광고도 1000만원대 높은 단가로 부당이득"

[정현숙 기자]= 유료 구독자 수 116만부로 집계해 국내 최대 부수 1등신문을 자처했던 '조선일보'의 유료부수 조작이 만천하에 드러났다. 하지만 절반 수준인 58만부도 의심스럽다는 진단이 나왔다. 또한 부풀린 구독자 수로 5년간 20억을 부정수령했다는 것이다.

조선일보 구독자 수 - joseon-ilbo gudogja su
민주당 미디어·언론 상생TF 단장을 맡고 있는 노웅래 국회의원은 24일 국회에서 열린 당 최고위원회의에서 "조선일보의 부수 부풀리기 조작극이 드러났다"며 엄정한 시정조치를 촉구했다. 사진/노웅래 의원 페이스북

십수년 전부터 조선일보는 유료 독자가 200만 300만으로 과대포장을 해왔다. 그동안 유료 구독자 수를 뻥튀기해 국내 여론에 대단한 영향력이 있는듯이 조선일보가 허장성세를 부려왔지만 그 실체가 드러났다.

관련해 더불어민주당 미디어·언론 상생TF 단장을 맡고 있는 노웅래 최고위원은 "조선일보가 뻥튀기한 부수를 근거로 해서 최근 5년 동안 언론진흥재단으로부터 총 20억 원이 넘는 지원금을 부정 수령했으며 정부 광고에 있어서도 1000만 원대의 높은 단가를 받아 부당 이득을 챙겼다"라고 질타했다.

노웅래 최고위원은 24일 국회에서 열린 당 최고위원회의에서 "최고의 신문이라고 자부하는 조선일보의 부수 부풀리기 조작극이 드러났다"라며 이렇게 말했다.

노 최고위원은 "공식 보고된 유료신문 부수가 실제 부수보다 2배 가까이 뻥튀기됐다고 한다"라며 "문체부 실사 결과 9곳의 조선일보 표본지국에서 보고한 부수는 15만7000부였으나 실사 부수는 7만8000부로 절반에도 미치지 못했다고 한다"라고 지적했다.

이어 "이를 토대로 본다면 조선일보가 보고한 116만부의 유료부수 중에서 절반 가까이가 가짜"라며 "실제 조선일보 유료 부수는 60만부도 안 될 것"이라고 했다.

노웅래 최고위원의 발언대로면 종이신문의 발행·유료부수를 조사해 발표하는 ABC협회는 국민 혈세만 축내는 있으나마나한 존재이며 사실상 조중동의 노예임을 드러내는 것이라는 지적이 나왔다.

결국 정부와 언론진흥재단이 조선일보와 ABC협회의 말만 믿고 국민 세금으로 헛돈을 썼다는 얘기다. 노웅래 최고위원은 즉각 시정조치를 촉구했다.

조선일보 구독자 수 - joseon-ilbo gudogja su

노 최고위원은 "자신의 이익을 위해서 부수 조작도 서슴지 않는 이런 일그러진 언론 행태가 참으로 개탄스럽다"라며 "막강한 권력을 누리면서도 견제를 받지 않는 언론 권력에 잘못에 대해서 엄정히 바로잡아야 할 것"이라고 강조했다.

황희 "신문 부수조작 의혹....수사 의뢰도 검토중"

이와 관련해 문화체육관광부는 ABC협회의 '부수 부풀리기 정황' 등에 대해 법률 자문을 거쳐 수사 의뢰할 방침을 밝혔다. 향후 수사 결과에 따라 많은 파장이 대두된다.

이날 황희 문화체육관광부 장관이 신문들의 '유료부수 부풀리기 의혹'과 관련해 수사 의뢰가 필요할 수도 있다며 "법률자문을 의뢰했다"라고 밝혔다.

황 장관은 국회 문체위에서 앞서 김승원 민주당 의원이 문체부가 조선일보 등 일부 매체에서 '유료부수 부풀리기 의혹'에 대해 조사하고 있다는 보도가 있다고 묻자, "사무감사를 종료하고 결과를 분석하고 있다"라고 답했다.

황 장관은 이어 발행부수를 속여 광고주를 유인하는 것은 위법이라는 지적에, "문체부의 사무감사에는 한계가 있어서 수사에 가깝게 의뢰를 하거나 해야 한다"라며 "문체부가 의뢰할 수 있는지, 법률 자문을 맡긴 상태"라고 밝혔다.

앞서 판사 출신인 초선 김승원 의원은 지난 20일 페이스북에서 "이 땅의 민주주의가 제대로 유지되기 위해서는 그 무엇보다도 언론의 정상화가 시급하다"라며 "그 전에 사기범죄로 보이는 이번 ABC협회의 발행부수 조작 및 조선일보의 사기 범행에 대해 진실을 철저히 밝히겠다"라고 다짐했다.

그는 "조선일보는 지난 5년간 신문 및 뉴스의 유통과 관련해 매년 3~4억 원의 보조금을 수령하여 합계 20여억원에 이르는 지원금을 수령하였는데, 발행부수를 두 배나 뻥튀기 했다면, 그동안 조선일보는 각종 광고비와 지원금 산정에 부당한 특혜를 어마어마하게 받았을 것이라고 쉽게 추측할 수 있다"라며 이렇게 말했다.

조선일보 구독자 수 - joseon-ilbo gudogja su
을 응원해주세요.

기사 잘 보셨나요? 독자님의 응원이 기자에게 큰 힘이 됩니다.
후원회원이 되어주세요. 독자님의 후원금은 모두 기자에게 전달됩니다.
정기후원은 모든 기자들에게 전달됩니다.

정기후원 하기

저작권자 © 뉴스프리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

[네이버 '많이 본 뉴스' 빅데이터 분석]
구독자, 점유율, 송고 기사 수의 탈동조화

네이버 ‘많이 본 뉴스’ 매체별 점유율을 언론사들의 네이버 송고 기사수, 구독자 수와 맞물려 해석한 결과 일부 매체에서 콘텐츠 방향성과 방법론에 대한 고민이 시급한 것으로 나타났다. 네이버에서 높은 PV나 점유율이 좋은 저널리즘을 보장하는 것은 아니지만 지금 여기의 이용자가 ‘어떻게 쓰인’ ‘어떤 뉴스’를 원하는지 파악하지 못한 채 이뤄지는 디지털 전환 시도는 무의미할 수밖에 없기 때문이다.

기자협회보가 네이버 모바일 콘텐츠제휴 72개사를 대상으로 조사한 결과 지난 5일 오후 기준 400만 이상 구독자수를 확보한 매체는 중앙일보(496만명), JTBC(462만명), YTN(431만명), 조선일보(400만명 이상, 미공개)였다. 300만 이상은 연합뉴스(397만명), SBS(385만명), 한겨레(380만명), KBS(377만명), MBC(365만명), 경향신문(318만명), 매일경제‧한국경제‧동아일보(각 300만명 이상)였으며, 그 외 200만명 이상 17개, 100만명 이상 16개, 100만명 미만 26개 언론사였다. 

조선일보 구독자 수 - joseon-ilbo gudogja su

특히 일부 신문사의 구독자 수와 ‘많이 본 뉴스’ 점유율 순위(관련기사: 네이버 독식 '중‧조‧연'...디지털 뉴스 승자일까) 격차는 시사하는 바가 크다. 미공개 매체가 많아 정확한 순위 산정은 불가능하지만 한겨레와 경향신문, 동아일보는 구독자 수 기준 시 모두 300만 이상을 확보해 13위 내에 드는 언론사지만 점유율로는 각각 14위, 17위, 22위에 머물렀다. 구독자 수는 많은데 뉴스는 안 읽혔다는 의미다. 네이버 구독은 해당 매체 뉴스를 접하기 전 사전에 이뤄질 소지가 큰 만큼 전통적인 브랜드 인지도 영향이 크게 좌우한다. 반면 점유율은 뉴스란 결과물을 실제 얼마나 읽는지에 대한 솔직한 평가다. 이 격차는 앞서 언급한 매체의 뉴스가 적어도 네이버란 플랫폼에서 확장성이나 폭발력이 떨어진다는 판단으로 이어진다.


공교롭게도 이들 신문사는 전통적인 언론 규범이나 제작 방식에 대한 고려가 기성 매체 중에서도 강한 쪽이었다. 일부 특종이나 기획, 실험 등이 아니라 매일 일상적으로 생산하는 뉴스 형식과 내용 등에 대한 대응이 현재 국내 최대 뉴스 플랫폼 이용자가 원하는 바와는 거리가 있었다는 평이 가능하다. 구독자 수와 점유율은 그 자체로 최근 수 년 간 추진된 언론사 디지털 전환의 성적표란 성격을 띤다. 아무튼 읽혀야 의미가 있는 만큼 콘텐츠 방향성과 방법론에 대한 고민이 핵심에 올 필요가 있다. 

저녁 시간 메인뉴스가 여전히 네이버 대응 중심에 오는 방송사들의 점유율, 구독자 순위 격차 역시 같은 차원에서 해석할 수 있다. 실제 JTBC와 YTN은 4위 이내(400만명 이상) 구독자 순위, SBS와 KBS, MBC 등은 13위 내(300만명 이상) 구독자 순위였지만 점유율에선 각각 9위, 11위, 10위, 19위, 29위였다.

조선일보 구독자 수 - joseon-ilbo gudogja su


기사 수와 관련해 포털에 적은 수의 뉴스를 송고하고도 높은 점유율을 보인 중앙일보 사례는 유념할 만하다. 중앙일보는 ‘네이버에 송고한 기사 수’로는 점유율 상위 10개 매체 중 6위에 불과했는데 점유율과 구독자 수 모두 1위를 차지했다. 단순히 ‘실검 대응’이나 ‘어뷰징’ 차원을 넘어 ‘어떤 아이템’이 ‘어떻게 쓰였을 때’ 이용자에게 먹히는지 조직이 체득하고 있다고 볼 여지가 크다. 기사 수로는 연합뉴스(3위, 괄호 안 점유율 순위), 매일경제(8위), 한국경제(4위), 머니투데이(7위), 국민일보(5위) 등 순이었다.

관련기사: '저질 뉴스' 넘쳐나도… 네이버 순위권에만 들면 성공?

http://www.journalist.or.kr/news/article.html?no=48456

가장 많이 읽힌 뉴스 '사회' 강세... 올 1~10월까지 17억PV

http://www.journalist.or.kr/news/article.html?no=48464


최승영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