조사 주제 추천 - josa juje chucheon

1. 조사의 의의

○ 조사를 하는 목적 : 집단이나 사회의 특성을 탐색하고, 현상이나 상태를 기술하고, 원인을 설명하고자 조사를 시행하고 있음

○ 일반적으로 말하는 조사 : 넓은 의미에서 볼 때 사회조사의 한 형태

▷ 사회조사 : 사회현상을 객관적이고도 정확하게 파악하며, 나아가서 그런 현상 속에 내재하는 법칙을 규명한다는 의미

※ 사회 현상 : 주로 인간 집단의 속성이나 태도, 의견 혹은 그에 바탕을 둔 행동 간의 관계를 의미

○ 실천적 의미에서 조사

1) 문제가 되는 사회현상에 대한 본질의 파악

2) 특정 사회현상이 대중의 생활에 미치는 영향의 파악

3) 극복해야할 문제점의 발견과 그 해결 가능성

4) 문제 해결 방법에 동의 혹은 반대하는 개인들이나 집단의 특성

5) 적용 가능한 대안의 발견

6) 해결과정이나 단계의 제시 등 문제 해결의 방안을 모색하려고 함에 그 주요한 의의가 있다.

2. 연구 주제의 설정과 적합성

조사 주제 추천 - josa juje chucheon

  가. 연구 과제는 현실적으로 조사 가능한가?

○ 연구 주제의 범위 : 대부분의 조사 연구는 한 분야의 적은 영역을 집중적으로 다룸

○ 선정한 주제가 현실적으로 조사 가능한 것인지를 판단하는 것도 중요

○ 연구하려는 과제와 관련된 모든 용어들에 대해 개념적 정의가 가능한가

▷ 개념의 조작적 정의(operational definition) : 연구하려는 과제에 관해 양적 측정이 가능하도록 개념을 재정의하는 것 - 모든 조사주제는 측정 가능한 변인(variables) 및 그 조합으로 정의될 수 있어야 함

○ 연구하려는 과제가 과거에 연구된 적이 있다면 과거 연구 결과를 검토해 보아야 함

▷ 과거 연구에서 지적된 문제가 무엇인지

▷ 문제에 대한 해답을 얻기 위해 어떤 방법이 사용되었는지

▷ 그 결론은 무엇인지에 대한 사전적 통찰을 얻을 수 있게 됨

  나. 그 문제는 정말 중요한가?

○ 조사라는 도구를 통해 수집된 자료와 그로부터 유추된 결과는 사회적 활용을 항상 염두에 두고 그 주제가 갖는 연구 타당성을 검토할 필요가 있을 것

  다. 연구의 결과를 일반화 할 수 있는가?

○ 외적 타당도(external validity) : 어떤 연구 결과가 어느 한 순간이나 특정 상황에만 국한되지 않고 두루 여러 다른 상황에 적용될 수 있을 때, 즉 연구 결과가 일반화 될 수 있을 때 그 연구 과제는 외적 타당도를 가졌다고 말함

     ○ 연구의 시점과 연구 대상 등의 측면에서 연구 목적과 부합하여 일반화 될 수 있는 것

→ 현상의 이해에 유용한 연관성(혹은 법칙)을 추론

3. 연구 가설의 설정

○ 연구가설, 연구 문제 : 연구에서 다룰 변인들 사이의 관계를 잠정적으로 일반화시킨 진술

     ○ 가설의 성격

1. 가설은 개념적으로 명백해야 하며 그 표현은 간단명료해야 한다. 

2. 가설은 한정적이고 특화되어야 한다. 

3. 가설은 이론적 준거에 의하여야 한다.

4. 가설은 경험적으로 검증 가능해야 한다. 

5. 가설은 동의 반복적이어서는 안된다. 

6. 가설은 연구문제를 해결할 수 있어야 한다.

※ 내적일치도 : 동일한 개념을 나타내는 서로 다른 특성들을 측정하는 문항들이 같은 내용을 얼마나 잘 측정하는 거에 대한 지표로 사용되는 신뢰도

다운로드

(기관인증 필요)

키워드 보기

초록보기

코로나바이러스감염증-19 (coronavirus disease 2019, COVID-19)의 대유행 동안 이에 대응하기 위해 학교 폐쇄가 이루어졌고, 이에 대해 경제학, 사회학, 수학 모델링, 역학 및 공중 보건을 포함한 다양한 학문 분야에서 연구가 진행되고 있다. 인플루엔자 대유행의 모형으로부터 파생된 학교 폐쇄의 COVID-19에 대한 수리 모형은 상충되는 결과들을 보였다. 초기 연구에서는 학교와 지역사회 전반에 걸친 전파를 모델링하여 개학의 위험을 평가했으나, 이 위험이 성인 또는 소아의 전파 중 어떤 측면에 인한 것인지 여부는 여전히 불분명하다. 경험적인 결과들을 종합했을 때, 학교 폐쇄가 COVID-19 유행의 통제에 명확한 효과를 보여주지 못하였으며 이는 지역사회에 따라 COVID-19 유행의 규모가 다르고, 학교 폐쇄 정책이 다양하며, 여러 가지 대응 전략이 함께 사용되었기 때문일 수 있다. 학교 폐쇄의 이익은 불분명하고 정량화하기 어려운 반면, 학교 폐쇄에 따른 교육 격차 및 사회 경제적 부담 등 미래 세대에 치러야 할 잠재적인 사회적 비용이 매우 커질 것이다. 본 종설에서는 COVID-19 대유행에 대응하기 위한 학교 폐쇄의 영향에 대해 정리하고 소아청소년의 건강 영향에 대한 고찰을 통해 교육기관 등교 정상화에 대한 제언을 하고자 하였다.

School closures during the coronavirus disease 2019 (COVID-19) pandemic have been outlined in studies from different disciplines, including economics, sociology, mathematical modeling, epidemiology, and public health. In this review, we discuss the implications of school closures in the context of the current COVID-19 pandemic. Modeling studies of the effects of school closures, largely derived from the pandemic influenza model, on severe acute respiratory syndrome coronavirus 2 produced conflicting results. Earlier studies assessed the risk of school reopening by modeling transmission across schools and communities; however, it remains unclear whether the risk is due to increased transmission in adults or children. The empirical findings of the impact of school closures on COVID-19 outbreaks suggest no clear effect, likely because of heterogeneity in community infection pressure, differences in school closure strategies, or the use of multiple interventions. The benefits of school closings are unclear and not readily quantifiable; however, they must be weighed against the potential high social costs, which can also negatively affect the health of this generation.

다운로드

(기관인증 필요)

키워드 보기

초록보기

본 연구에서는 청소년기의 직업가치관의 명료화는 발달과업 중의 하나임을 전제로, 청소년기의 진로발달 패턴을 이해하기 위하여 진로성숙도를 함께 고려한 연구모형을 적용하였다. 이를 위하여, 청년패널조사 2012 2017년 자료를 활용하여 직업가치관의 순위 변화와 직업가치관이 진로성숙도에 미치는 영향을 파악하였다. 통계 분석은 SPSS 21.0 프로그램을 사용하여, 기술통계, ANOVA, 다중회귀분석을 적용하였다. 분석 결과, 2012년부터 2017년 동안 평균적으로 직업가치관의 순위는 통계적으로 유의한 상 중 하위의 세 집단으로 나뉘며, 각 집단 간의 직업가치관 구성은 변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직업가치관은 진로성숙도 계획성과 독립성에 각각 다른 영향을 미치고 있었다. 진로성숙도 전체에는 직업가치관 상위집단에 속한 직업가치관(성취, 경제적 보상, 직업안정, 지적추구)은 정적관계를 보인 반면, 하위집단에 속한 직업가치관(개인지향, 신체활동)은 오히려 부적관계를 보이고 있었다. 따라서 모든 직업가치관의 상승이 진로성숙도 향상에 모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은 아님이 확인되었다.

In this study, we applied the research model that considered work values and career maturity together to understand career development patterns in adolescence, while assuming that the clarification of work values in adolescence might be one of the development tasks. To this end, the 2012-2017 Youth Panel Survey was used to identify the change in the ranking of work values and examine the effects of work values on career maturity. We used the SPSS 21.0 program to apply descriptive statistics, ANOVA, and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The outcomes of the research showed that, on average, the ranking of work values between 2012 and 2017 was divided into three statistically significant groups, and the composition of work values among the groups remained unchanged. In addition, work values had different effects on career maturity planning and independence. With career maturity (as a whole), the upper group (such as achievement, economic compensation, job security, and intellectual pursuit) showed the positive relationship, whereas, the lower group (individual orientation, physical activity) had the negative relationship. Therefore, it was confirmed that the rise in all work values might not all have positive effect on the improvement of career maturity.

다운로드

(기관인증 필요)

키워드 보기

초록보기

Purpos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test anxiety, problematic drinking, depression, and quality of sleep between high caffeine drink intake and non-intake group and identify factors influencing the quality of sleep among nursing students. Methods: The design of this study was a descriptive correlational study. 180 participants of 1th to 4thgrade nursing students completed the questionnaire. Data were analyzed by the SPSS/WIN22.0 using descriptive statistics, independent t-test, chi-square test, ANOVA, Pearson’s correlation and multiple regression. Results: The mean scores of test anxiety, problematic drinking, depression, and quality of sleep in the high caffeine drink intake group were significantly high compared to those of the non-intake group. Sleep quality showed a positive correlation with test anxiety and problematic drinking. High caffeine drink intake and problematic drinking were the influential factors predicting quality of sleep. Conclusion: This implies that health education and policies on managing sleep quality and intake of high caffeine drinks should be essential to promote the health of nursing students.

다운로드

(기관인증 필요)

키워드 보기

초록보기

다운로드

(기관인증 필요)

키워드 보기

초록보기

본 연구는 제도가 딜레마 인지에 영향을 미치는지, 또 제도의 영향 정도에 따라 딜레마 대응에 차이가 있는지를 분석했다. 문재인 정부의 원전감축정책을 분석한 결과 신제도주의 관점의 ‘제도’는 딜레마 인지에 영향을 미치고, 제도의 영향 정도에 따라 딜레마 대응 차이가 발생되는 것을 알 수 있었다. 구체적으로 첫째, 원전육성정책하에서 4가지 제도(‘원전건설 관행에 따른 매몰 비용’, ‘원전입지지역지원제도’, ‘발전사업허가취소제도’, ‘손실보상제도’)가 형성되었고 동 제도들은 원전감축정책의 집행을 제약했다. 둘째, 동 제도들은 의사결정자가 정책결정단계에서 인지하지 못한 딜레마를 정책 집행단계에서 인지하는데 영향을 미쳤다. 셋째, 동 제도들의 영향 정도에 따라 서로 다른 딜레마 대응(딜레마 전가, 지연)이 나타났다. 동 연구 결과는 신제도주의 관점의 제도와 딜레마 인지 및 대응 간의 관계를 설명하고 있다는 점에서 이론적, 정책적 가치를 지닌다.

While the influence of institution on perceptions of policy dilemma has been identified, little is known about how institutions influence policymakers’ perceptions of and responses to policy dilemmas. Thus, it is not clear whether different institutions promote and/or discourage dilemma perceptions in the policy-making process. From the new institutionalism perspective, this paper examines how institutions influence policymakers’ propensity to identify policy dilemmas and lead to a change in policy portfolios for energy transition. Through a case study of the policy for nuclear phase-out policy, it is shown that institutions affect the perception and/or ignorance of policy dilemmas. A set of four institutions formed from the nuclear power plant (NPP) promotion policy includes a production of sunk cost resulting from the custom of prioritizing NPP construction for electricity generation, a subsidy for the surroundings of NPPs, an institution of revoking power generation project permission, and an institution of loss compensation. In the implementation stage of nuclear energy mitigation policy, these institutions affect policymakers’ perception of policy dilemmas that were neglected or ignored in the decision-making stage. This study also finds that different influences of institutions on dilemma perceptions lead to different responses to dilemmas, such as dilemma toss and decision delay. Implications for theory and practice are discussed with respect to the relationship between dilemma perception and response.

다운로드

(기관인증 필요)

키워드 보기

초록보기

근래 몇 년 사이에 음식점과 카페 등을 중심으로 ‘노키즈존(no kids zone)’이 많이 늘어났다. 이러한 노키즈존은 찬반 논란에도 불구하고 현재 대도시는 물론 관광지를 중심으로 지속적으로 생겨나고 있다.
본 고에서는 아동의 권리 보장의 필요성, 노키즈존과 이에 대한 인식, 아동의 특수성, 다른 국가의 상황과 노키즈존에 관련된 여러 가지 문제점 및 헌법적 쟁점 등에 대해 고찰해 보았다. 우리 헌법 제11조는 “모든 국민은 법 앞에 평등하고, 누구든지 성별, 종교, 사회적 신분에 의하여 차별을 받지 아니한다.”고 규정하고 있다. 각 기본권 주체들 간의 이해관계와 기본권의 충돌 문제 및 여러 가지 쟁점들을 종합해 보았을 때, 이러한 노키즈존 문제에 대해서 사회 구성원 모두가 만족하고 행복할 수 있는 방법은 없을까 생각해보아야 할 시점이다.
가능하다면 궁극적으로는 사회통합을 위해 헌법상 규범적 조화의 원리에 기반하여 충돌하는 기본권들과 헌법적 법익들이 모두 실현될 수 있는 최선의 이상적인 상황으로 나아가야 할 것이다. 지금의 노키즈존 논쟁은 소모적인 싸움이 되어 가고 있지만, 근본적인 해결과 개선을 위해서는 먼저 다른 사람의 권리를 존중하고 상대를 배려하려는 노력이 필요하다. 그러기 위해서 각 기본권 주체들의 노력은 물론이고 사회와 국가 차원의 지원과 방안 마련이 함께 수반되어야 할 것이다.

In recent years, No kids zone has increased a lot, mainly in restaurants and cafes. Despite the controversy over the pros and cons, the no kids zone is continuously emerging as a tourist destination as well as a large city.
This study examined the national feelings of the no kids zone and its characteristics, the situation of other countries, various issues related to the no kids zone, and constitutional issues. Article 11 of our Constitution stipulates that “all citizens are equal before the law, and no one is discriminated against by gender, religion, or social status.” When we put together the interests of each fundamental rights subject, the conflicts of fundamental rights and various issues, it is time to think about whether there is a way for everyone to be satisfied and happy about these no kids zone problems.
If possible, it is necessary to move to the best ideal situation where both the fundamental rights and the constitutional interests that conflict based on the principle of constitutional normative harmony can be realized for social integration. The current no kids zone debate is becoming a wasteful battle, but in order to solve and improve fundamentally, it is necessary to first respect the rights of others and to consider their opponents. In order to do so, it is necessary to accompany the efforts of each fundamental rights subject as well as the support and plan of the society and the state.

다운로드

(기관인증 필요)

키워드 보기

초록보기

최근 소년범죄의 폭력성 증대나 잔인한 사건이 자주 발생하면서 소년형사정책 근본 문제를 돌아보게 하고 있다. 형사처벌을 강화하는 것은 형사처벌에 마땅한 판단능력이나 책임능력을 가지고 있다고 가정한다. 하지만, 소년의 경우 아직은 발달단계이며, 성인 수준에 완전히 도달했다고 보기 어렵다. 유엔 「아동의 권리에 관한 협약」에서 소년범은 성인 범죄자와 구분하여 처벌하게 하고 있으며, 소년범에 대해서는 성인범과 다른 형사절차를 따르게 하고 있다. 또한, 소년범에게 형사처벌을 하더라도 성인범보다 판단능력이나 책임능력이 낮다고 보고 사형을 금지하거나 양형을 낮은 수준으로 정하고 있다. 국제적 약속과 한국의 특수성에 대한 신중한 검토 후에 소년법 폐지 등을 논할 필요가 있다. 따라서 이 논문은 소년범죄의 실태를 분석하고 그에 대한 대안을 제시하였다. 충분한 교화와 소년범죄의 예방적 효과를 위해 소년범의 소년원 장기 2년을 장기 3년으로 하고, 10세 이상 12세 미만의 소년도 소년원 송치처분을 가능하게 하고, 소년원 과밀화와 교화 효과 저하방지를 위한 시설 및 인원을 확충하며, 12세 이상인 촉법소년 수강명령의 경우에도 10세 이상으로 대상연령을 하향하는 제안을 하였다.

Children differ from adults in their physical and psychological development. Such differences constitute the basis for the recognition of lesser culpability, and for a separate system with a differentiated, individualized approach.
Recently, because of the expanding cruel crimes of the children in Korea, the issue of abolishing ‘Child Law’ became very hot in Korea. Influenced by that strong opinion of the society, Korean Government has a plan to lower the minimum criminal age of the child from age 14 to age 13.
On the contrary to this plan, UN Committee on the Rights of the Child(CRC) promotes key strategies for reducing the especially harmful effects of contact with the criminal justice system. Korea, a member of the CRC, needs to follow the Convention on the Rights of the Child.
This thesis analyzed Korean child crime statistics. However, the results of this analysis shows no urgent and clear need to lower the minimum age of criminal responsibility. Suggested alternatives to promote the prevention of child crime as a policy not to abolish ‘Child Law’ of Korea; expand the long term of the child custody institution period from 2 year to 3 year, enlarge the child custody facilities, and lower the age of the children who participate in the rehabilitation educations from 12 year to 10 year.

다운로드

(기관인증 필요)

키워드 보기

초록보기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main characteristics of the MZ generation and the language and characteristics used by the MZ generation in relation to the 2030 generation, which is the mainstay of social interest discussed in various fields.
Generation MZ collectively refers to Generation M, Millennial and Generation Z. In this study, based on the fact that generations in their 20s and 30s are grouped together as MZ generations, the Millennial generation is classified into 1980-1995 and Generation Z is classified into 1996-2002.
The MZ generation values individual tastes as a "digital native" generation, but knows how to respect diversity. In addition, it is a generation that has a 'Flex' culture but knows how to consume valuable things. In life, they pursue work life balance and have both Yolo and FIRE characteristics, which are concepts that seem to be at the peak of each other.
Based on the characteristics that appear in the MZ generation, it can be seen that their language has meme and multi-persona (sub-character) characteristics through buzzwords and new words that appear mainly on SNS. The MZ generation applied and used meme expressions that were popular in various situations, and specific examples showed that words were used in about five ways: abbreviations with only the first syllable (no understanding of meaning), abbreviations with only the first syllable (no understanding of meaning), new words with synthesis, and words with "trans-boundary" methods. It can be seen that the MZ generation uses images in popular photos reflecting the latest trends on the Internet, photos using subtitles in videos, or videos that express what they want to say in a contextual way to sublimate them and use them as a "meme" language. Their preference to express themselves with honest words and actions without hesitation in expressing themselves, but not crossing the line, can also be seen as a characteristic of their language.
In the modern society of the digital age, where information is changed in real time, various generations live together. Conflicts between generations have existed in any era since ancient times, but they seem to be intensifying more than ever as the generation gap is extreme in the rapidly changing digital world. Conflicts between generations are only endlessly repeated like Mobius' band with the mindset of "who is right and who is wrong." Through communication with each other, we need to find a solution by understanding, acknowledging, and respecting each other's differences little by little.

다운로드

(기관인증 필요)

키워드 보기

초록보기

최근 소년범죄의 흉포화로 인한 소년법의 개정 내지 폐지운동이 이슈화되고 있다. 이러한 논쟁은 사실 오랜 전부터 진행되어 왔다. 그러나 그 정점에 도달한 것은 2015년 경기도 용인 ‘캣맘사건(Cat Mom Case)’이다. 당시 이 사건의 가해자가 형사미성년자(9세)로 처벌을 할 수 없어 형사책임연령을 낮추자는 여론이 비등하면서부터 시작되었다. 하지만 이러한 여론은 반영하지 못한 채 최근 인천초등생 살인사건, 부산 여중생 폭행사건으로 다시 사회문제화 되고 있다.
이러한 논쟁의 큰 쟁점은 소년법상의 보호처분과 형법상의 형사책임연령을 낮추어 처벌의 강화로 소년범죄에 대처하자는 주장과 판단력 등이 성숙하지 못한 아이들을 무조건 처벌하는 것이 범죄 예방이나 근절에 능사가 될 수는 없다는 주장이다.
시실 2007년 급증하는 소년범죄의 예방을 위해서 보호처분의 대상을 12세에서 10세로, 소년법 적용 상한 연령도 만 20세에서 만19세 미만으로 낮추었다. 뿐만 아니라 18세 미만이라 하더라도 살인 등 강력범죄의 경우 20년까지 형을 선고할 수 있도록 관련법을 개정하였다.
그러나 여전히 소년범죄는 크게 감소하지 않고 흉포화도 줄어들지 않아 소년범의 연령을 19세 미만에서 18세 미만으로, 살인과 같은 특정 강력범죄의 경우 최대 형량을 제한한 소년법의 적용을 받지 않는 내용의 ‘특정강력범죄법’ 개정안이 국회에 계류 중에 있다.
현재 형사미성년자 연령을 우리나라처럼 14세 미만으로 규정하고 있는 국가가 가장 많고, 그 다음으로 7세 미만인 국가가 많다. ‘소년사법운영에 관한 유엔최저기준규칙(The Beijing Rules)’과 아동권리협약’(Convention on the Rights of the Child)은 형사미성년자를 과도하게 낮게 정하지 못하도록 하면서 그 한계선을 12세 이하로 정하지 못하도록 하고 있다.
이러한 세계의 흐름에 현재의 우리나라도 다수의 국가가 형성하고 있는 영역에 포함되어 있다. 문제는 현 시점에서 여론의 등에 업고 형사처벌의 연령을 낮추는 동시에 소년범죄의 엄벌화로 나아가는 것이 바람직한 것인지, 아니면 현재 법의 테두리 안에서 다른 처분을 할 수 있는 가능성을 두고 그중에서 사회가 용인할 수 없는 그런 상황이 되면 처벌을 강화해야 하는 지가 주된 쟁점으로 보인다.
따라서 본 논문은 현 시점에서 소년관련 법을 개정하여 소년범죄자들을 엄벌하는 것이 최선의 방법인지에 대해서 고민하고 그 대안을 세우는 것이 이 논문의 목적이다.

Recently, a movement of revision or abolition of the Juvenile Act has been an issue due to ferocity of juvenile delinquency, as a matter of fact, which has long been proceeding. However, what reached the peak of the debate was the 'Cat Mom Case' in Yongin, Gyeonggi-do, 2015. It started with the rising public opinion that should lower the criminal responsibility age as the offender of that case was a criminal minor (9-year-old) and couldn't be punished. However, such public opinion has not been reflected yet and has become a social problem again due to recent cases of Incheon elementary school student homicide, Busan women's middle school violence.
There are arguments that cope with juvenile delinquency by probation on the Juvenile Act and lowering criminal responsibility age on the Criminal Act to strengthen punishment. And another is that it doesn't work to punish unconditionally juvenile who has immature judgement to prevent or eradicate crime. In fact, the object of probation was lowered from 12 years old to 10 years old and the upper limit of the Juvenile Act was lowered from 20 years old to 19 years old to prevent rising juvenile delinquency in 2007. Furthermore, relative acts were revised to sentence up to 20 years in case of violent crimes such as homicide even if they are under age of 18 years.
However, juvenile delinquency and its ferocity has not been largely reduced. And an amendment of 'Act on Specific Violent Crimes' is pending in the National Assembly which lowers the age of juvenile delinquent from under 19 years old to under 18 years old and is not applied in case of specific violent crimes such as homicide by the Juvenile Act that restricts maximum sentence. At present, there are many countries where the age of criminal minor is under 14 years old as in Korea, and under 7 years old in others. The 'Beijing Rules' and 'Convention on the Rights of the Child' do not permit to excessively set the limit age of criminal minor under 12 years old. At present, Korea is also included in the area which is currently being formed by many countries.
The major point in this dispute is whether to lower the age of criminal punishment and strengthen punishment of juvenile delinquency at the same time with support of public opinion from now on or to maintain possibility that can take other measures within current framework of law and then strengthen punishment when circumstances are not acceptable by society.
Therefore,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prepare for the measures and consider whether it is the best way at present to punish severely juvenile delinquents by revising relevant Juvenile Act.

다운로드

(기관인증 필요)

키워드 보기

초록보기

MZ세대는 최근 기업이나 정부기관이 커뮤니케이션에 있어서 많은 관심을 받고 있는 대상이다. Z세대에 대해 많은 기업과 기관들이 핵심 타겟으로 고려하고 있지만, 이들을 선택한 근거로서의 MZ세대 특성이 과연 MZ세대만이 독특하게 가지는 커뮤니케이션 특성일 수 있는가에 대한 검증이 이루어지지는 않고 있다. 본 연구는 MZ세대가 가지고 있다고 기술되는 커뮤니케이션 특성들을 실제로 MZ세대가 가지고 있는가를 검증하는 것이 핵심이다. 따라서 본 연구는 MZ세대의 커뮤니케이션 특성이라고 기술되는 핵심컨셉 5가지를 도출하고, 이 컨셉에 대한 MZ세대, X세대, 그리고 베이비붐세대와 비교 분석을 실시했다. 비교분석을 위해 200명의 M세대(밀레니얼세대), Z세대, X세대, 그리고 베이비붐세대를 대상으로 ARS 전화 서베이를 실시했다. 분석 결과, 다른 세대보다 MZ세대가 SNS를 포함한 디지털 미디어에 대한 능숙도와 새로운 콘텐츠에 대한 선호도에 있어서 좀 더 높은 점수를 보였다. 그러나 문제해결능력, 공정 및 가치관, 도전의식 등에 있어서는 MZ세대와 다른 세대 사이의 차이가 통계적으로 유의미하게 나타나지는 않은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의 결과는 특정 세대를 설명하는데 있어서 다른 세대와 구분되는 독특함이 있어야 하고, 그 독특한 특성의 근거는 객관적이고 체계적인 분석을 통해 도출되어야 함을 시사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verify whether the MZ generation actually has the communication characteristics that the MZ generation has. Although many companies and institutions are considering the MZ generation as a key target, verification has not been made as to whether the communication characteristics of the MZ generation as a basis for their selection can be a characteristic unique to the MZ generation. Therefore, in this study, five core concepts described as communication characteristics of the MZ generation were derived, and comparative analysis was conducted on these concepts with the MZ generation, X generation, and baby boomers. For comparative analysis, an ARS telephone survey was conducted on 200 people of Generation M(millennials), Generation Z, Generation X, and Baby Boomers. As a result of the analysis, the MZ generation showed higher scores in proficiency in digital media including SNS and preference for new content than other generations. However, the difference between the MZ generation and other generations was not statistically significant in problem-solving ability, fairness and values, and willingness to take on challenges. The results of this study suggest that there must be a uniqueness that distinguishes a specific generation from other generations, and that the basis for that unique characteristic need to be derived through an objective and systematic analysi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