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임스 웹 우주망원경 구조 - jeimseu web ujumang-wongyeong gujo

제임스 웹 우주망원경
James Webb Space Telescope
제임스 웹 우주망원경 구조 - jeimseu web ujumang-wongyeong gujo

제임스 웹 우주망원경의 일러스트레이션
임무유형 우주망원경
관리 기관 미국 항공우주국
유럽 우주국
캐나다 우주국
우주 망원경 과학 연구소[1]
웹사이트 http://www.jwst.nasa.gov
임무기간 5년 ~ 10년
우주선 제원
제작사 볼 에어로스페이스 & 테크놀로지스
노스럽 그러먼
발사중량 6,500 kg[2]
크기 20.197 m × 14.162 m (66.26 ft × 46.46 ft)
출력 2,000 와트
임무 개시
발사일 2021년 12월 25일 UTC 오후 12시 20분
발사체 아리안 5 ECA
발사위치 기아나 우주 센터
임무 종료
궤도요소
기준계 1.5×10^6 km
(L2 라그랑주 점)
궤도유형 헤일로 궤도
근점 고도 374,000 km (232,000 mi)[3]
원점 고도 1,500,000 km (930,000 mi)[3]
공전주기 6개월
망원경 제원
유형 3-미러 아나스티그맷
구경 6.5 m (21 ft)
초점거리 131.4 m (431 ft)
집광부 25.4 m2 (273 ft2)[4]
파장 0.6 ~ 28 µm
관측장비
장비 1 NIRCam
특징 근적외선 카메라
장비 2 NIRSpec
특징 근적외선 분광기
장비 3 MIRI
특징 중적외선 관측 장치
장비 4 NIRISS
특징 근적외선 Imager and Slitless 분광기
장비 5 FGS
특징 고정밀도 유도 센서

제임스 웹 우주망원경 구조 - jeimseu web ujumang-wongyeong gujo

온도 디핑 테스트를 받는 제임스 웹 우주망원경의 거울

제임스 웹 우주망원경 구조 - jeimseu web ujumang-wongyeong gujo

제임스 웹 우주망원경(영어: James Webb Space Telescope, JWST;)은 노후화 된 허블 우주망원경의 뒤를 이을, 가시광선 및 적외선 관측 우주 망원경이다. 이 망원경의 주목적은 지상에 설치된 망원경이나 허블 우주 망원경이 관측하지 못했던, 우주의 아주 먼 곳 심우주의 우주 먼지에 가려진 외계행성과 별 등의 천체를 관측하는 것이다.

JWST라는 명칭은 NASA와 ESA, 그리고 SCA의 협력 하에 지었다. 이 망원경은 원래 "차세대 우주 망원경"(NGST; Next Generation Space Telescope)이라 불렸으나, 2002년에 NASA의 제2대 국장인 제임스 E. 웨브(James E. Webb)의 이름을 따서 현재의 이름으로 명명되었다.[5] 수차례 발사가 연기된 후, 2021년 12월 25일 오후 9시 20분 (한국 시간)에 프랑스령 기아나에 있는 기아나 우주 센터에서 아리안 5 로켓에 실려 발사되었다.

발사후 27분 후에 아리안 로켓의 상단부에서 성공적으로 분리되어, 약 1개월에 걸쳐 목적지의 궤도에 성공적으로 진입하였다.[6][7] 몇주간에 걸쳐 우주 망원경을 작동온도에 도달하도록 냉각시킨 후, 약 5개월에 걸쳐 최종 시험 및 수치보정(캘리브레이션) 절차를 수행하는데 최초의 영상도 획득할 예정이다.[8][9] 그 후 본격적으로 연구 프로그램을 시작하게 된다.[10][11]

임무[편집]

제임스 웹 우주 망원경의 주된 임무는 적외선(우주 마이크로파 배경)을 조사해, 현재 관측 가능한 우주의 초기 상태에 대해 연구하는 것이다. 이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서 이 망원경에는 고감도 적외선 센서와 분광기 등이 탑재될 것이다. 망원경 설비 자체에서 나오는 적외선 방출 때문에 관측이 방해받는 일이 없게 하기 위해 장비들은 40켈빈(−233.15 °C)이라는 극저온 상태에 놓일 것이고, 또한 태양빛이나 지구와 달로부터 반사되는 빛도 피하기 위해 작게 접혀진 차광판이 부속하게 될 것이다. JWST는 허블 우주 망원경처럼 지구 주위를 도는 것이 아니라 지구에서 150만 km 떨어진 태양-지구의 L2 라그랑주 점에 위치하게 되는데, 그렇게 되면 망원경의 관측 시야에서 태양과 지구가 동일한 상대적 위치에 놓이게 되어 차광판이 제대로 역할을 수행할 수 있게 된다. 하지만 허블 우주 망원경이 지표로부터 610km라는 비교적 낮은 궤도상에 위치하고 있어 광학 기기에 이상이 있을 때 수리나 부품 교체가 가능했던 데 반해, JWST는 먼 거리 때문에 그럴 수 없다는 단점이 있다. 따라서 제임스 웹 망원경에 문제가 생겨버리면 문제가 생긴 상태로 관측을 해야 한다.

최근(2021년) 일론머스크의 SPACE X 사에서 스타쉽(STAR SHIP)이라는 완전 재사용 우주선을 한창 개발 중 인데, 페이로드 100톤에 직경 8미터에 달하는 화물창을 운용 가능하고, 지구 궤도상에서 연료 재보급까지 가능하여, 화성이나 달까지도 비행이 가능한 목표를 세우고 있고, 승객과 화물을 태우고 지구나 화성 ,달에 수직착륙이 가능하다. 이 우주선이 실용화되면 L2 라그랑주 포인트에 위치한 JWST 에 도달하여 망원경을 수리하거나 지구로 회수 및 재발사가 가능해질 전망이다.

또한 직경8 미터의 화물창을 사용하여, 복잡한 폴딩구조를 가지지 않는 분할 되지 않는 원피스 8미터 직경의 망원경이나, 폴딩형의 경우에는 JWST보다 몇 배 더 큰 망원경도 발사할 수 있을 것으로 보여 우주망원경 천문학의 새로운 시대가 열릴것으로 기대된다.

이미 NASA 에서도 SPACE X사에 STAR SHIP으로 JWST의 발사가 가능할지 가능성을 문의한 상태인데, 가능하다는 답변을 얻었다고 한다.(실제로 발사되지는 않음)

구조[편집]

제임스 웹우주 망원경의 질량은 허블 우주 망원경의 절반 수준인 6.5t으로 계획되고 있다.그리고 베릴륨을 주소재로 한 주 반사경의 지름은 6.5 m로서 2.4 m인 허블 우주 망원경의 2.5배에 달해, 뛰어난 관측 성능이 기대되고 있다. 주 반사경은 한 장이 아니라 18개의 육각형 조각으로 분할되어 있다. 이 반사경 조각들은 발사 전에는 접혀져 있다가 망원경이 발사된 후에 우주에서 펼쳐지도록 설계되어 있다.

특징[편집]

광학[편집]

JWST의 주경은 금으로 코팅된 베릴륨 반사경으로 지름 6.5m, 25m²의 집광 면적을 가지고 있다. 현재의 발사체로 운반하기에는 너무 커서 18개의 육각형 거울로 분할되어 있으며 발사 후 펼쳐지게 된다. 위상 변화를 통해 영상평면의 파면은 매우 정밀한 마이크로 모터를 사용하여 적절한 위치에 거울 부분을 위치시킨다. 초기 설정 후, 거울들은 가장 최적인 초점을 유지하기 위해 며칠마다 자주 업데이트 해야 한다. 이것은 지속적으로 중력이나 태양풍, 하중의 영향을 극복하기 위해 능동적인 광학계를 이용하여 그 거울 부분을 조정하며 켁 망원경과 같은 지상 망원경과 다르며, 우주에서 망원경에 대한 환경적 방해가 없기 때문에 가능하도록 만들어진다.

JWST의 광학 설계를 통해 넓은 시야에서 광학 수차를 포함하지 않는 영상을 제공하기 위해 곡선 제 2 및 제 3 거울을 이용한 3개의 비점수차 보정 렌즈이다. 또한 여러번의 이미지 안정화를 제공하는 두 번째 위치를 조정할 수 있고, 고속 스티어링 거울이 있다. (주)Ball 항공 우주 및 기술은 그린벨트, 메릴랜드에 있는 NASA 고다드 우주 비행 센터에서의 계약에 따라 주로 계약 Northrop Grumman 항공 우주 시스템이 이끄는 JWST 프로그램의 주요 광학 하청이다. 18개의 주경 부분의 이차, 삼차와 세세한 스티어링 거울, 플러스 비행 여분 Axsys, 브러시 웰 및 틴 슬리 연구소를 포함한 여러 회사에서 제조된 베릴륨 세그먼트 공백을 기반으로 제조 하고 Ball 항공 우주에 의해 연마 되어 있다. 2011년 6월 시점에서는 강성의 지지 프레임과 극저온의 액체추진에이터를 포함한 6개의 완전히 완료된 거울 부분의 첫 번째 세트는 미국 항공우주국 (NASA) 마셜 우주 비행 센터에서 마지막 시험을 치르고 나머지 거울 을 모두 테스트 하고 있었지만, 예정보다 2개월 전인 2011년 12월에 완료했다.

과학 장치[편집]

통합 과학 도구 모듈(ISIM)은 4개의 과학 장비와 가이드 카메라를 포함한다. 근적외선 카메라 (Near InfraRed Camera, NIRCam)는 가시광 영역의 끝 부분(0.6 micrometers)부터 근 적외선(5micrometers)사이 범위를 적용하는 적외선 화상처리기이다. NIRCam은 파면 감지와 통제 활동을 위해 요구되는 천문대의 파면 센서처럼 사용될 것이다. 애리조나 대학팀이 주도하여 NIRCam을 만들고 있다.

Near InfareRed Spectrograph (NIRSpec)

근 적외선 스펙트로 그래프(Near InfareRed Spectrograph, NIRSpec)은 동일한 파장 범위를 넘어 분광관측을 수행할 것이다. NIRSpec은 유럽 우주 기구(ESA)에 의해 만들어지고 있다. NIRSpec 설계는 3가지 관측 모드를 제공한다: 프리즘을 이용한 저해상도 모드를 R에서 1000 다중 객체 모드 및 R ~ 2700 적분 필드 단위 또는 long-slit 분광기 모드전환에 의해 만들어진 필터 휠 어셈블리라는 파장의 사전 선택 메커니즘을 작동하고 격자 휠 어셈블리 기구를 이용해 통신하는 분산 소자 ( 프리즘 또는 회절 격자 )를 선택 한다. 두 기구는 적외선 우주 천문대에서 성공한 ISOPHOT 휠 메커니즘을 기반으로 하고 있다. 다중 객체 모드는 어떤 위치에 보기 NIRSpec 영역에서 개별 개체 의 수백개의 동시 관측 을 가능하게 하기 위해 복잡한 마이크로 셔터 기구에 의존하고 있다. 메커니즘과 그 광학 소자 설계되었고, 통합되어 있으며, 아스트리움의 계약에 따라, 독일의 칼 자이스사에 의해 테스트되고 있다.

Near InfraRed Spectrograph (NIRSpec)

NIRSpec 설계는 3 관찰 모드가 준비되어 있다. 프리즘을 이용한 저해상도 모드를 R에서 1000 다중 객체 모드 및 R ~ 2700 적분 필드 단위 또는 long-slit 분광기 모드전환에 의해 만들어진 필터 휠 어셈블리라는 파장의 사전 선택 메커니즘을 작동하고 격자 휠 어셈블리 기구를 이용해 통신하는 분산 소자 ( 프리즘 또는 회절 격자 )를 선택 한다. 두 기구는 적외선 우주 천문대에서 성공한 ISOPHOT 휠 메커니즘을 기반으로 하고 있다. 다중 객체 모드는 어떤 위치에 보기 NIRSpec 영역에서 개별 개체 의 수백개의 동시 관측을 가능하게 하기 위해 복잡한 마이크로 셔터 기구에 의존 하고 있다. 메커니즘과 그 광학 소자 설계되었고, 통합되어 있으며, 아스트리움의 계약에 따라, 독일의 칼 자이스사에 의해 테스트되고 있다.

Mid-Infrared Instrument (MIRI)

중적외선 장비(MIRI)는 5 ~ 27 마이크로미터, 중적외선 파장 범위를 측정 할 수 있다. 이것은 중적외선 카메라와 영상 분광기가 모두 포함되어 있다. MIRI는 미국 항공 우주국 (NASA)과 유럽 국가의 컨소시엄과의 제휴로 조지 리 케 (애리조나 대학)와 질리안 라이트 (영국 천문학 기술이 주도하고있는 센터, 에든버러, 과학 기술 시설위원회 (STFC)의 일부)에 의해 개발되었다. MIRI도 개발하고 천문학을 위한 막스 플랑크 연구소, 하이델베르크에서의 계약에 따라 칼 자이스사에 의해 구축되어 NIRSpec뿐만 아니라 자동차 같은 장비를 갖추고 있다. MIRI의 완성 광학 벤치 어셈블리는 ISIM에 최종 통합을 위해 2012년 중순에 고다드에 전달되었다.

Fine Guidance Sensor (FGS)

프로젝트의 과학자 존 해치 스(헤르츠 베르크 천체물리학 연구소, 캐나다 국립 연구위원회)에서 캐나다 우주국 이 주도하는 Fine Guidance 센서(FGS)는 과학자가 관측하는 동안 관측 방향을 안정시키기 위해 사용된다. FGS에의한 측정은 우주선 전체의 방향을 제어하기 위해 영상 안정화를 위해 작은 스티어링 거울을 구동 하기 위해 사용된다. 캐나다 우주국은 또한 몬트리올 대학의 수석 연구원인 르네 도영이 이끄는 0.8에서 5 마이크로 미터 파장 범위의 천문 영상 및 분광을 위한 근적외선 영상과 슬릿이 없는 분광기( NIRISS )의 모듈을 제공 하고있다. 그래서 NIRISS는 물리적으로 FGS과 함께 장착 되고 그들은 종종 개별적인 장비라 하지만, 그들은 하나의 과학 장비이며, 다른 하나는 관측소의 지원 인프라의 일부이며 전혀 다른 목적을 완수한다.

NIRCam과 MIRI는 외계 행성이나 밝은 별 바로 옆에 항성 주변 디스크 등의 희미한 대상의 관찰을 위해 별빛을 차단하는 코로나 그래프를 제공한다. NIRCam, NIRSpec, FGS 및 NIRISS모듈의 적외선 감지기는 텔레다인 영상 센서(구 로크웰 과학 회사)에 의해 제공되고 있다.

과학적 결과[편집]

제임스 웹 우주망원경 구조 - jeimseu web ujumang-wongyeong gujo

JWST의 첫 공식 이미지 - 은하단 SMACS J0723.3-7327
(11 July 2022)[12][13]

2022년 7월 11일, 조 바이든 미국 대통령은 첫 공식 이미지와 분광데이터를 공개했다.[12][13][14] NASA는 4개 목록을 더 공개했다.[15][16]

  • 용골자리 성운
  • WASP-96b
  • 팔렬 성운
  • 슈테팡 5중주
  • SMACS J0723.3-7327, 멀리 있는 운하의 중력 렌즈[17]

갤러리[편집]

  • 제임스 웹 우주망원경의 첫 관측 이미지들 (2022년 7월 12일)
  • 제임스 웹 우주망원경 구조 - jeimseu web ujumang-wongyeong gujo

  • 제임스 웹 우주망원경 구조 - jeimseu web ujumang-wongyeong gujo

    팔렬 성운(남쪽 고리 성운; left: NIRCam; right: MIRI)

  • 제임스 웹 우주망원경 구조 - jeimseu web ujumang-wongyeong gujo

    슈테팡 5중주 (NIRCam)

  • 제임스 웹 우주망원경 구조 - jeimseu web ujumang-wongyeong gujo

    슈테팡 5중주 (MIRI)

  • 제임스 웹 우주망원경 구조 - jeimseu web ujumang-wongyeong gujo

    WASP-96b 외계 행성의 스펙트럼

같이 보기[편집]

  • 허블 우주망원경
  • 우주망원경
  • 고선명 우주망원경
  • 광각 적외선 우주망원경
  • 뉴 월드 미션
  • 물리 우주론
  • 레이저 간섭계 중력파 관측소

각주[편집]

  1. “NASA JWST FAQ "Who are the partners in the Webb project?"”. NASA. 2011년 11월 29일에 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2011년 11월 18일에 확인함.
  2. “JWST - Frequently Asked Questions”. NASA. 2015년 6월 26일에 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2015년 6월 29일에 확인함.
  3. ↑ 가 나 “JWST (James Webb Space Telescope)”. ESA eoPortal. 2015년 4월 5일에 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2015년 6월 29일에 확인함.
  4. “보관된 사본”. 2019년 5월 9일에 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2019년 8월 1일에 확인함.
  5. 'James Webb'의 한글 표기로 국립국어원에서는 '제임스 웨브'를 제시하고 있으나 https://korean.go.kr/front/search/searchAllList.do, https://www.korean.go.kr/front/onlineQna/onlineQnaView.do?mn_id=216&qna_seq=117705 참조, 한국내 거의 대부분의 매체에서는 '제임스 웹'으로 표기하고 있다.
  6. Roulette, Joey (2022년 1월 24일). “After Million-Mile Journey, James Webb Telescope Reaches Destination - The telescope’s safe arrival is a relief to scientists who plan to spend the next 10 or more years using it to study ancient galaxies.”. 《The New York Times》. 2022년 1월 24일에 확인함.
  7. https://blogs.nasa.gov/webb/2022/01/24/orbital-insertion-burn-a-success-webb-arrives-at-l2
  8. Mission and Launch Quick Facts - "After reaching its orbit, Webb undergoes science and calibration testing. Then, regular science operations and images will begin to arrive, approximately six months after launch. However, it is normal to also take a series of "first light" images that may arrive slightly earlier."
  9. NASA JWST Blog: observations expected to be available by summer 2022 ("Rest assured that this summer will sizzle with the hot (nay cold?) observations we will soon be sharing!")
  10. Overbye, Dennis; Roulette, Joey (2022년 1월 8일). “A Giant Telescope Grows in Space - Everything is going great for the James Webb Space Telescope. So far.”. 《The New York Times》. 2022년 1월 9일에 확인함.
  11. Koren, Marina (2022년 1월 8일). “Even NASA Seems Surprised by Its New Space Telescope - The $10 billion mission is working better than anyone could have predicted.”. 《The Atlantic》. 2022년 1월 10일에 확인함.
  12. ↑ 가 나 Garner, Rob (2022년 7월 11일). “NASA’s Webb Delivers Deepest Infrared Image of Universe Yet”. 《NASA》. 2022년 7월 12일에 확인함.
  13. ↑ 가 나 Overbye, Dennis; Chang, Kenneth; Tankersley, Jim (2022년 7월 11일). “Biden and NASA Share First Webb Space Telescope Image - From the White House on Monday, humanity got its first glimpse of what the observatory in space has been seeing: a cluster of early galaxies.”. 《The New York Times》. 2022년 7월 12일에 확인함.
  14. https://twitter.com/NASA/status/1546290906046816256?s=20&t=XQLf6s1HiGOLerxFwCZJWQ 틀:Bare URL inline
  15. Timmer, John (2022년 7월 8일). “NASA names first five targets for Webb images”. 《Ars Technica》 (미국 영어). 2022년 7월 8일에 확인함.
  16. Garner, Rob (2022년 7월 8일). “NASA Shares List of Cosmic Targets for Webb Telescope’s 1st Images”. 《NASA》. 2022년 7월 8일에 확인함.
  17. Tingley, Brett (2022년 7월 8일). “NASA unveils list of 1st targets for James Webb Space Telescope”. 《Space.com》 (영어). 2022년 7월 8일에 확인함.

외부 링크[편집]

  • James Webb Space Telescop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