장비 가동률 계산 - jangbi gadonglyul gyesan

생산관리자가 알아야 할 핵심 성과 지표에서 꼭 숙지해야할 항목입니다

그것은 바로 설비 시간 가동률 입니다

설비 종합 효율을 산출 하기 위한 첫번째 단추 이기도 합니다

설비 시간 가동률은 하루 또는 한달에 주어진 표준 시간이 있습니다

주5일 근무에 하루 8시간 근무하는 회사에 한 장비로 예를 들어 볼게요

한달 20일 기준시 160시간의 보유시간=표준시간=보유CAPA로 표현인 되겠습니다

모든 장비가 160 시간을 채우면 이상적인 장비 운용 능력이 100%로가 됩니다

제가 알고 있기로는 세상 어디에도 100% 가동하는 장비는 없을걸로 압니다

why?

장비도 기름도 칠하구요,부품도 교환해야하구요,고장나면 수리도 해야 하구요

공구도 교체 하여야하구요,프로그램셋팅도하구요,오퍼레이터가 글쎄 배탈이나서 반차를 사용 했네요

이런저런 이유로 LOSS(손실)가 발생 됩니다 동의 하시나요 ?

그래서 말이죠 설비시간 가동률을 통하여 이 장비가 어디서 LOSS가 발생 되었는지

어쩔수 없는 정지시간이 발생되었을때 정상으로 봐야 하는지 비정상으로 봐야 하는지

판단의 근거가 될 수 있겠습니다

아 참 이런 DATA를 가지기 위해서는 작업일보가 선행 되어야 합니다


산출식 들어 갑니다

(가동시간-정지시간(LOSS)/가동시간)×100%

여기서 정지시간 (LOSS)는 다음과 같습니다

돌발고장 :  30분 이상 설비의 고장.

- 공구교환 및 일간,월간 정비 

- 설비 워밍업(동계)

원자재,부자재 부족

- 품질 확인 - 3차원 검사 장비를 이용 또는 품질검사원이 필요로하는 공정

기타 등등 많습니다

A 회사는 올해 생산 수요 예측으로 고가의 MCT 장비 1기를 도입 하였다

그러나 생각 보다는 생산 수량이 구형장비 보다는 못하다고 생각한다

여기에 대한 원인 조사를 생산 이대리에게 제출 하라고 한다

이대리는 하루 동안 장비 옆에 지켜 보고 다음과 같은 문제점을 도출 해낸다

1일 주어진 가동시간 8h

장비가 정지시간을 꼼꼼히 메모해보았다

공구 교체 15 min 

제품 셋팅 30 min  

자체 검사 10 min

소재지연으로 인한 대기 20 min - 돌발 변수

장비 가동률 계산 - jangbi gadonglyul gyesan

약 16%의 정지 시간이 발생 됨을 알 수 있습니다

설비의시간 가동률 향상을 위해서는 공구 및 제품 셋팅의 개선 과제가 주어 지고

자체검사를 검사게이지 또는 현장 품질 관리자의 협업을 통하여 개선 할 수 있는

방향성을 제시 할 수도 있습니다

아공 허접하죠 ㅋㅋ 그래도 이행 되시면 좋은게 좋은거잖아요

행동이 답이다

설비가동률의 정의와 산출방식 그리고 계산방법에 대해서 간략하게 정리하겠습니다. 생산관리에서 제일 중요한 것은 가동률 관리와 향상에 있습니다. 그에 따른 결과물이 생산량 증가가 수반되면 

장비 가동률 계산 - jangbi gadonglyul gyesan
출처 : 시사저널e

□ 가동율(Operation ratio)이란?

 생산설비가 어느 정도 이용되는지를 나타내는 지표로서 사업체가 주어진 조건(설비, 노동, 생산효율 등) 하에서 정상적으로 가동하였을 때 생산할 수 있는 최대 생산량(=생산능력)에 대한 실제 생산량의 비율(%)을 말합니다. 조업률(操業率)이라고도 합니다.(출처 : 네이버 지식백과)  

 - 가동율(稼 動 率) 보유 시간 중에 라인, 설비, 기계의 가공능력에 대한 후공정 요구수의 비율 稼動率 은 고객이 정합니다. 

 - 가동률(可 動 率) LINE 또는 설비를 가공하고 싶을 때에 언제라도 움직일 수 있는 상태의 비율 可動率은 자기책임으로 100 % 추구합니다.     

□ 설비가동율이란?

 설비 운영의 효율성을 나타내는 지표로, 설비가 주어진 조건 하에서 정상적으로 가동하였을 때 생산할 수 있는 최대 생산량애 대한 실제 생산량의 비율이다. 설비가동률은 생산설비 이용도를 나타내 산업 활동의 동향을 읽을 수 있는 중요한 지표 중 하나이며 설비계획에 다라 설비관리를 행한 후 도출된 실제 생산량의 비율을 바탕으로 측정할 수 있습니다. 공장 내의 설비가 중단될 경우 설비가동률이 크게 저하되는데 이는 곹 생산성의 하락으로 이어집니다. 설비가동률을 높이고 생산성을 증대시키기 위해서는 효율적으로 설비를 관리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 종합효율이란?

 종합효율은 설비를 시간적인 면, 성능적인 면, 품질적인 면으로 얼마나 유효하게 관리하였는가를 종합적으로 평가 하는 척도입니다. 간략한 계산식은 종합효율 = 시간가동율x 성능가동율 x 양품율으로 정의할 수 있습니다. 

  - 산출공식(계산식) 

장비 가동률 계산 - jangbi gadonglyul gyesan

 - 낭비요소를 개선하여 부가가치를 창출하여 정미 작업시간을 향상하여야 생산성이 향상될 수 있습니다 

장비 가동률 계산 - jangbi gadonglyul gyesan

□ 주요 관리 시간의 정의 및 산출 방식 

 - Tact Time : 요구하는 생산목표를 달성하기 위해 제품 하나를 생산하는데 필요한 시간 

 - Neck Time : 전체 공정에서 1 Cycle의 작업시간이 가장 높은 공정의 시간, 현 공정상에서 제품의 생산능력을  좌우하는 시간 

 - Cycle Time : 단위 공정별1 Cycle의 작업에 소요되는 시간 

 - Standard Time : 표준화된 작업환경에서 일정한 작업방법에 따라 보통 정도의 숙련된 작업자가 정상적인 속도로 작업을 수행하는 시간 

 - Lead Time : 단위공정별 작업을 수행하는 시간 및 공정 대기시간에 필요한 일령의 소요되는 시간

장비 가동률 계산 - jangbi gadonglyul gyesan

오늘은 여기까지 하시는 일에 많은 도움 되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