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상 날개 줄거리 - isang nalgae julgeoli

티스토리 뷰

이상 날개 줄거리 - isang nalgae julgeoli
이상날개

이상날개 느낀점 및 줄거리
이상이 쓴 날개의 이야기를 구체적으로 알진 못했습니다. 그저 모더니즘이라는 키워드와 '현실의 억압으로부터 벗어나기 위해 마지막에 주인공이 자살한다'정도의 스토리로 알고 있었을 뿐이지 정확하게 소설의 이야기에 대해서 알아보려고 했던 적은 없었던 것으로 기억합니다. 나중에서야 단편집을 통해 이상의 날개를 읽게 되었습니다. 이야기의 내용은 충격적이었고, 오늘 이상 날개의 줄거리와 느낀점에 대해서 간단히 포스팅해보려고 합니다.
주인공 나는 아내와 함께 33번지 어떤 방에 세를 들어 살고 있습니다. 아래층은 아내의 방 그리고 윗층은 주인공의 방입니다. 주인공은 무기력한 삶을 살아가고 있었는데, 정확히 무엇때문에 그렇게 무기력해졌는가에 대한 설명은 따로 나와있는 바는 없습니다. 창문이 없는 주인공의 방에서 주인공은 늘 어두컴컴한 방에서 하루하루 뒹굴며 시간을 보내게 됩니다. 그런 현실이 더 주인공을 무기력하게 만들었지 모르겠습니다. 아무 목적도, 현실 감각도 없는 무기력한 삶을 매일매일 이어나가는 주인공의 세계는 '괜찮은', 때로는 빈대가 나오기도 하는 나의 창문없는 작은방과 아래층에 분냄새가 나고 아내의 체취가 느껴지는 아내방입니다. 아내방에는 볕이 들어옵니다. 나의 방에서 아내의 방을 지나야만 밖으로 나갈 수 있습니다. 마치 현실로 통하는 창구같은 역할을 하고 있습니다. 둘은 이미 각방살이를 한지 오래인것 처럼 느껴집니다. 밥도 같이 먹지 않고, 잠도 같이 자지 않습니다. 아내는 무언가 일을 해서 돈을 버는데, 주인공은 아내의 직업을 알고 싶지만, 알아내고 싶은 의지도 없는 것처럼 보입니다. 그런 주인공에게는 재미있는 놀이가 있습니다. 아내가 외출을 하면 나는 아랫방으로 내려가 아내의 화장품 냄사를 맡거나 화장지를 태우거나 아내가 입던 옷을 입고 놀면서가 아내를 그리워합니다. 그러다가 아내가 올 시간이 되면 방으로 다시 돌아가곤 합니다. 아내에게 손님이 생기기 때문입니다. 이미 이때부터는 저는 아내가 하는 일이 '매춘'이라는 사실을 알게 되었습니다. 하지만, 주인공은 정말 무기력한지 아래에서 손님과 하는 대화를 듣고 있음에도 불구하고, 아내가 어떤 일을 하는지 알고 싶어하지 않습니다. 그렇게 답답한 삶은 지내던 주인공은 아내가 한닢두닢 주고 가던 동전을 가지고 밖으로 나가 5원짜리 지폐로 바꿉니다. 그리고 누군가 돈을 줄 사람을 찾아보다 목적없이 집으로 돌아오게 됩니다. 그리곤 돌아와서 아내에게 돈을 주게 됩니다. 돈때문이었는지 남편이 안쓰러웠는지 아내는 남편을 자기방에서 재웁니다. 왠지 신이 나 보이는 주인공은 돈을 찾아 그다음날도 아내에게 주고, 아내의 방에서 잡니다. 더이상 줄 돈이 없자, 주인공은 다시 의기소침해지고 맙니다. 그러던 어느 날 아내가 외출한 사이에 외출했던 주인공은 아내의 손님이 있을지도 모르는 시간에 아내의 방을 지나게 됩니다. 그리곤 아내와 손님과 마주치고 맙니다. 비를 맞고 아파하는 주인공 아내는 자신의 일에 거추장스러워였을까? 주인공을 볕이 안 드는 주인공의 방에서 나오지 못하도록 최면제를 먹입니다. 아내가 준약이 아스피린인 줄 알았으나 아내의 방에서 우연히 최면약 아달린 갑을 발견하고 괴로워 하게 됩니다. 밖으로 나가 산에서 아달린 여섯 알을 먹은 뒤 만 하루를 자고 일어난 주인공은 8시경 집으로 돌아오게 되고(손님이 없을 시간은 자정 이후입니다) 손님과 아내가 매춘행위를 하는걸 눈으로 목격하게 됩니다. 아내는 그길로 뛰쳐나와 주인공의 멱살을 잡고, 손님은 그런 아내를 다시 안고 들어가버리는 충격적인 장면을 목격합니다. 솔직히 말해 주인공이 매춘행위를 어렴풋이 짐작하지 않을까 생각했지만, 주인공은 정말 몰랐던것 같습니다. 자리를 뛰쳐나와 자신을 재우고 아내가 했던 행동을 고민하며 백화점 옥상으로 올라가게 됩니다. 주인공은 이렇게 이야기를 합니다. 주인공은 인공날개가 자라려는지 겨드랑이가 가려워진다고 말하며 '현란한 날개야 다시 돋아라, 날자, 날자, 날자, 한 번만 더 날자꾸나, 한 번만 날아 보자꾸나' 라고 말하며 소설이 끝나게 됩니다. 글의 내용이 충격적이라, 마치 영화한편을 보는 듯한 느낌을 받았습니다. 주인공은 못먹고 살았으며, 마치 갇혀 살다 싶이 했습니다. 누구도 가둬두진 않았지만, 스스로를 혹은 아내의 눈치를 보며 갇혀 살았던 걸거라 여겨집니다. 옷도 단발에 벌레있는 침상에서 잠을 청하며 살았다고 묘사되어 있습니다. 작품 그대로의 내용으로만 날개를 보고싶습니다. 참고서에서 수두룩하게 말했던 억압된 현실이 '아, 이거구나'라는 생각이 듭니다. 보는 내내 주인공이 답답하고, 주먹으로 한대 때려주고 싶은 정도로 무기력한 모습을 보면서 이런 모습은 뭘 당해도 싸다는 생각이 들 정도였습니다. 하지만, 마지막 모습에서 과연 무엇을 당해도 괜찮은 것이 있는 것인가? 약속과 의무를 저버린 삶, 내가 부족해서 혹은 환경이 좋지 않아서 억압당하는 삶이 과연 당연한 것인가? 라는 의문을 가져오며, 어렴풋이 작가가 말하고자 했던 바를 이해할 수 있었습니다


독서

이상의 날개 인물 줄거리 독후감

2017. 10. 1. 22:06

오늘은 단편 소설 이상의 날개에 대해서 포스팅을 하려고 합니다. 공부하는데 많은 도움 되시길 바라며 시작하겠습니다.

이상의 날개 인물

나 : 주인공이자 글을 쓰는 화자이다. 정신적으로 분열 의식의 상태를 지닌 청년으로 비 일상성을 가진 인물로 자신의 이야기를 심리적, 고백적으로 풀어나간다.

아내 :물질과 사회적인 타협의 표상으로 타락한 현실 속에서도 그럭저럭 잘 살아나가는 여자.

이상의 줄거리

이상의 날개 인물 줄거리 독후감

주인공 나는 18 가구 중에 일곱 번째 칸에서 아내와 둘 이 살아간다. 아내는 볕이 잘 드는 방에서 잘 꾸며 넣고 생활을 하지만 주인공 나는 볕이 들지 않는 곳에서 생활을 하면서 아내에게 사육을 당한다고 생각하며 살아가지만 아내를 사랑하는 인물이다. 아내가 외출을 하고 나면 아내의 화장품 냄새와 체취를 맡는다. 아내는 밤에는 밤에는 더 좋은 옷을 입고 외출을 하니 더 좋은 직장이 있는 것으로 생각을 한다. 아내는 나에게 먹인 아스피린이 수면제라는 것을 알게 되고 자신이 자는 동안 아내의 행위에 대해서 생각을 한다. 아내에게 내객이 있는 날에는 자신의 방에서 이불을 뒤집어 쓰고 누워 있어야 했다. 그리고 어느 날 집에서 벌어지는 아내의 매음 행위를 목격하고 아내에게 맞기도 한다. 돈에 필요성을 그리 느끼지 못한 나는 아내를 피해서 옥상으로 올라가 아내와 나에 대해서 생각을 하고 날개가 돋고 날아보고 싶은 의욕이 생겨난다. 주인공 나는 현란한 거리의 풍경을 바라보고 한번만 더 날아보자고 외친다. 

날개 독후감

이상으로 이상의 날개의 인물과 줄거리에 대해서 간략하게 알아보았습니다. 이상의 날개를 독후감으로 쓴다고 한다면 현실에 타협하고 순응하며 살아가는 아내와 현실과 내적 자아를 극복하지 못하고 현실의 식민지 삶에 무기력한 모습을 보이는 나의 심리에 대해서 생각을 해본다. 일제 강점기라는 시대 상황에서 자신이 느끼는 무기력한 삶은 한 인간에 한정된 것이 아니라 우리 나라로 인식의 세계를 넓혀서 식민지 시대에 무기력한 나라의 모습과 아내의 모습은 일제 식민지에 타협하고 안주하는 모습을 느낄 수 있다.

이상의 날개 인물 줄거리 독후감을 적어보았습니다.


이상의 날개를 읽었다.

이상 李箱

26세의 나이로 지병으로 요절한 그는 작품 날개를 통하여 어떤 말을 하고 싶었을까?

날개의 줄거리는 바로 이렇다.

줄거리

각자 다른 방을 쓰면서 아내와 함께 살고 있는 나는 매일 방에서만 빈둥거리며 살아간다. 가끔 아내가 없을 때는 아내의 방에 들어가 불장난을 하거나, 화장품 냄새를 맡기도 하며 논다. 그러나 아내의 방에 손님이 있으면 나는 그 방으로 들어갈 수 없다. 손님이 돌아가고 나면 아내는 내 방으로 들어와 은화를 놓고 간다. 그 돈을 가지고 나는 어느 날 밤에 아내가 외출한 틈을 타서 거리로 나온다. 그러나 돈을 쓸 줄 모르는 나는 그 돈을 가지고 돌아와 아내에게 준다. 그날 밤 아내는 처음으로 아내의 방에다 나를 재워 준다. 나는 매일 밤 외출을 나가고, 어느 날은 늦게까지 비를 맞고 돌아다니다 병이 나고 만다. 그 후로 한 달 가량 앓아누운 나는 아내가 준 아스피린이란 흰 알약을 매일 먹는다. 나는 계속 머리가 어지러웠고, 그 알약이 최면약 아달린이란 사실을 알고는 아내가 자신을 죽이려고 그런 것이 아닌가 의심하면서 집을 나간다. 그러다가 아내를 의심한 것을 미안하게 생각한 나는 다시 집으로 돌아온다. 그리고 방에 아내와 한 남자가 같이 있는, 보지 말아야 할 장면을 보고 만다. 절망한 채 다시 집에서 나온 나는 거리를 배회하다가 미쓰꼬시 백화점 옥상에 이르자 문득 날고 싶은 욕망을 느낀다. 그리고 "날개야, 돋아라. 날자 날자. 한 번만 더 날아 보자꾸나." 라고 외치고 싶어진다.

아내가 모르는 주인공의 이중생활.

아내의 억압속에 답답하게 살아가기도하며 아내가 없을 때 아내가 모르는 자유를 느끼며 살아가는 주인공.

정말 아내가 주인공을 죽이려고 했을까? 그런 생활이 정말 유지될 수 있다고 생각했을까?

자칫하면 아내만 나쁜 년으로 비춰질 수 있다. 아니면 능력없는 주인공이 나쁜 놈으로 비춰질 수도 있다.

그러나 아내와 주인공은 단지 예전 어려웠던 시대의 피해자 일 뿐.

(이상이 활동했던 한국의 1930년도는 식민지에서 막 분리되었던 어려운 시기이다. )

날개야, 돋아라. 날자 날자. 한 번만 더 날아 보자꾸나.

이 소설 아마 "미로를 빠저나오고 싶은 욕망을 가지고 사는 사람"을 위한 것이 아닐까?

주인공이 마지막에 날개가 생겨 미쓰꼬시 백화점 옥상에서 뛰었을지 아님 다시 집으로 돌아갔을지는 아무도 모른다.

소설이 아니고 실제 있었던 이야기라면... 난 주인공이 다시 집으로 돌아갔을것이라고 생각이 된다.

그리고 현실적 삶 속에 동화되어 다시금 때로는 억압받고 때론 자유를 느끼며 살지 않았을까?

사람의 성질은 잘 바뀌지 않는 법. 주인공은 결국 날지 못했을것 같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