입자 밀도 측정 - ibja mildo cheugjeong

KR101009802B1 - 입자밀도 측정 시스템 및 방법 - Google Patents

입자밀도 측정 시스템 및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KR101009802B1 KR101009802B1 KR1020090040988A KR20090040988A KR101009802B1 KR 101009802 B1 KR101009802 B1 KR 101009802B1 KR 1020090040988 A KR1020090040988 A KR 1020090040988A KR 20090040988 A KR20090040988 A KR 20090040988A KR 101009802 B1 KR101009802 B1 KR 101009802B1AuthorityKRSouth KoreaPrior art keywordsnanoparticlesparticlemeasuringconcentrationdensityPrior art date2009-05-11Application numberKR1020090040988A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00122012A (koInventor김태오이혜문임희수조영혁김지영Original Assignee금오공과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2009-05-11Filing date2009-05-11Publication date2011-01-19 2009-05-11 Application filed by 금오공과대학교 산학협력단 filed Critical 금오공과대학교 산학협력단 2009-05-11 Priority to KR102009004098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009802B1/ko 2010-11-19 Publication of KR2010012201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00122012A/ko 2011-01-19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2011-01-19 Publication of KR10100980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009802B1/ko

Links

  • Espacenet
  • Global Dossier
  • Discuss
  • 239000002245 particle Substances 0.000 title claims abstract description 90
  • 238000005259 measurement Methods 0.000 title claims abstract description 23
  • 239000002105 nanoparticle Substance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143
  • 239000002994 raw material Substance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28
  • 239000012159 carrier gas Substance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22
  • 238000001739 density measurement Method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16
  • 238000000034 method Method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16
  • 239000007921 spray Substances 0.000 claims description 20
  • 238000005507 spraying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15
  • VYPSYNLAJGMNEJ-UHFFFAOYSA-N silicium dioxide Chemical compound O=[Si]=O VYPSYNLAJGMNEJ-UHFFFAOYSA-N 0.000 claims description 14
  • 238000001035 drying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9
  • 239000008119 colloidal silica Substances 0.000 claims description 8
  • 230000000875 corresponding Effects 0.000 claims description 8
  • 229920002456 HOTAIR Polymers 0.000 claims description 6
  • 239000000443 aerosol Substances 0.000 claims description 3
  • 239000000084 colloidal system Substances 0.000 claims description 3
  • 239000000377 silicon dioxide Substances 0.000 claims description 3
  • 230000005591 charge neutralization Effects 0.000 claims description 2
  • 230000001276 controlling effect Effects 0.000 claims description 2
  • 230000001264 neutralization Effects 0.000 claims description 2
  • 238000006386 neutralization reaction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2
  • 230000000694 effects Effects 0.000 abstract description 9
  • 238000005303 weighing Methods 0.000 abstract description 2
  • 239000000243 solution Substances 0.000 description 7
  • 238000004364 calculation method Methods 0.000 description 5
  • 238000010586 diagram Methods 0.000 description 4
  • 238000005516 engineering process Methods 0.000 description 4
  • 239000007789 gas Substances 0.000 description 4
  • 230000002194 synthesizing Effects 0.000 description 4
  • RMAQACBXLXPBSY-UHFFFAOYSA-N Silicic acid Chemical compound O[Si](O)(O)O RMAQACBXLXPBSY-UHFFFAOYSA-N 0.000 description 3
  • 238000010790 dilu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3
  • 239000000463 materia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3
  • 239000004065 semiconductor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30000015572 biosynthetic process Effects 0.000 description 1
  • 150000001793 charged compounds Chemical clas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9833 condens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5494 condens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1109 contamin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9792 diffusion process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9826 distribu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1962 electrophoresis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0438 heat treatment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2347 injec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7924 injection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4519 manufacturing process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0203 mixtur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4048 modific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6011 modification reac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2086 nanomateria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5020 pharmaceutical industry Methods 0.000 description 1
  • OAICVXFJPJFONN-UHFFFAOYSA-N phosphorus Chemical compound [P] OAICVXFJPJFONN-UHFFFAOYSA-N 0.000 description 1
  • 229910052698 phosphorus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1
  • 239000011574 phosphorus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2265 preven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4062 sediment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0126 substanc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3786 synthesis reac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15/00Investigating characteristics of particles; Investigating permeability, pore-volume, or surface-area of porous materials
    • G01N15/02Investigating particle size or size distribution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1/00Sampling; Preparing specimens for investigation
    • G01N1/02Devices for withdrawing samples
    • G01N1/22Devices for withdrawing samples in the gaseous state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9/00Investigating density or specific gravity of materials;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density or specific gravity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1/00Sampling; Preparing specimens for investigation
    • G01N1/02Devices for withdrawing samples
    • G01N1/22Devices for withdrawing samples in the gaseous state
    • G01N1/2202Devices for withdrawing samples in the gaseous state involving separation of sample components during sampling
    • G01N2001/222Other features
    • G01N2001/2223Other features aerosol sampling device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15/00Investigating characteristics of particles; Investigating permeability, pore-volume, or surface-area of porous materials
    • G01N2015/0038Investigating nanoparticle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15/00Investigating characteristics of particles; Investigating permeability, pore-volume, or surface-area of porous materials
    • G01N15/02Investigating particle size or size distribution
    • G01N2015/0288Sorting the particles

Abstract

본 발명은 입자밀도 측정 시스템 및 방법에 관한 것으로, 전기로를 통해 발생된 나노입자의 입경에 따른 중량농도 및 개수농도를 측정하고, 그 측정결과에 기초하여 상기 나노입자의 밀도를 연산함으로써, 입자의 정확한 밀도를 측정할 수 있는 입자밀도 측정 시스템 및 방법을 제공한다. 이를 위한 본 발명은 캐리어가스와 원료물질이 공급되어 초음파에 의해 미세액적이 분무되고, 상기 미세액적에 열을 공급하여 나노입자가 발생되는 입자발생부와; 상기 발생된 나노입자를 직경에 따라 분급하여, 해당 직경에 대한 중량농도 및 개수농도를 측정하는 입자측정부와; 상기 나노입자의 중량농도 및 개수농도의 측정결과에 기초하여, 상기 나노입자의 밀도를 연산하는 제어부;를 포함한다.

이러한 구성에 의해, 본 발명은 입자의 정확한 밀도를 연산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이와 동시에, 상기 입자를 이용한 공정의 정확도를 향상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제품 표면상의 품질을 향상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밀도측정, 나노입자, 중량측정, 중량농도, 개수농도

Description

입자밀도 측정 시스템 및 방법 {System and method for measurement of particle density}

본 발명은 입자밀도 측정 시스템 및 방법에 관한 것으로, 전기로를 통해 발생된 나노입자의 직경에 따른 중량농도 및 개수농도를 측정하고, 그 측정결과에 기초하여 상기 나노입자의 밀도를 연산함으로써, 입자의 정확한 밀도를 측정할 수 있는 입자밀도 측정 시스템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나노기술(Nano Technology)은 정보기술(IT), 생명기술(BT)과 더불어 21세기의 새로운 산업을 이끌어 갈 핵심 기술의 하나로 각광받고 있다. 이러한 나노기술은 나노미터 크기의 물질들이 갖는 독특한 성질과 현상을 찾아내고, 이러한 성질을 갖는 나노물질을 조합하여 매우 유용한 성질의 소재와 장치 및 시스템을 생산하는 과학과 기술이다. 이와 더불어, 나노기술은 나노입자의 화학적 조성을 이용하여 물질을 제조하거나 생산하는 기술뿐만 아니라 나노입자를 제어하고 측정하는 기술도 포함한다.

최근 들어, 반도체 산업, 식품 산업, 제약 산업 등의 첨단 산업 분야에서는 나노입자에 의한 제품의 표면오염이 제품 비율이나 품질의 저하에 직접 관련되는 문제가 발생했다. 특히 반도체 산업의 작업 공간에서는 서브 마이크론 크기의 입자뿐만 아니라 분자상의 입자 이온까지 제거 대상이 되어 나노입자 측정방법이 중요시 되고 있다.

특히, 대기 중의 입자는 크기에 따라, 대기확산 및 이동, 침강속도, 방지시설 효율 등이 결정된다는 점에서 입자의 입경별 분포특성과 이에 대한 밀도를 정확히 파악하는 것은 매우 중요하다.

하지만, 현재 나노기술에 대한 연구는 입자를 합성하는 데 주로 국한되어 있을 뿐, 나노입자의 밀도에 대한 정확한 측정이 어려운 문제점이 발생했다.

본 발명은 이러한 문제점에 의해 제안된 것으로, 전기로를 통해 발생된 나노입자의 직경에 따른 중량농도 및 개수농도를 측정하고, 그 측정결과에 기초하여 상기 나노입자의 밀도를 연산함으로써, 입자의 정확한 밀도를 측정할 수 있는 입자밀도 측정 시스템 및 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그 목적으로 한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서, 본 발명에 의한 입자밀도 측정 시스템 은 캐리어가스와 원료물질이 공급되어 초음파에 의해 미세액적이 분무되고, 상기 미세액적에 열을 공급하여 나노입자가 발생되는 입자발생부와; 상기 발생된 나노입자를 직경에 따라 분급하여, 해당 직경에 대한 중량농도 및 개수농도를 측정하는 입자측정부와; 상기 나노입자의 중량농도 및 개수농도의 측정결과에 기초하여, 상기 나노입자의 밀도를 연산하는 제어부;를 포함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캐리어가스가 원료물질을 전달하고, 상기 원료물질을 초음파에 의해 미세액적으로 분무하는 분무장치와; 상기 분무장치를 통해 분무된 미세액적에 열을 공급하여 나노입자를 발생하는 전기로와; 상기 나노입자에 열풍을 공급하는 드라이어;를 포함하는 입자발생부를 포함할 수 있다.

특히, 상기 전기로를 통해 발생된 나노입자 중 기설정된 유량비에 따른 일정량이 상기 드라이어로 공급되고, 잔량의 나노입자가 제거될 수 있다.

특히, 상기 캐리어가스를 저장하고, 상기 캐리어가스를 상기 분무장치로 제공하는 에어로졸과; 상기 원료물질을 저장하고, 상기 원료물질을 상기 분무장치로 제공하는 시린지 펌프(Syringe Pump);를 더 포함하는 입자발생부를 포함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발생된 나노입자를 공급받아 대전시키는 중화기와; 설정된 기준전압에 대응하는 직경을 갖는 나노입자를 분급하는 분급기와; 상기 분급된 나노입자에 대해 단위부피당 중량농도를 측정하는 중량농도측정기와; 상기 분급된 나노입자에 대해 단위부피당 개수농도를 측정하는 개수농도측정기;를 포함하는 입자측정부를 포함할 수 있다.

특히, 상기 중량농도측정기와 개수농도측정기로 공급되는 나노입자의 공급량을 조절하는 질량유량계;를 더 포함하는 입자측정부를 포함할 수 있다.

특히, 에어(Air)를 포함하는 캐리어가스를 포함할 수 있다.

특히, 콜로이드 실리카(Colloid Silica)용액을 포함하는 원료물질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서, 본 발명에 의한 입자밀도 측정 방법은 캐리어가스와 원료물질이 분무장치로 공급되고, 상기 분무장치가 초음파에 의해 미세액적을 분무한 후, 전기로가 상기 미세액적에 열을 공급하여 나노입자를 발생하는 입자발생단계와; 입자측정부가 상기 발생된 나노입자를 직경에 따라 분급하여, 해당 직경에 대한 중량농도 및 개수농도를 측정하는 입자측정단계와; 제어부가 상기 나노입자의 중량농도 및 개수농도를 측정한 측정결과를 기초로 하여, 상기 나노입자의 밀도를 연산하는 연산단계;를 포함한다.

바람직하게는 캐리어가스와 원료물질이 상기 분무장치로 공급되어, 상기 분무장치가 초음파에 의해 미세액적을 분무하는 분무과정과; 전기로가 상기 미세액적을 전달받아, 열을 공급하여 나노입자를 발생하는 입자발생과정과; 드라이어가 상기 발생된 나노입자에 열풍을 공급하여 건조시키는 입자건조과정;을 포함하는 입자발생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특히, 상기 열공급과정 수행 후, 열을 공급받은 나노입자 중 기설정된 유량비에 따른 일정량이 상기 드라이어로 공급되고, 잔량의 나노입자가 제거되는 입자건조과정을 포함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중화기가 상기 발생된 나노입자를 대전시키는 중화과정과; 분급기가 기준전압을 공급받아, 상기 기준전압에 대응하는 직경을 갖는 나노입자를 분급하는 분급과정과; 중량농도측정기가 분급된 나노입자의 단위부피당 중량농도를 측정하는 중량농도측정과정과; 개수농도측정기가 분급된 나노입자의 단위부피당 개수농도를 측정하는 개수농도측정과정;을 포함하는 입자측정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특히, 하기의 식에 따라 상기 나노입자의 밀도를 연산하고, 하기의 식은

입자밀도 = 중량농도/부피농도

여기서, 부피농도 = 개수농도 × 4∏R3/3

R은 상기 나노입자의 직경반지름

인 연산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입자의 정확한 밀도를 연산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이와 동시에, 상기 입자를 이용한 공정의 정확도를 향상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제품 표면상의 품질을 향상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입자밀도 측정 시스템 및 방법에 대한 예는 다양하게 적용될 수 있으며, 이하에서는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바람직한 실시 예에 대해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입자밀도 측정시스템의 블록도이고, 도 2는 도 1의 실제 적용 예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1과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인 입자밀도 측정 시스템(100)은 캐리어가스와 원료물질을 통해 나노입자를 발생하는 입자발생부(110)와 상기 발생된 나노입자의 중량농도 및 개수농도를 측정하는 입자측정부(120) 및 그 측정결과를 기초로 하여 상기 나노입자의 밀도를 연산하는 제어부(130)를 포함한다.

입자발생부(110)는 캐리어가스를 공급하는 가스공급장치(111)와 나노입자의 합성을 위한 원료를 일정하게 제공하는 원료공급장치(112)와 상기 캐리어가스와 원료물질을 공급받아 미세액적을 분무하는 분무장치(113)와 상기 미세액적을 이용하여 나노입자를 발생하는 전기로(114) 및 상기 나노입자의 수분을 제거하는 드라이어(115)를 포함한다.

가스공급기(111)는 순도 99.99%의 에어(Air)를 상기 캐리어가스(Carrier Gas)로 사용하여, 상기 분무장치(113)에 공급한다. 이러한 가스 공급기(111)는 에어로졸이 사용됨이 바람직하다.

원료공급기(112)는 나노입자의 합성을 위한 원료물질을 시린지 펌프(Syringe Pump)를 통해 상기 분무장치(130)로 공급한다. 여기서, 원료물질은 콜로이드 실리카(Colloid Silica) 용액을 희석하여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시린지 펌 프는 상기 콜로이드 실리카 용액과 같은 원료물질을 주사형태의 피스톤을 통해 주입하는 공급장치를 말한다.

분무장치(113)는 상기 가스공급장치(111)와 원료공급장치(112)로부터 에어와 콜로이드 실리카 용액을 공급받아 초음파에 의해 미세액적을 분무한다.

전기로(114)는 상기 분무장치(113)로부터 분무된 상기 미세액적을 전달받아, 상기 미세액적에 열을 공급하여 나노입자를 발생한다.

드라이어(115)는 상기 발생된 나노입자를 공급받아 열풍을 공급하여, 상기 나노입자에 포함된 수분을 제거한다.

입자측정부(120)는 중화기(121)와 전원공급기(122)와 분급기(123)와 중량농도측정기(124)와 개수농도측정기(125)와 질량유량계(126) 및 펌프(127)를 포함한다.

중화기(121)는 상기 입자발생부(110)에서 발생된 나노입자를 공급받고, 공급받은 나노입자를 대전시킨다.

기준전압발생기(122)는 상기 분급기(123)로 전원전압을 인가한다. 이러한 기준전압은 기설정된 테이블에 따라, 밀도를 측정하고자 하는 나노입자의 직경크기에 대응하는 전압을 말한다.

분급기(123, DMA: Differential Mobility Analyzer)는 상기 중화기(121)로부터 대전된 나노입자를 공급받고, 상기 전원공급기(122)로부터 기준전압을 공급받는다. 이러한 분급기(123)는 상기 대전된 나노입자의 전기 이동도를 이용하여, 설정된 기준전압에 대응하는 직경을 갖는 나노입자를 방출한다. 또한, 상기 분급 기(123)는 상기 설정된 기준전압에 대응하는 직경을 갖지 않는 나노입자를 내부 필터로 포집한다. 이처럼, 방출된 나노입자는 배관을 통해 중량농도측정기(124)와 개수농도측정기(125)로 전달된다.

중량농도측정기(124, Piezo Balance)는 상기 분급기(123)를 통해 분급된 나노입자를 수정 발진자 방식에 따라 고유의 주파수에서 진동시킨다. 이 때, 상기 나노입자의 진동주파수가 상기 나노입자의 질량에 비례하여 감소하는 것을 통해, 상기 나노입자의 질량농도를 측정할 수 있다.

개수농도측정기(125, CPC: Condensation Particle Counter)는 공급된 나노입자를 응축시켜 크기를 증대시킨 후, 상기 나노입자에 산란되는 빛을 조사하여, 상기 나노입자의 개수농도를 실시간으로 측정한다. 이러한 상기 개수농도측정기(125)는 최대 직경 4nm 크기에 대한 나노입자의 개수농도까지 측정할 수 있다.

이러한 상기 중량농도측정기(124)와 개수농도측정기(125)는 배관을 통해 상호 연결되어 있으며, 상기 배관 사이에는 밸브가 배치되어, 상기 분급기(123)로부터 방출된 나노입자가 상기 밸브에 의해 상기 중량농도측정기(124) 또는 개수농도측정기(125)로 각각 전달될 수 있다.

질량유량계(126, MFC: Mass Flow Controller)는 상기 중량농도측정기(124) 또는 개수농도측정기(125)로 공급되는 나노입자의 공급량을 조절한다.

펌프(127)는 상기 질량유량계(126)가 나노입자의 공급량을 조절하도록 동력에너지원을 상기 질량유량계(126)로 제공한다.

제어부(130)는 상기 입자측정부(120)에서 측정한 상기 나노입자의 중량농도 및 개수농도의 측정결과를 기초로 하여, 상기 나노입자의 밀도를 연산함으로써, 상기 나노입자의 밀도를 측정한다. 이러한 제어부(130)는 PC가 사용됨이 바람직하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입자밀도 측정방법의 순서도이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캐리어가스와 원료물질이 분무장치(113)로 공급되어, 상기 분무장치(113)가 나노입자를 발생한다(S210).

입자측정부(120)가 발생된 나노입자의 중량농도 및 개수농도를 측정하고(S220), 제어부(130)가 상기 나노입자의 중량농도 및 개수농도를 측정한 측정결과를 기초로 하여, 상기 나노입자의 밀도를 연산한다(S230).

입자발생단계(S210)

순도 99.99%의 에어를 캐리어가스로 사용하고, 콜로이드 실리카용액을 입자합성을 위한 원료물질로 사용하여, 상기 에어와 콜로이드 실리카용액이 분무장치(113)로 공급된다. 상기 분무장치(113)가 상기 에어와 콜로이드 실리카용액을 합성하고, 초음파에 의해 미세액적을 분무한다.

상기 분무된 미세액적이 전기로(114)로 전달되어, 상기 전기로(114)에서 500℃ 내지 600℃의 온도로 열을 공급받는다. 이에 따라, 상기 미세액적이 나노입자로 변환되어 나노입자가 발생된다.

이와 같이 발생된 상기 나노입자 중 기설정된 유량비에 따른 일정량의 나노입자가 드라이어(115)로 전달되어 입자건조과정이 수행된다.

상기 일정량의 나노입자는 드라이어(115)로부터 열풍을 공급받아, 상기 나노 입자에 포함된 수분이 제거된다.

이 때, 상기 일정량에 포함되지 않는 잔량의 나노입자에 대해서는 입자건조과정이 수행되지 않고 바로 제거된다.

입자측정단계(S220)

상기 전기로(114)를 통해서 발생된 나노입자에 대한 입자건조과정 수행 후, 상기 나노입자에 대한 입자측정이 수행된다.

상기 드라이어(115)를 통해 건조과정을 거친 나노입자가 중화기(121)를 거쳐 대전된다. 대전된 나노입자는 일정한 전기이동도를 갖는 상태로 분급기(123)로 공급되어, 기설정된 입자의 직경크기를 갖는 나노입자만을 분급한다.

상기 나노입자의 분급과정을 자세히 살펴보면, 상기 기준전압발생기(122)로부터 기준전압과 상기 중화기(121)로부터 대전된 나노입자가 분급기(123)로 공급된다. 이 때, 공급되는 기준전압은 밀도를 측정하고자 하는 나노입자의 직경크기에 따라 변경된다. 예를 들면, 상기 직경크기가 100nm인 나노입자의 밀도를 측정하고자 하는 경우에 1.6V의 전원전압이 인가되고, 직경 200nm인 나노입자의 밀도를 측정하고자 하는 경우에 4.9V의 전원전압이 인가된다.

이와 같이, 공급되는 기준전압에 대응하는 직경크기를 갖는 나노입자를 제외한 나머지 나노입자들은 상기 분급기(123)의 내부 필터에 포집되고, 상기 직경크기를 갖는 나노입자만이 상기 분급기(123)로부터 방출된다.

이 후, 방출된 나노입자에 대하여, 중량농도측정 및 개수농도측정이 수행된 다.

중량농도측정기(124)가 상기 나노입자를 수정 발진자 방식에 따라 고유의 주파수에서 진동시킨다. 이러한 나노입자의 진동주파수는 상기 나노입자의 질량에 비례하여 감소하므로, 이를 이용하여 상기 나노입자의 질량농도를 측정한다.

또한, 개수농도측정기(125)가 상기 나노입자를 응축시켜 직경크기를 증대시킨 후, 상기 나노입자에 산란되는 빛을 조사하여, 상기 나노입자의 개수농도를 실시간으로 측정한다. 특히, 상기 개수농도측정기(125)를 통해 최대 직경 4nm 크기에 대한 나노입자의 개수농도까지 측정할 수 있다.

밀도연산단계(S230)

상기 중량농도측정기(124)와 개수농도측정기(125)를 통해 측정한 상기 나노입자의 각 측정결과가 제어부(130)로 전송되어, 상기 제어부(130)가 중량농도측정결과와 개수농도측정결과를 기초로 하여 상기 나노입자의 밀도연산을 수행한다. 상기 제어부(130)가 아래의 [식 1]을 이용하여, 상기 나노입자의 밀도연산을 수행한다.

[식 1]

입자밀도 = 중량농도/부피농도

여기서, 상기 중량농도는 앞서 상기 중량농도측정기(124)를 통해 측정한 측 정결과이다. 또한, 상기 부피농도는 상기 개수농도측정기(125)를 통해 측정한 측정결과를 [식 2]에 대입하여 연산한 연산결과이다.

[식 2]

부피농도 = 개수농도 × 4∏R3/3

이 때, R은 상기 나노입자의 직경 반지름이다.

실험결과

도 4는 도 1의 시스템을 이용하여 측정한 입자별 농도개수를 나타낸 그래프이다.

도 4의 (a)와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입자직경에 따른 입자농도개수를 확인할 수 있다. 실험조건을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순도 99.99%의 에어인 캐리어가스가 1L/min의 유량속도로 제공되고, 전기로의 가열온도를 600℃으로 설정한 후, 분급기의 유량비가 1:10인 상태에서, 실리카졸의 희석배수를 0.5g/100ml와 0.1g/100min의 두 경우로 실험하였다.

상기 그래프 (a)는 나머지 실험조건이 동일한 상태에서, 상기 실리카졸의 희석배수를 0.5g/100ml으로 사용할 때의 실험결과를 나타낸 것이고, 상기 그래프 (b)는 상기 실리카졸의 희석배수를 0.1g/100min으로 사용할 때의 실험결과를 나타낸 것이다.

상기 그래프 (a)와 (b)에 나타난 바와 같이, 나노입자의 직경크기가 40 ~ 340nm에서 상기 나노입자의 개수농도가 분포하는 것을 확인할 수 있으며, 상기 그래프 (a)와 (b) 상에서 나노입자의 직경크기가 306nm일 때 가장 높은 나노입자의 개수농도가 측정되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입자의 정확한 밀도를 연산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이와 동시에, 상기 입자를 이용한 공정의 정확도를 향상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제품 표면상에 품질을 향상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이상 본 발명에 의한 입자밀도 측정 시스템 및 방법에 대하여 설명하였다. 이러한 본 발명의 기술적 구성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의 당업자가 본 발명의 그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 예는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인 것이 아닌 것으로서 이해되어야하고, 본 발명의 범위는 전술한 상세한 설명보다는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특허청구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등가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입자밀도 측정시스템의 블록도이다.

도 2는 도 1의 실제 적용 예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입자밀도 측정방법의 순서도이다.

도 4는 도 1의 시스템을 이용하여 측정한 입자별 농도개수를 나타낸 그래프이다.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0: 입자밀도 측정 시스템 110: 입자발생부

120: 입자측정부 130: 제어부

Claims (13)

  1. 캐리어가스와 원료물질이 공급되어 초음파에 의해 미세액적이 분무되고, 상기 미세액적에 열을 공급하여 나노입자가 발생되는 입자발생부와;

    상기 발생된 나노입자를 직경에 따라 분급하여, 해당 직경에 대한 중량농도 및 개수농도를 측정하는 입자측정부와;

    상기 나노입자의 중량농도 및 개수농도의 측정결과에 기초하여, 상기 나노입자의 밀도를 연산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입자밀도 측정시스템.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입자발생부는

    상기 캐리어가스가 원료물질을 전달하고, 상기 원료물질을 초음파에 의해 미세액적으로 분무하는 분무장치와;

    상기 분무장치를 통해 분무된 미세액적에 열을 공급하여 나노입자를 발생하는 전기로와;

    상기 나노입자에 열풍을 공급하는 드라이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입자밀도 측정시스템.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전기로를 통해 발생된 나노입자 중 기설정된 유량비에 따른 일정량이 상기 드라이어로 공급되고, 잔량의 나노입자가 제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입자밀도 측정시스템.

  4.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입자발생부는

    상기 캐리어가스를 저장하고, 상기 캐리어가스를 상기 분무장치로 제공하는 에어로졸과;

    상기 원료물질을 저장하고, 상기 원료물질을 상기 분무장치로 제공하는 시린지 펌프(Syringe Pump);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입자밀도 측정시스템.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입자측정부는

    상기 발생된 나노입자를 공급받아 대전시키는 중화기와;

    설정된 기준전압에 대응하는 직경을 갖는 나노입자를 분급하는 분급기와;

    상기 분급된 나노입자에 대해 단위부피당 중량농도를 측정하는 중량농도측정 기와;

    상기 분급된 나노입자에 대해 단위부피당 개수농도를 측정하는 개수농도측정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입자밀도 측정시스템.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입자측정부는

    상기 중량농도측정기와 개수농도측정기로 공급되는 나노입자의 공급량을 조절하는 질량유량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입자밀도 측정시스템.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캐리어가스는 에어(Air)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입자밀도 측정시스템.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원료물질은 콜로이드 실리카(Colloid Silica)용액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입자밀도 측정시스템.

  9. 캐리어가스와 원료물질이 분무장치로 공급되고, 상기 분무장치가 초음파에 의해 미세액적을 분무한 후, 전기로가 상기 미세액적에 열을 공급하여 나노입자를 발생하는 입자발생단계와;

    입자측정부가 상기 발생된 나노입자를 직경에 따라 분급하여, 해당 직경에 대한 중량농도 및 개수농도를 측정하는 입자측정단계와;

    제어부가 상기 나노입자의 중량농도 및 개수농도를 측정한 측정결과를 기초로 하여, 상기 나노입자의 밀도를 연산하는 연산단계;를 포함하는 입자밀도 측정방법.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입자발생단계는

    캐리어가스와 원료물질이 상기 분무장치로 공급되어, 상기 분무장치가 초음파에 의해 미세액적을 분무하는 분무과정과;

    전기로가 상기 미세액적을 전달받아, 열을 공급하여 나노입자를 발생하는 입자발생과정과;

    드라이어가 상기 발생된 나노입자에 열풍을 공급하여 건조시키는 입자건조과정;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입자밀도 측정방법.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입자건조과정은

    상기 열공급과정 수행 후, 열을 공급받은 나노입자 중 기설정된 유량비에 따른 일정량이 상기 드라이어로 공급되고, 잔량의 나노입자가 제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입자밀도 측정 방법.

  12.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입자측정단계는

    중화기가 상기 발생된 나노입자를 대전시키는 중화과정과;

    분급기가 기준전압을 공급받아, 상기 기준전압에 대응하는 직경을 갖는 나노입자를 분급하는 분급과정과;

    중량농도측정기가 분급된 나노입자의 단위부피당 중량농도를 측정하는 중량농도측정과정과;

    개수농도측정기가 분급된 나노입자의 단위부피당 개수농도를 측정하는 개수농도측정과정;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입자밀도 측정방법.

  13.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연산단계는

    하기의 식에 따라 상기 나노입자의 밀도를 연산하고,

    하기의 식은

    입자밀도 = 중량농도/부피농도

    여기서, 부피농도 = 개수농도 × 4∏R3/3

    R은 상기 나노입자의 직경반지름

    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입자밀도 측정방법.

KR1020090040988A 2009-05-11 2009-05-11 입자밀도 측정 시스템 및 방법 KR10100980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Priority DateFiling DateTitle
KR1020090040988A KR101009802B1 (ko) 2009-05-11 2009-05-11 입자밀도 측정 시스템 및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Priority DateFiling DateTitle
KR1020090040988A KR101009802B1 (ko) 2009-05-11 2009-05-11 입자밀도 측정 시스템 및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Publication Date
KR20100122012A KR20100122012A (ko) 2010-11-19
KR101009802B1 true KR101009802B1 (ko) 2011-01-19

Family

ID=4340709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TitlePriority DateFiling Date
KR1020090040988A KR101009802B1 (ko) 2009-05-11 2009-05-11 입자밀도 측정 시스템 및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Link
KR (1) KR101009802B1 (ko)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Priority datePublication dateAssigneeTitle
JP3294228B2 (ja) * 2000-01-28 2002-06-24 理化学研究所 微粒子計測装置、微粒子捕集装置および微粒子分析装置
KR20040068968A (ko) * 2001-12-21 2004-08-02 코닌클리케 필립스 일렉트로닉스 엔.브이. 마이크로-어레이상의 자기 나노입자들의 면적 밀도를측정하는 센서 및 방법
  • 2009
    • 2009-05-11 KR KR1020090040988A patent/KR101009802B1/ko not_active IP Right Cessation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Priority datePublication dateAssigneeTitle
JP3294228B2 (ja) * 2000-01-28 2002-06-24 理化学研究所 微粒子計測装置、微粒子捕集装置および微粒子分析装置
KR20040068968A (ko) * 2001-12-21 2004-08-02 코닌클리케 필립스 일렉트로닉스 엔.브이. 마이크로-어레이상의 자기 나노입자들의 면적 밀도를측정하는 센서 및 방법

Non-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Title
대한기계학회논문집
한국진공학회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Publication date
KR20100122012A (ko) 2010-11-1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Publication DateTitle
Biskos et al. 2008 Generation and sizing of particles for aerosol-based nanotechnology
Filipovic et al. 2013 Modeling spray pyrolysis deposition
Elzey et al. 2013 Real-time size discrimination and elemental analysis of gold nanoparticles using ES-DMA coupled to ICP-MS
TWI390197B (zh) 2013-03-21 多維氣溶膠特性之量測系統
Fang et al. 2014 Measurement of sub-2 nm clusters of pristine and composite metal oxides during nanomaterial synthesis in flame aerosol reactors
Stabile et al. 2013 Ultrafine particle generation through atomization technique: The influence of the solution
JP6133319B2 (ja) 2017-05-24 気相からの堆積によって、かつ液状のシロキサン供給材料を霧化することによる合成石英ガラスの製造法
JP3572319B2 (ja) 2004-09-29 液体中微粒子分析装置
KR101009802B1 (ko) 2011-01-19 입자밀도 측정 시스템 및 방법
CN107002347A (zh) 2017-08-01 表面处理碳纤维、表面处理碳纤维束及它们的制造方法
Selvaraj 2012 Characterization of dielectric properties of the enamel filled with carbon nanotubes for the frequency range of 50 Hz-5 MHz
KR20060118819A (ko) 2006-11-24 액상 물질 기화 장치
Reverchon et al. 2007 Production of cromolyn sodium microparticles for aerosol delivery by supercritical assisted atomization
KR101218748B1 (ko) 2013-01-21 하전 유닛을 구비한 나노입자 에어로졸 분사 장치
Chu et al. 2014 Hygroscopicity of particles generated from photooxidation of α-pinene under different oxidation conditions in the presence of sulfate seed aerosols
TW201805612A (zh) 2018-02-16 膠體粒子尺寸質量分佈測量技術
Laschober et al. 2006 Comparison between an unipolar corona charger and a polonium-based bipolar neutralizer for the analysis of nanosized particles and biopolymers
Jayasinghe et al. 2004 Relic and droplet sizes produced by electrostatic atomisation of ceramic suspensions
KR20120126358A (ko) 2012-11-21 스파크 방전장치와 하전장치를 이용한 금속합금 제조장치 및 제조방법
Píchal et al. 2006 DBD modification of polyethylene powder hydrophobicity
Leong 2004 Theoretical principles and devices used to generate aerosols for research
Seipenbusch et al. 2002 Determination of coating thickness of DEHS on submicron particles by means of low pressure impaction
Jayasinghe 2006 An advanced jet-based approach to processing nanotubes
Jayasinghe et al. 2006 Electrospraying: an in-situ polymerisation route for fabricating high macroporous scaffolds
Wallimann 2018 Nanoparticle Formation in Atmospheric Pressure Plasma for the Enhancement of Powder Flowability
DateCodeTitleDescription
2009-05-11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2011-01-11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2011-01-13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2014-01-0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106

Year of fee payment: 4

2015-01-0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109

Year of fee payment: 5

2016-01-0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107

Year of fee payment: 6

2017-04-0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406

Year of fee payment: 7

2018-01-1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