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력 1년 8개월 - gyeonglyeog 1nyeon 8gaewol

기본적으로 내부 인원들의 유사 경력자와 비교하여 경력 산정을 하기에 1년 8개월이라도 역량이 뛰어나면 2년으로 인정될 수 있고, 2년이라도 경력이 없는 신입이 될 수 있긴 합니다. 그러나, 일반적으로는 2년의 경력을 채우면 유사 경력자들의 업무 역량이 고만고만하기에 2년을 인정해줄 가능성이 높기에 2년은 채우시는게 유리할 수 있습니다.

단, 말씀하셨떤 내용이 두가지 회사에서 각각 5개월, 1년 3개월이라면 첫번째 회사의 1년 미만 경력을 인정해줄 회사는 거의 없지 않을까 사료되므로, 본인의 역량이 우수함을 증명하셔야 할 듯 합니다.

Q 1년 8개월 초보 경력넣어두 되나요..

백화점 인테리어 업체에서 1년 8개월 근무 했었습니다

코로나로 인해 퇴사후 쉬고 싶은 마음이 생겨서 실업급여 받으며 6개월을 일을 쉬었습니다

간단한 현장 정도는 혼자 다닐 수 있고

도면 작업이 좀 딸립니다 사용가능한 프로그램은 오토캐드 3dmax 포토샵 인데

cad를 다루지 못하는게 아니라 공부를 잘 하지않아 건축 쪽 지식이 부족합니다

3dmax는 배움의 기간도 짧았고 지금은 솔찍히 자신이 없구

포토샵은 간단한건 가능합니다

제가 보기엔 1년 8개월 치곤 제 실력은 햇병아리 입니다..

신입보다 약간 나은 정도의 제가 경력으로 넣어두 되는걸까요

전체 게시글

@ 모든 회원분들께

안녕하세요

졸업전에 취업을 해서 그때부터 최근까지

사회인이 되고 나서 시작한 첫 회사에 8개월

일했고 개인적으로 너무 벅차고 심리적으로

힘들어서 1년을 채우지 못하고 그만두게 되었습니다.

근데 1년 계약직인데 8개월만 하고 관두고 나온거라

이력서에는 계약종료라고 기재하는건 좀 그렇고

보통 이직 시 뭐라고 기재 하시나요?

일신상의 이유라고 해도 면접 때 물어보면

뭐라고 해야 무난할지 모르겠습니다..

그리고 저는 어차피 다음 회사도 신입으로 지원을 할건데 무경력 신입보단 8개월 경력이라도 있는게 나은 것 같긴한데 8개월 경력은 이력서가 지저분해지나요??

이 글과 비슷한 글이에요!

  • #퇴사
  • 너무 외로워서 힘든 회사

    오늘 작성

    자세히 보기
  • 기계공학과(반도체 업계에서 일하는)의 이직 고민....

    2일 전

    자세히 보기
  • 좋은 회사 찾는 방법 아시는분?

    2일 전

    자세히 보기
  • 첫직장 4개월 퇴사

    2일 전

    자세히 보기
  • 사수가 없고 바로 실무 투입됫어요

    4일 전

    자세히 보기
  • 고민좀 들어주세요…

    4일 전

    자세히 보기

1년 8개월..2년 경력은 못되려나요? 8

2011-08-23 14:50:01 121.♡.59.113

첫 직장입니다.

처음엔 마냥 좋았지만.

떠넘기는 일들을 맡다보니

뭐 이건.

해외영업,마케팅,납품(퀵서비스 수준),국내영업,각종 프로젝트

정신이 하나도 없어서 2년만 채우고 나가려는 계획중입니다.

그 중에서도 납품..도 아닌 그냥 배달업무도 가끔 있는데

아주 당연하다는 듯이 저에게 줍니다 ...부사장이..-ㅅ-;;

어머니는 여자애가 매일 고속도로 위에서 운전한다고 걱정이시고..

저도 가끔씩 미치도록 졸릴 때는 뭐하는 짓인가 싶습니다...

내달 10일이여야 이제 1년 8개월인데..2년 채워야 할까요?

..

삭제 되었습니다.

gayman

IP 203.♡.74.24

11-08-23 2011-08-23 14:50:49 / 수정일: 2017-04-30 03:15:17

·

연봉과 경력 예산 그리고 용돈은 까는것만 있지요.

生馬

IP 121.♡.76.194

11-08-23 2011-08-23 14:55:46 / 수정일: 2017-04-30 03:15:18

·

윗분 말씀대로 이직자리를 찾아보시고 좋은 곳이 있으면 가시면됩니다..
안되시면 그냥 2년을 채우면서 알아보시면되구요..
기간이 중요한게 아니라 어디로 가실지가 중요하다고 보시면 되지요~
물론 차후에 또 이직하시게 될경우 2년 못채운게 좀 아쉬울때도 있지요..

앤지

IP 221.♡.45.133

11-08-23 2011-08-23 14:56:10 / 수정일: 2017-04-30 03:15:18

·

내가 뭐 하고있나 싶을때가 하루의 80% 인게 회사인가봐요...

insanity

IP 112.♡.153.25

11-08-23 2011-08-23 14:58:36 / 수정일: 2017-04-30 03:15:18

·

상황은 잘 모르겠지만..
보통 잡일들은 신입한테 넘기게 되죠..
그것도 입사한지 몇달 안된 신입보단..그래도 1~2년 된 신입들에게 많이 갑니다..
어리버리할 시기도 대강 지났고, 일 맡겨도 어느정도 처리 가능한...

군대로 치자면 일병이려나..ㅎㅎㅎ

이직하시는거야 본인의 판단에 따르겠지만..
여건이 아주 좋은 회사가 아닌 이상 어딜가나..신입과 막내는 잡일에서 벗어나기 어렵죠...

이직할때도 보통 전회사에서 1~2년 경력있다고 경력사원으로 뽑는건 많이 못봤고..
적어도 대리이상 직급 달고 이직해야 경력직이죠

요한

IP 121.♡.59.113

11-08-23 2011-08-23 15:02:19 / 수정일: 2017-04-30 03:15:18

·

insanity

IP 112.♡.153.25

11-08-23 2011-08-23 15:14:05 / 수정일: 2017-04-30 03:15:18

·

직급은 보통 회사마다 달라서...
주임, 팀장, 선임..이런건 보통 직급이 아니라 직책이죠..
대리여도 주임이나 팀장할수 있고..어떤 회사는 팀장이 과장, 차장급이 될수도 있구요..
또 이런 직책은 재직기간이나 연차와는 큰 상관이 없는 직책이기도 하구요..

일반적으로 직급은 회사에서 연차에 따라서 진급을 하게되죠..이게 경력이 되고..
그래서 보통 4년차에 대리 이후 4년후에 과장 뭐 이런식으로 회사마다 룰이 있는데..
아무래도 직책보단 직급에 많이 따를껍니다..
특히 2년 경력으로는 경력직이라고 하긴 좀 어렵겠네요..
그리고 경력을 인정해주는것과 경력직과는 좀 다릅니다..
이것도 물론 회사마다 차이는 있겠지만..
대리진급이 입사후 4년인 회사에서 2년 경력 달고 가면 2년 다 인정하던 1년인정하던 해서
입사후 진급 시기가 당겨지죠...
그래도 직급없는 사원..곧 신입인건 마찬가지죠..

물론...회사마다 기준은 다릅니다...

Unchained

IP 211.♡.199.195

11-08-23 2011-08-23 14:58:41 / 수정일: 2017-04-30 03:15:18

·

내가 뭐 하고있나 싶을때가 하루의 80% 인게 회사인가봐요...(2)

인마이하트

IP 211.♡.15.161

11-08-23 2011-08-23 15:02:48 / 수정일: 2017-04-30 03:15:18

·

지금부터 알아보시고, 1년8개월 일했지만 2년경력으로 인정해주는 곳으로 가시면 됩니다.
이직은 항상 타이밍이죠.
나를 원하는 곳이 있으면 경력안돼도 2년 쳐주고 데리고 갈 것이고... 때가 안맞으면 2년 넘어도 갈곳이 없으니까요.

GIF 파일 다운로드

0 0 0 0

GIF 파일을 다운로드 받으려면
화면에 표시된 4자리 번호를 입력해주세요.

Toplist

최신 우편물

태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