공리주의 기업 사례 - gonglijuui gieob salye

  • 상세정보
  • 자료후기 (2)
  • 자료문의 (0)
  • 판매자정보

소개글

공리주의와 칸트의 의무론을 중심으로 나이키의 사례를 예로 풀어낸 자료입니다. (A+ 자료)
주제: 기업과 사회의 연관성을 설명하고 기업의 윤리성을 판단하는 결과론 (공리주의)와 비결과론 (칸트의 의무론)의 장점과 한계점을 논하라.

목차

Ⅰ. 서론

Ⅱ. 본론
ⅰ. 공리주의에 관하여
ⅱ. 칸트의 의무론 (동기주의)에 관하여
ⅲ. 나이키의 사례로 알아보는 공리주의와 칸트의 의무론

Ⅲ. 결론

Ⅳ. 참고자료

본문내용

Ⅰ. 서론

기업과 사회는 친밀한 관계에 있다고 감히 자신 있게 말할 수 있다. 기업은 기업 내부의 경영을 잘 하는 것도 매우 중요한 일이지만 기업이 기반을 마련하고 성장과 유지를 해나가는 사회 환경의 중요성 또한 그에 못지않게 중요하다. 경영자가 기업 내부를 효율화 시키고 아무리 경영을 잘한다 해도 사회 환경의 도움 없이는 어느 정도 이상의 성장 및 성과를 얻기는 매우 힘들다. 이처럼 기업을 둘러싸고 있는 내부 환경과 사회의 외부 환경을 잘 조화시키고 관리해 나가야만 기업이 생존할 수 있고 발전할 수 있는 기틀이 마련된다.

수업시간에 교수님과 함께 결과론과 비결과론에 대한 수업을 토대로 기업의 윤리성을 판단하는 공리주의와 칸트의 의무론의 장점과 한계점을 논해보겠다.

Ⅱ. 본론

ⅰ. 공리주의에 관하여
공리란 효용과 이익 또는 행복과 이익을 의미한다. 그리고 공리주의란 이러한 공리를 크게 하는 원리로서 ‘최대 다수의 최대 행복’을 주장한다. 따라서 공리주의의 근거는 우리가 일상생활에서 느끼고 생각하는 물리적 감각 즉 쾌락과 고통에 있다. 전체의 쾌락을 크게 하면 좋은 것이고, 고통을 크게 하면 나쁜 것이다. 이러한 공리주의는 다수결의 원리에 의해 이론적 근거를 제시하였다.

공리주의의 관점은 인간이면 누구나 태어날 때부터 쾌락을 추구하고 고통을 피하고자 하는 경향을 가진다는 인간관에서 출발하였다. 그리하여 인간의 행동의 옳고 그름을 판정할 때 행위자의 의도나 동기보다는, 최선의 결과를 가져오는 행위는 옳고 그렇지 못한 행위는 그르다고 주장하는 입장이다. 이러한 공리주의의 입장은 사회에 긍정적일 수 있는 영향들을 가져오기도 했다. 우선 그것은 다수결의 원리, 민주주의의 발달을 가져왔다.

공리(功利)의 원리는 입법이나 정치 등 모든 개인적 사회적 행위를 규율한다. 개인적 공리의 추구가 반드시 사회적 공리로 나타나지는 않는다. 따라서 사회적 공리를 실현하기 위해 법은 개인의 행위를 규율하고 조정해야 한다. 그리고 사회적 공리의 실현을 위해서는 위정자의 부정한 이익을 배제해야 한다.

참고 자료

합리적인 제도와 공리주의, 오재호 저, 대동철학회지 제52집 (2010. 9) pp.45-63 1229-0750 KCI, 학술 논문
현대 공리주의 동향에 대한 연구, 강준호 저, 철학연구 第93輯 (2011년 여름) pp.175-199 1229-022X, 학술 논문
자연의 도덕적 위상과 도덕 공동체의 확장 문제 : 칸트 의무론의 환경윤리적 해석, 김양현 저, 철학연구 68 pp.37-58 1226-9727, 학술 논문
칸트의 의무론과 공리주의 윤리설의 통합적 含意, 김문정 저, 경상대학교, 학위 논문

태그

이 자료와 함께 구매한 자료

1�� ��������� �ʿ伺

2�� ��������� ����
1. ��������� ��������
2. ��������� ������ ��ġ�� ���


3�� ��������� ������ ��ġ�� ���
1. �����ʸ� ���� ����
2. �����Ʒ� ���α׷� ����
3. �������� �����Թ��� ����

4. �ùٸ� ���� ������

4�� ��ȸ�� å���ǽ��� ���
1. ��ȸ�� å���� �߿���
2. ��ȸ�� å���� ����

  

��������� ��ȸ�� å��    
0.��������� �ʿ伺

  1.��������� ����
�������  
����� �濵�ڿ� ���������� ������ ����� ���Ͽ� ����� �ùٸ��� ��ϴ� �������μ� ����� ������, �濵 ��� �� �濵��å�� �� ������ �ȴ�.
  ������ �̽��� �ν�  �������̴�  ���������̴�  
(1) ��������� ��������
  ������ �̽��� �ν�  �������̴�  ���������̴�  
������ �� ����
�������� �������� ���� ���� �� ������ �¿��ϴ� ��ҵ�
1.����
2.��
3.å���� �ǹ�
4.������ �Ǹ�
(1) ��������� ��������

  2.��������
3.å���� �ǹ�
4.������ �Ǹ�
1.���Ƿο�-������
(2) ��������� ������ ��ġ�� ���

  (2) ��������� ������ ��ġ�� ���
2.��������
3.å���� �ǹ�
4.������ �Ǹ�
1.���Ƿο�-������
��ȸ�� �θ� �����ִ� �Թ��鿡 ���� �� �����ϴٰ� �ǴܵǴ� ������ 21���⿡���� ��ȸ�� �ΰ��ؾ� �ϴ� �ǹ��� ��ȸ�� �����ؾ� �ϴ� ������ ������ �й踦 �ǹ�
     (���� ����)

�ı��ۼ�����ı⸦ �ۼ��Ͻø� �������� 100 point�� ������ �帳�ϴ�.

����� ����������

����ı� (0)

��ϵ� ���䰡 �����ϴ�.

ù��° ���� �Ǿ��ּ���.

@article{ART002369644},
author={ 박종경 and 이재황 and 최우재 },
title={공기업의 윤리경영: 한국중부발전 사례},
journal={윤리경영연구},
issn={1976-2828},
year={2018},
volume={18},
number={1},
pages={117-139},
doi={10.34273/kjbe.2018.18.1.005},
url={//dx.doi.org/10.34273/kjbe.2018.18.1.005}

TY - JOUR
AU - 박종경
AU - 이재황
AU - 최우재
TI - 공기업의 윤리경영: 한국중부발전 사례
T2 - 윤리경영연구
PY - 2018
VL - 18
IS - 1
PB - 한국윤리경영학회
SP - 117-139
SN - 1976-2828
AB - 본 연구는 한국중부발전의 윤리경영 사례를 소개함으로써 윤리경영의 중요성을 일깨우고 지속적인 윤리경영의 전략수립과 실천을 위한 시사점을 찾고자 한다. 이를 위해 윤리경영의 개념을 살펴보고, 한국중부발전의 윤리경영 실태를 분석하였다. 윤리경영은 공리주의, 권리론, 정의론과 같은 다양한 이론적 접근에 따라 다르게 이해될 수 있지만, 본 연구에서는 윤리경영을 기업의 의사결정과 실천과정에서 이해관계자들의 권익과 기업의 경제적 이익의 균형을 유지하고 이해관계자들로부터 존중과 신임을 얻는 경영활동으로 정의하였다. 한국중부발전은 2001년 창립하여 전략자원의 개발과 전력공급을 주목적으로 6개의 발전소를 운영하고 있다. 한국중부발전은 깨끗한 에너지를 통해 국가발전에 기여한다는 미션을 가지고 있으며, 윤리경영추진체계를 정립하여 사회적 가치실현 분과위원회 등에서 가시적인 성과를 보이고 있다. 또한, 사회공헌활동을 통해 중소기업과 함께 공유가치창출 사업을 추진하고 있으며, 해외에서 빈곤퇴치 및 에너지 자립을 지원하고 있다. 이와 같은 한국중부발전의 윤리경영 사례는 공기업을 넘어서 사회 전반에 걸쳐 윤리경영의 확산을 위한 관심과 노력을 더욱 촉발하는 계기가 될 것으로 기대된다.
KW - 공기업, 윤리경영, 윤리경영추진체계, 사회공헌활동, 한국중부발전
DO - 10.34273/kjbe.2018.18.1.005
UR - //dx.doi.org/10.34273/kjbe.2018.18.1.005
ER -

박종경 , 이재황 and 최우재 (2018). 공기업의 윤리경영: 한국중부발전 사례. 윤리경영연구, 18( 1), 117- 139.

박종경 , 이재황 and 최우재 . 2018, “공기업의 윤리경영: 한국중부발전 사례”, 윤리경영연구, vol. 18, no. 1, pp. 117-139. Available from: doi:10.34273/kjbe.2018.18.1.005

박종경 이재황 et al. 최우재 “공기업의 윤리경영: 한국중부발전 사례” 윤리경영연구 18.1 pp. 117-139 (2018): 117.

박종경 , 이재황 , 최우재 . 공기업의 윤리경영: 한국중부발전 사례 윤리경영연구 [Internet]. 2018; 18( 1), : 117-139. Available from: doi:10.34273/kjbe.2018.18.1.005

박종경 , 이재황 and 최우재 . “공기업의 윤리경영: 한국중부발전 사례” 윤리경영연구 18, no.1 (2018): 117-139. doi: 10.34273/kjbe.2018.18.1.005

Toplist

최신 우편물

태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