공유기 케이블 연결 - gong-yugi keibeul yeongyeol

인터넷이 일상 생활에 깊숙이 자리하면서 모든것을 인터넷으로 연결하게 되었습니다.

컴퓨터는 기본이고 전화기 텔레비젼 그리고 CCTV까지 어느것 하나라도 인터터넷 없이는 불가능 합니다.

그러나 하나의 인터넷 회선에 많은 장치를 연결하다보니 그에 수반되는 '통신장치'들도 많아지고 복잡 해 졌습니다.

모뎀과 공유기 그리고 셋탑박스 연결 등등 그리고 그것들을 정리하다보니 케이블이 분리된 후 어디로 연결 해야 할지 ?

Q

공유기를 이전하면서 케이블이 잘못 연결 된 것인지 인터넷이 되지 않습니다.

와이파이는 빵빵하게 터지는데 '인터넷은 연결되지 않음'  이라고 뜹니다.

이유가 뭘까요?

그리고 선을 어떻게 연결 해야 할까요?

라며 다음 사진을 보내 주셨네요.

※물론 장치에 쓰여진 이름은 설명을 위해 수정 한 것입니다.

공유기 케이블 연결 - gong-yugi keibeul yeongyeol

[해설]

위 사진을 보면 2중공유기 연결 입니다.

그러나 통신사 공유기는 시중의 공유기와 달리 네트워크가 달라서 2중공유기의 연결에도 충돌이 나지 않으니 2중공유기의 문제는 아닙니다.

우선 연결이 잘못 되었고, 공유기 2대를 사용 해야 할지 고민을 해보아야 합니다. 위 사에서 공유기B는 기본으로 설치한것이 아닌 와이파이를 사용하기 위해 추가 설치한 것이라고 보여집니다.

동일한 사진에 주석을 붙여 보았습니다.

ⓐ : 통신사의 인터넷에 연결된 케이블입니다. 

케이블 ⓒ가 벽면의 랜포트에 연결되어 있고 이 끝은 ⓐ와 ⓑ로 갈라지는 이른바 'Y'자형 케이블 입니다.

ⓑ  : 공유기의 LAN포트에 접속하여 다른 방에 연결 해주는 케이블 입니다.

ⓒ  : ⓐ와ⓑ  두개의 랜선이 하나의 UTP로 통합되는 것과 같습니다.

ⓓ :  셋톱박스로 연결되는 케이블

ⓔ : 컴퓨터로 연결되는 케이블

ⓕ :  B공유기로 연결되는 케이블

A

이제 위 사진의 장비를 기본으로 연결 가능한 방법과 연결 방법을 설명 합니다.

연결 가능한 방법은,

1. A,B 공유기 2대를 모두 사용한다.

2. B 공유기만을 사용한다.

1. A,B 공유기 두대를 모두 사용하고자 할 때의 연결 방법 다음 그림을 보면 추가 설명이 필요 없을 것이라 생각 합니다.

여기서 B공유기를 사용하게 된 이유는 '와이파이' 때문이었습니다.

어떻습니까?

추가 설명이 필요 없죠.

위 연결은 어떤 통신사이든 마찬가지 입니다.

2. B 공유기만 사용

A공유기는 와이파이 기능이 없으므로 A공유기를 제거하고 B공유기만 사용하면 됩니다.

 ⓑ, ⓓ, ⓔ, ⓕ 는 공유기의 LAN에 연결하는 우선 순서가 없으며 공유기의 LAN1~4중에 하나에 연결 하면 됩니다.

ⓐ-ⓑ -ⓒ 의 케이블을 'Y' 자형이라하며 다음과 같은 원리 입니다.

이해가 어려운 분은 ' Y '자형 케이블의 연결로 인터넷 증설에 대한 설명을 참고 하세요.

또는 UTP1가닥으로 LAN선 2개 만들기를 참고 하세요.

'통신.네트워크' 카테고리의 다른 글

[인터넷 안됨, 와이파이는 있는데 인터넷 연결 안됨, 인터넷 연결 오류]의 QnA  (0) 2017.11.24
[기숙사 인터넷 안됨, 기숙사 와이파이, 와이파이는 있는데, 벽면랜포트 연결] 인터넷 안됨 QnA  (0) 2017.11.17
[와이파이이름, 친구폰만 와이파이 접속이 안됨, 노트북만 와이파이 접속 안됨,와이파이 접속 장애, 와이파이 접속 시도 중] 로 연결 안됨 QnA  (0) 2017.11.12
[POE 스위치, POE 허브, POE 인젝터, POE 스플리터, POE 공유기, POE AP, POE Ring]에 대한 모든것  (0) 2017.10.30
[인터넷 연결 장애, 와이파이 연결 장애, 와이파이는 있는데 인터넷이 안됨, 식별되지 않은 인터넷] 해결 QnA  (0) 2017.10.30

유무선공유기 설치방법 및 인터넷연결 체크방법

스마트폰의 보급으로 이젠 와이파이이란 말이 대중화 되었습니다. 와이파이가 된다는 것은 무선인터넷을 데이터 걱정없이 마음대로 쓸 수 있다는 것을 뜻하죠. 이러한 와이파이존을 만들어 주는 것이 바로 유무선공유기입니다. 보통 무선만 되는 공유기는 흔하지 않습니다. 포터블하게 만들어진 제품의 경우 유선을 빼고 무선만 가능한 경우가 있습니다.

△ 유선 포트가 없는 무선공유기

대부분의 경우 무선은 유선포트가 있기 때문에 유무선공유기라고 하는게 맞습니다.  각설하고 유무선 공유기의 설치 어떻게 시작해야 하는지 차근차근 설명드리도록 하겠습니다.

1. 유무선공유기 구성품 확인

유무선공유기는 구성품은 대부분 비슷비슷합니다. 공유기, 어댑터, 설명서, 랜케이블, 유틸CD 이렇게 다섯가지로 구성되어 있는게 일반적입니다. CD에 있는 유틸들을 안써도 그만입니다.

△ ipTIME 제품의 구성, 타사 제품도 이와 비슷한 구성이다.

어떤 공유기를 사야할지 고민 되시는 분들께는 사람들이 가장 많이 사는 제품을 사시라고 추천드리고 싶습니다. 인기있는 제품은 그만한 이유가 있기 때문이죠. 검색해 보시면 아시겠지만 우리나라에선 ipTIME제품이 가장 유명합니다. 

2. 설치

아주 가끔 착각하시는 분들이 있는데, 공유기만 있다고 무선인터넷(와이파이)이 되는게 절대 아닙니다. 우선 올레, 브로드밴드, 유플러스, 케이블과 같이 인터넷공급업체(ISP)가 제공하는 서비스에 가입하셔야 합니다.

설치는 정말 간단합니다. 전원을 연결하고 외부망에 연결되는 랜선은 WAN(or 인터넷)이라고 쓰여진 곳에 꼽습니다. 그리고 나머지 포트 중 하나를 골라 별도 랜선을 꼽은 후 반대편을 PC의 랜선 포트에 꼽으면 됩니다. 공유기 뒷면을 보시고 어느곳에 뭘 꼽아야 하는지 우선 살펴보세요. 

실제 선을 다 연결해 본 모습을 전체적으로 보면 다음과 같습니다. 간단하죠.

이제 하드웨어 설치는 끝났습니다.

3. 랜카드설정 확인

대부분의 PC는 랜선을 연결하는 것만으로도 인터넷을 정상적으로 사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안되는 경우에는 랜카드 설정을 확인해 봐야합니다. 제어판에서 네트워크 및 공유 센터 화면으로 이동을 하시면 왼쪽에 어댑터 설정 변경이란 메뉴를 찾을 수 있습니다. 해당 메뉴로 이동해주세요.

해당 메뉴에 보시면 로컬 영역 연결이라는 아이콘이 보이실 것입니다. 아래 이미지가 좀 흐린데요. 해당 아이콘 옆에 설명이 '사용 안 함'으로 되어 있으시면 마우스 오른쪽 클릭을 하셔서 '사용' 상태로 활성화 시켜야 합니다. 그러면 아래 이미지 처럼 모니터가 파란색으로 변합니다. 이러면 랜카드가 사용상태로 변경되었다는 것을 의미합니다.

무선랜카드 설정은 동일하지만 한가지 무선신호를 잡는게 하나 더 있습니다. 아래 그림 참고하세요.

여기까지 따라오셨다면 자 이제 익스플로러를 구동해서 www.naver.com을 입력해보세요. 아마도 네이버화면이 짠하고 나타날 것입니다. 그래도 안되시는 분들은 덧글 남겨주세요.

공유기 케이블 연결 - gong-yugi keibeul yeongyeol
공유기 케이블 연결 - gong-yugi keibeul yeongyeol
공유기 케이블 연결 - gong-yugi keibeul yeongyeol

공유기 케이블 연결 - gong-yugi keibeul yeongyeol