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정은 어디 김씨 - gimjeong-eun eodi gimssi

���� ���ֱ达�� �˷���...���� ������ �̸� ����
������ ���ַ� �˷��� ���ϼ� �ּ��� ������ ������������ ���ֱ达 ������ �̸��� �ö� ������.

�� �������� ������ 12�� ����� ���� ��л� ����ܰ��� ���� ȸ������ "���ʿ� ���� �װ�(���� �¼����� ���� �ִ� ���� ��ǻ�)�� �� �� ������ �������� �����ϰڴ�"�� ������.

���ϼ� �ּ��� ������ �ڽ��� ������ '����'���� ���� �� �ִ�. 1992�� 4�� �߰��� ȸ���� '����� ���Ҿ�' ��1�ǿ����� "�츮 ������ ���� �Ҿƹ����뿡 �� ���� ã�� ����ϵ� ���ֿ��� ������ ���Դٰ� �Ѵ�. ����뿡 �Ѹ��� ���� ���� �����Ҿƹ���(������) ����Ϳ���"�� ���� �ִ�.

�׷��� �� �������̳� �� �ּ��� ���� ���� ���δ� ��Ȯ�� Ȯ�ε��� �ʰ� �ִ�. �̴� ���ֱ达 �뵿���� ���� ������ �������� �ʴµ��� ���溰�� ��������� ���� ��� �� �ּ��� ���밡 ��Ҵ� �� �뵿�� �ϴ��� ���� �����Ǿ� ���� ���� �ʱ� �����̴�.

���ֱ达 �߾���ģȸ�� ������(82) ��ȸ���� "1915�Ⲳ �� ���� �뵿���� ������� ���� ������ 6��25������ ġ���鼭 ��� ��������"�鼭 "����(������)�� ���ֱ达��� ���� ������ ���� Ȯ���� �ٰ�, �̸� �׸� ������̳� ���� ���� �����ϸ� ��ģ���� ������ �� �ִ�"�� ���ߴ�./�豤�α���

    김정일과 김정은의 정체 :3대세습, 그 피의 비밀 오류신고

    김정은 어디 김씨 - gimjeong-eun eodi gimssi

    자료유형단행본서명/저자사항김정일과 김정은의 정체 :3대세습, 그 피의 비밀 /저자: 다케야마 소테츠;역자: 정용연개인저자다케야마 소테츠
    정용연
    발행사항서울:심비언,2011.형태사항230 p. :도표, 지도, 사진 ;23 cmISBN9788995796412
    서지주기참고문헌: p. 227-230이용제한사항일반비통제주제어김정일, 김정은, 북한정권, 북한정치,

    번호소장처등록번호청구기호도서상태서비스1 북한자료센터 / 5층 국내서 EM62186 340.99 다874ㄱ 서가배치 출력 2 북한자료센터 / 5층 국내서 EM62187 340.99 다874ㄱ c.2 서가배치 출력

    목차

    서론

    제1장 김정은은 누구인가
    김정은의 데뷔 ㅣ 김정은의 이름의 유래 ㅣ 조부를 닮은 김정은 그리고 '북한의 장래' ㅣ 생년월일을 둘러싼 수수께끼 ㅣ '돼지해'에 태어나 27세 ㅣ 지도자의 출생지는 국가 최고기밀 ㅣ 김정은의 알려지지 않은 경력 ㅣ 왜, 군사위원회의 부위원장이 된 것인가? ㅣ '연평도 포격작전과 김정은의 관련' ㅣ 김정일은 앞으로 '여명이 3년'

    제2장 김씨 왕조 혈통의 비밀
    김씨 왕조 60년의 비밀 ㅣ 김씨 왕조의 시작-김일성은 어디에서 왔는가? ㅣ 소련군에게 발탁된 영웅 ㅣ 숙청, 이어지는 숙청-김일성 독재체제의 완성 ㅣ 김씨 일족의 기원(起源) ㅣ 미국선박을 격침시킨 김일성의 증조부 ㅣ 김일성의 부(父)는 의사이며 독립운동가 ㅣ 김성주(金成柱)에서 김일성(金一星)으로 개명 ㅣ '만들어진 태양'의 발자취

    제3장 독재자 · 김정일
    김정일에게 젖을 주었던 늙은 유모의 증언 ㅣ 조선의 성산(聖山) ·백두산에서 태어난 김정일 ㅣ 계모 김성애와의 갈등 ㅣ 영화제작과 '업적쌓기'에 전념 ㅣ 일본인 납치사건의 숨겨진 배경 ㅣ 아버지의 권력을 넘보는 김정일 ㅣ 부(父)가 아들에게 이례적으로 선물한 '광명성찬가'ㅣ 시간을 들여서 권력세습

    제4장 또 한명의 후계자
    세습반대를 단언했던 김정남 ㅣ 형을 암살하려고 했던 김정은 ㅣ "예, 김정일 일어 섰습니다." ㅣ 단 한사람, 마음대로를 허락받은 아들 ㅣ 왜 정남은 후계자 선택에서 탈락했는가? ㅣ 고영희 숭배로 부성했던 '김정철 후계자설' ㅣ 무용수였던 고영희 ㅣ 부드러운 남자 정철의 '다른 얼굴' ㅣ 김정일에게 가장 가까운 존재 여동생 김경희 ㅣ '포스트 김정일'은 장성택인가? ㅣ 킹과 킹메이커의 '사이'

    제5장 측근들의 프로파일
    김정은이 잡은 권력 ㅣ 국방위원회와 군사위원회의 뒤틀린 현상 ㅣ '연평도 포격사건'은 누구의 소행인가? ㅣ 일본인납치를 주도했던 '작전부' ㅣ 연평도포격으로 본 정은의 실력 ㅣ 최고 권력을 잡은 '김정은의 오른팔 이영호' ㅣ '김정은의 왼팔' 김영춘은 대남강경파 ㅣ 예비전투력 770만명의 우두머리 오일정 ㅣ 김정은에게 농구를 가르쳐서 출세한 최부일 ㅣ 김격식은 랑군테러의 총책임자였다 ㅣ '장성택 ·노동당' 라인의 최용해 ㅣ 신체제가 안은 새로운 불씨

    제6장 김정일이 없게 되는 날
    북한을 떠받치는 중국 ㅣ 김정은과 김정일의 근본적인 차이 ㅣ '철의 장막' 에 구멍이 뚫리다 ㅣ '아기돼지 아빠돼지 세마리가 다 먹어치운다' ㅣ 구 파워그룹을 능숙하게 다룰까? ㅣ 신정권의 명운이 달린 '남겨진 시간' ㅣ 연간 100만톤의 식량이 부족 ㅣ 개혁개방은 가능할까? ㅣ '김씨 왕조' 의 제 1보로서

    후기
    주요한 참고문헌

    고동수 논설위원

    김정은 어디 김씨 - gimjeong-eun eodi gimssi

    전주 모악산은 김정은 북한 국무위원장의 태생적 뿌리다. ‘어머니의 산’으로 불리는 이곳에 전주 김씨 시조(始祖·한 집안의 맨 처음이 되는 조상)인 김태서의 묘가 있어서다. 김 위원장은 김태서의 34대손이다.

    김일성 전 북한 주석은 회고록 ‘세기와 더불어’에서 “할아버지 대에 전주에서 북으로 들어왔다”고 밝혔다. 그의 일가가 전주 김씨라는 사실은 2000년 6월 남북정상회담 때도 확인됐다. 주한미군 문제 등으로 대화가 막히자 김정일 당시 국방위원장이 김대중 대통령에게 “전라도 고집이 이렇게 센 줄 몰랐다”며 농을 건넸다. 김 대통령이 “어디 김씨냐”고 묻자 김 위원장이 “전주 김씨”라고 답했다고 한다.

    그 후 김 위원장은 남한을 방문하면 가장 가고 싶은 곳으로 전주를 꼽았다. 이 때문에 전쟁이 일어나도 전주는 폭격하지 않아 무사할 것이라는 말이 회자했다.

    ▲제주 한라산도 김정은 위원장의 뿌리다. 생모 고용희(또는 고영희·1953~2004)는 제주도 출신 고경택의 딸이다. 일본 오사카에서 태어나 9세 때인 1962년 부모와 함께 북송선을 탔다. 그 이후 만수대예술단에서 무용가로 활동하던 중 1971년 ‘공훈 배우’ 칭호를 받았다. 김정일 위원장과 사이에서 정철·정은·여정 3남매를 낳았다.

    2002년부터 북한에서 ‘평양의 어머니’로 불리다가 2004년 5월 프랑스에서 유방암으로 사망했다. 묘는 평양 시내에 조성됐다. 김정일은 유방암으로 사망한 아내를 생각해 유방암 치료시설 확충에 신경을 썼다고 알려져 있다. 실제로 유선종양연구소를 2012년 10월 평양산원 산하에 개설했다.

    지난 2014년 한라산 줄기가 흘러내린 제주시 봉개동 ‘탐라 고씨 신성악파 흥상공계 가족묘지’에 고용희의 아버지 고경택의 비석이 발견돼 세인의 관심을 끌었다. 이 비석에는 이름과 함께 ‘1913년 태어나 1929년 일본으로 건너갔다. 1999년에 귀천하시어 봉아름에 영면하시다. 사정에 따라 허총(시신이 없는 묘)을 만들다’라고 새겨져 있었다.

    ▲문재인 대통령이 남북정상회담과 관련해 한라산을 언급해 화제다. 문 대통령은 28일 북악산 산행 중 정상에서 “김정은 북한 국무위원장이 답방 겸 서울에 오면 뭘 보여줄 것인가”라는 기자단의 질문에 대해 “백두에서 한라까지라는 말도 있으니 원한다면 한라산 구경도 시켜줄 수 있다”고 했다.

    김 위원장이 답방하면 조상에 대해 어떻게 언급할지 궁금하다.

      • 가나다라마바사
      • 가나다라마바사
      • 가나다라마바사
      • 가나다라마바사
      • 가나다라마바사
      • 가나다라마바사

    저작권자 © 제주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


    김정은 어디 김씨 - gimjeong-eun eodi gimssi

    20일 전북 완주군 모악산에 자리한 전주 김씨 시조 묘. 김정은 국무위원장의 할아버지 김일성 전 북한 주석의 32대 조상인 김태서의 묘다. 구이저수지와 드넓은 호남평야가 한눈에 내려다보인다. 김준희 기자

    남북 정상이 백두산에 오른 지난 20일 낮 12시쯤 전북 완주군에 있는 모악산(母岳山)을 찾았다. 하늘은 흐리고 간간이 빗방울이 떨어졌다. '어머니의 산'으로 불리는 모악산(해발 793.5m)은 김정은 국무위원장의 '태생적 뿌리'인 전주 김씨 시조(始祖) 묘가 있는 곳이다. 전주 김씨의 시조(한 집안의 맨 처음이 되는 조상)는 김정은 위원장의 할아버지인 김일성 전 북한 주석의 32대 조상으로 알려진 김태서다. 김 위원장은 김태서의 34대손인 셈이다.

    김일성 32대 조상 김태서 무덤 #김정일, 남북회담 때 "난 전주 김씨" #호남평야 보이는 '갈마음수형' 명당 #"북 폭격에도 무사할 것" 얘기 돌아 #풍수학자 "김정은도 남북화합 호재"

    김 위원장의 '서울 답방' 소식에 전주 김씨 시조 묘에 다시 세간의 관심이 쏠리고 있다. 이날 묘의 위치를 묻기 위해 모악산 들머리에 있는 '완주군 모악산관리사무소'부터 들렀다. 남직원 2명의 눈이 TV 모니터에 멈춰 있었다. 전날 문재인 대통령이 평양 능라도 5·1 경기장에서 평양시민 15만 명 앞에서 연설하는 장면을 보고 있었다. 이들은 "김정일(김정은 부친)이 죽었을 때는 사람들이 묘를 많이 찾았는데 아직은 뜸하다"고 했다.

    김정은 어디 김씨 - gimjeong-eun eodi gimssi

    20일 전북 완주군 모악산에 자리한 전주 김씨 시조 묘. 김정은 국무위원장의 할아버지 김일성 전 북한 주석의 32대 조상인 김태서의 묘다. 구이저수지와 드넓은 호남평야가 한눈에 내려다보인다. 김준희 기자

    직원들이 알려준 대로 구이면 쪽 등산로를 따라 5분쯤 걷자 왼쪽에 '전주김씨시조묘'라고 적힌 나무 팻말이 보였다. 거기서 수풀이 우거진 샛길을 따라 400m가량을 더 오르니 목적지가 나왔다. 평평한 산 중턱(해발 300m)에 전주 김씨 시조 묘가 자리했다. 구이저수지와 드넓은 호남평야가 한눈에 내려다보이는 양지바른 곳이다.

    지름이 2.5m쯤 돼 보이는 봉분 앞 제단 위에는 일회용 접시 2개와 함께 사과와 오이, 술 등이 놓여 있었다. 사과가 아직 심하게 썩지 않은 것으로 보아 누군가 하루 이틀 전에 다녀간 모양이었다. 추석을 앞두고 전주 김씨 가문 사람들이 벌초와 성묘를 하러 왔을 가능성이 제일 높아 보였다. 그 덕분인지 이날 무덤을 덮은 잔디는 짧게 다듬어져 있고, 주변도 깔끔했다.

    김정은 어디 김씨 - gimjeong-eun eodi gimssi

    20일 전주 김씨 시조 묘 앞 제단 위에 놓인 사과와 오이, 그리고 술. 누군가 추석을 앞두고 벌초와 성묘를 하고 두고간 것으로 보인다. 김준희 기자

    이 묘지에 묻힌 김태서는 누구일까. 북한 신문 '통일신보'에 따르면 김태서는 1254년 고려 고종 41년 왜군의 침입으로 경주 일대가 폐허가 되자 일족을 데리고 전주군(현 완주군)에 정착한 인물이다. 그 후 3년 만에 숨졌는데, 후손들은 김태서가 묻힌 전주를 본관(시조가 난 곳)으로 삼았다고 한다.

    김일성 회고록인 『세기와 더불어』에도 "김일성의 조상이 전북 전주에 살다 북으로 갔다"는 내용이 나온다. 김일성 일가가 전주 김씨라는 사실은 2000년 6월 남북정상회담 때도 확인됐다. 주한미군 문제 등으로 대화가 막히자 김정일 국방위원장이 김대중 대통령에게 "전라도 고집이 이렇게 센 줄 몰랐다"며 농을 건넸다. 김 대통령이 "어디 김씨냐"고 묻자 김 위원장이 "전주 김씨"라고 답했다. 그러자 김 대통령이 "그럼 김 위원장이야말로 진짜 전라도 사람 아닙니까. 나는 김해 김씨요. 원래 경상도 사람입니다"라고 하자 둘은 폭소가 터졌다고 한다.

    김정은 어디 김씨 - gimjeong-eun eodi gimssi

    전주 김씨 시조 묘가 있는 전북 완주군 모악산. 시조 묘는 김정은 국무위원장의 할아버지 김일성 전 북한 주석의 32대 조상인 김태서의 묘다. 김준희 기자

    그해 8월 방북한 언론사 대표 40명 중 장영배 당시 전주 MBC 사장도 비슷한 일화가 있다. 장 사장이 만찬장에서 김정일 위원장에게 "전주에 전주 김씨 시조 묘가 있는데 아십니까? 한번 오시죠"라고 하자 김 위원장은 "알고 있습니다. 수령님(김일성)이 계셨더라면 벌써 가셨을 텐데 답방하면 당연히 가야죠"라고 화답했다는 것이다. 당시 전북경찰청은 김 위원장의 방문을 가정해 전주 김씨 시조 묘 주변에서 경호 연습을 하기도 했다.

    '모악산 김일성 시조묘설'은 손석우씨가 1993년 풍수 이야기를 담은 『터』가 베스트셀러가 되면서 세상에 널리 알려졌다. '육관도사'로 불린 손씨는 그 책에서 "이 묘의 지기가 발원해 후손이 장기 집권하게 되는데, 묘의 운이 1994년 9월에 끝난다"고 예언했다. 실제로 김일성 전 주석이 그해 7월 세상을 떠나자 큰 화제가 됐다. 여기에 재미교포 언론인 문명자(줄리 문)씨의 김일성 주석 인터뷰도 일조했다. 김 주석은 1992년 문 기자와의 인터뷰에서 "내 시조 묘가 모악산에 있다"고 했다.

    김정은 어디 김씨 - gimjeong-eun eodi gimssi

    평양정상회담 사흘째인 20일 오전 문재인 대통령과 김정은 국무위원장이 백두산 정상인 장군봉에 올라 손을 맞잡아 들어올리고 있다. [평양사진공동취재단]

    이 때문에 "북한이 전쟁을 일으켜도 모악산 일대는 폭격하지 않아 무사할 것"이라는 얘기가 설득력 있게 나돌았다. 정작 아직까지 전주 김씨 종친회는 김일성 일가가 종친이라고 공식적으로 인정한 적이 없다. "족보에 기록이 없다"는 게 이유다. 일부에선 "과거 독재 정권 시절 서슬 퍼렇던 반공 정서 때문"이라는 분석도 있다.

    전주 김씨 시조 묘는 명당(明堂)으로도 회자된다. 풍수지리학자들은 묘가 있는 땅을 정좌계향(동북 방향)의 갈마음수형(渴馬飮水形)으로 본다. '목마른 말이 물을 마시는 모습'으로 자손들이 부귀하고 크게 흥할 자리라는 것이다. 그 전에 모악산 자체가 명산(名山)이자 민족 종교의 태생지다. 김지하 시인은 "풍수적으로 한반도의 배꼽은 모악산"이라고 했다. '풍수지리의 대가'로 꼽히는 김두규 우석대 교양학부 교수에 따르면 조선 시대 이름난 승려인 진묵대사와 증산교 창시자 강증산이 득도한 곳이 김일성 시조 묘와 가까운 대원사다.

    김정은 어디 김씨 - gimjeong-eun eodi gimssi

    전북 완주군 모악산에 있는 전주 김씨 시조 묘를 가리키는 나무 팻말. 김준희 기자

    하지만 지난 2011년 12월 김정일이 사망했을 때는 "전주 김씨 시조 묘는 명당이지만 김태서의 뼈가 이미 소멸해 풍수지리적으로 김일성 왕조의 3대 세습은 힘들 것"이라는 예측이 우세했다. 결과적으로 김정은 위원장이 권력을 휘어잡으면서 예측은 빗나갔다. 김두규 교수도 당시 "시조 묘의 효력은 상실했다"고 봤다. "통상 뼈의 기운은 최대 100년이 지나면 소멸하고, 뼈가 없으면 '동기감응' 자체가 불가능하다"는 게 이유였다.

    동기감응(同氣感應)은 '같은 기운은 서로 감응한다'는 것으로 풍수의 핵심이다. 좋은 땅에 조상을 모시면 그 좋은 기운이 후손에게 간다는 의미다. 김 교수는 "좋은 기운을 이어주는 매개가 뼈냐, 마음이냐인데 당시엔 뼈가 없으면 '명당발복(明堂發福)'이 안 된다고 기계론적으로 해석했다"고 말했다. 명당발복은 '명당에서 복이 나온다'는 것을 말한다. 하지만 공부가 깊어지면서 그는 "뼈를 좋은 땅에 모시는 것도 중요하지만 마음이 더 중요하다"는 쪽으로 생각이 기울었다.

    김정은 어디 김씨 - gimjeong-eun eodi gimssi

    역대 남과 북 정상들이 공동선언문을 발표한 뒤 기념촬영하고 있다. 왼쪽부터 2000년 남북정상회담 당시 김대중 대통령과 김정일 국방위원장, 2007년 남북정상회담 당시 노무현 대통령과 김정일 국방위원장, 올해 4월 판문점 남북정상회담 당시 문재인 대통령과 김정은 국무위원장, 이번 평양 남북정상회담에서의 문재인 대통령과 김정은 국무위원장. [평양사진공동취재단·연합뉴스]

    김 교수는 "묘를 통해 돌아가신 부모와 교감하고 조상이 편하게 계신다고 믿으면 혈연관계가 아닌 양자(養子)라도 그 후손들은 자신감 있게 어려움을 헤쳐 나간다"며 "반대로 친자식이더라도 부모를 무시하고 묘를 돌보지 않으면 아무리 좋은 땅에 모셨더라도 후손에게 그 복이 가지 않는다"고 했다.

    이런 관점에서 김 교수는 "김정은 위원장 입장에서도 가문의 시조 묘가 모악산에 있다는 게 나쁘지 않을 것"이라고 판단했다. 훗날 '우리 조상도 남한에 있으니 한민족 아니냐' '풍수지리적으로 묘가 좋은 자리에 있으니 남북이 통일됐다'는 논리로 충분히 활용할 수 있다는 얘기다.

    이날 모악산 정상을 밟고 내려오던 여성 등산객 2명을 만났다. 전주에 사는 박모(65)씨와 강모(70)씨다. '이 근처에 김일성 시조 묘가 있는 걸 아느냐'고 묻자 이들은 주저 없이 기자가 방금 다녀온 묘지 쪽을 손가락으로 가리켰다. 이들은 "전주에 오래 살고 우리처럼 나이가 많은 사람들은 대부분 그 묘를 안다"고 했다.

    두 사람은 "김정은 위원장이 서울을 방문할 때 모악산도 꼭 오면 좋겠다"고 입을 모았다. 그러면서 "북한의 3대 세습 체제나 핵, 공산주의는 반대하지만, 김 위원장이 자기 시조 묘가 있는 모악산에 오면 남북이 화해 무드를 이어가는 데 좋은 계기가 될 것 같다"고 말했다.

    김정은 위원장은 '서울 답방'을 약속했고, 문 대통령은 '연내 답방'을 강조했다. 김 위원장이 남한에 올 때 그의 아버지와 할아버지가 애정을 보인 전북 모악산 시조 묘를 참배할지 주목된다.

    완주=김준희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