디스 코드 내장그래픽 - diseu kodeu naejang-geulaepig

안녕하세요. 데들리크러쉬입니다.

1편에 이어 2,3편까지 모두 컴퓨터 특히 게임에 관심이 많으신 분들이면 알고 있을 내용인데요.

가이드 3편의 5.번항목만 POE에만 해당하는 최적화 부분입니다. (데들리트레이드 업데이트 버전에서 지원합니다만 글에 수동 처리법이 있습니다.)

많은 분들이 관심을 가지고 봐주시고 여러 경로로 문의를 주셔서 애드온 업데이트 전에 4편까지만 올려봅니다.

4편은,

※ GPU : Graphic Process Unit 아시다시피 그래픽 카드 처리에 관한 내용입니다.

각 그래픽 카드별 3D 설정이나 전체화면 스케일링 부분은 여기서 다루지 않습니다. 세부 설명이 길어질거 같아요;;

1. 드라이버 설치 : 최신 그래픽 카드 드라이버 vs 모델별 안정화 버전

각자 사용하고 있는 그래픽 카드의 드라이버를 공식 최신 버전으로 유지하는 것은 매우 중요합니다.

하지만 가끔 드라이버 업데이트로 인해 문제가 발생하기도 하는데요. 이 때는 그래픽 드라이버를 제거하고 해당 모델의 안정화 버전을 검색하셔서 (또는, 이전 버전으로) 설치하시면 됩니다.

2. GPU 사용 제한하기

1) 구글 크롬 : 크롬을 많이 사용하실텐데요 아래와 같이 GPU 사용 제한하고 크롬을 재시작합니다.

크롬의 설정 - 고급 아래쪽에 위치해 있습니다.

2) 디스코드 : 디스코드도 많이 사용하실텐데요 역시 GPU 사용을 제한해줍니다.

디스코드의 설정 - 디스플레이 아래쪽 고급 부분에 있습니다.

3) 전용 GPU와 공용 GPU 확인 : 전제조건은 본인 PC에 내장 그래픽 카드와 외장 그래픽 카드가 같이 있다는 전제입니다.

가. 작업관리자 - 세부 정보에 나오는 최상단 이름, 메모리 등...의 컬럼명을 마우스 우클릭해서 '열 선택' 을 클릭합니다.

나. 전용 GPU 메모리와 공유 GPU 메모리를 체크박스 선택해줍니다.

다. 아래와 같이 전용 GPU와 공용 GPU의 사용량이 나타나면 정상입니다.

4) 불필요하게 전용 GPU를 사용하는 것을 공유 GPU 사용으로 변경

가. 윈도우즈 설정 - 시스템 - 디스플레이로 들어가서 '그래픽 설정'을 클릭합니다.

나. '찾아보기' 버튼을 이용해서 외장 그래픽 카드 즉 3D자원을 사용하지 않아도 되는 것들을 '절전'으로 설정해줍니다.

이렇게 '절전' 으로 설정한 프로그램은 외장 그래픽 카드의 GPU 사용을 최대한 줄인채로 내장 그래픽 카드를 사용합니다.

다. 잘 설정되었는지 3)에서 작업 관리자에 설정해두었던 모니터링으로 확인해봅니다.

* 크롬과 디스코드의 경우 앞선 작업으로 인해 모든 GPU 사용을 하지 않는것이 정상입니다. ^^*

3. POE 에만 해당 : Path Of Building은 게임 플레이 맵핑 등... 사냥시에는 꺼두시는걸 권장합니다.

POB는 생각보다 많은 CPU와 메모리 그리고 GPU를 사용합니다.

초고사양 PC가 아니라면 매핑, 특히 보스전 등... 실제 게임에서 사냥할 때는 꺼두시길 적극 권장합니다.

귀찮으시더라도 빌드를 짜거나 볼 필요가 있을때만 열어서 확인하세요. ^^*~.

POB를 계속 켜두고 사냥 나가시는건 초~고사양 PC에만 사용하시길;

4. 기타 :

듀얼 모니터 이상을 사용하시는 분들 중 내장 및 외장 그래픽 카드가 모두 있다면,

보조 모니터는 내장 그래픽카드와 물리적으로 케이블을 연결하시고 게임 등 주모니터로 사용하시는 외장 그래픽카드만 메인 모니터에 물리적으로 케이블을 연결하시는걸 권장드립니다.

내장 그래픽 카드의 자원 있는데 보조모니터를 외장 그래픽에 듀얼로 연결하는거보다 내장↔보조모니터 / 외장↔주모니터로 케이블을 분리해서 사용하면 조금 더 나은 성능을 보여줍니다.

감사합니다. 다음글은 데들리트레이드 업데이트 안내로 찾아뵙겠습니다. 。.:☆*:・'(*⌒―⌒*)))

[ POE 랙이 심해요. 기본 가이드 #1, #2, #3, #4 ]

#패스오브엑자일, #PathOfExile, #핑, #Ping, #랙, #lag, #최적화, #Optimization


유틸리티

노트북 내장그래픽 끄기 설정 방법입니다

2016. 9. 15. 08:18

오늘은 노트북 내장그래픽  끄기 설정 방법을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예전에 비해 노트북을 사용하는 분들도 많아지고 성능도 굉장히 많이 좋아졌습니다.

그로인해 탑재된 그래픽카드의 성능또한 많이 좋아졌는데요 

일반적으로 노트북은 내장용 그래픽이 설치되어 있는 경우가 상당히 많습니다.

외장 그래픽카드가 설치가 됬는데 인식이 제대로 안될때는 내장그래픽 끄기 설정을 하면 쉽게 해결할 수 있는데요,

다음의 방법으로 간단하게 할 수 있습니다.

참고로 외장그래픽카드를 수동으로 설정 할 수 있지만 항상 인식을 시킬 필요는 없답니다.

노트북 시스템에서 자동으로 내장용 그래픽카드를 먼저 선택하는건 최적의 성능을 발휘하기 때문인데요,

고사양의 3D 게임이나 응용프로그램을 사용하는게 아니라면 내장그래픽을 사용하는게 전력소모도 덜하게 됩니다.

수동으로 내장그래픽을 끄고 외장그래픽을 선택하려면 바탕화면에서 마우스 우클릭을 하고

NVIDIA 제어판을 클릭합니다.

디스 코드 내장그래픽 - diseu kodeu naejang-geulaepig

제어판으로 들어간 후 3D 설정 항목에서 "3D 설정 관리"로 들어갑니다.

우측에 있는 전역 설정에서 기본 그래픽 프로세서는 "자동선택"으로 되어있을텐데

이 부분을 "고성능 NVIDIA 프로세서"로 바꿔줍니다.

하단에 있는 설정 메뉴에서는 "다중 디스플레이/혼성 GPU가속" 항목에서

"단일 디스플레이 성능 모드"를 선택하여 적용합니다.

PhysX 구성 설정 메뉴로 들어간후 프로세서 선택에서 설치된 외장 그래픽카드를 선택하여 바꿔줍니다.

이렇게 모든 설정을 바꿔주면 노트북 내장그래픽 끄기 설정이 된겁니다.

가능하면 고사양의 그래픽을 요구하는 게임이나 응용 프로그램을 사용할때만 외장 그래픽카드로 바꿔주고,

평소에는 내장용을 사용하는게 가장 무난합니다.

노트북이 스스로 최적화된 성능을 오히려 외장 그래픽카드가 방해를 할 수도 있으니 사양에 맞게 

설정을 하고 사용을 하는게 가장 좋은것 같습니다.

이상으로 노트북 내장그래픽 끄기 설정 방법에 대해 알아보았습니다.

'유틸리티' Related Article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