방아쇠수지증후군 테이핑 - bang-asoesujijeunghugun teiping


4. 건강한 내 몸 만들기/4.4. 주관절 및 수부 (elbow & Hand)

2015. 3. 28. 09:00

주관절 및 수부 (elbow & Hand)- 방아쇠 수지 (Trigger finger)

 좋은 하루입니다. 어제는 방아쇠 수지의 정의와 증상, 진단 등에서 알아봤는데요. 오늘은 치료와 운동요법 등에 대해서 포스팅 해보도록 하겠습니다. 

치료

단계 치료: 보존적 치료 

 초기 치료는 힘줄과 통로(활차)의 부종을 줄여 굴곡건이 잘 움직이게 해주는 것입니다. 아주 불편하지 않다면 별다른 치료 없이 단순 관찰만을 시행할 수 있으며, 가능한 손을 덜 사용하며, 특히 손으로 물체를 잡고 하는 활동은 줄이시는게 좋습니다. 실제로 골프 연습을 무리하게 하는 경우에 잘 생기는데, 그립을 꽉 쥐고 스윙시 임팩트를 주기 위해 손가락에 힘을 주게 되면 통로(활차)에 많은 힘이 가해지기 때문입니다. 이렇게 손을 쓰는 습관을 교정하는 것이 예방과 재발을 막는 방법입니다. 

 2주 이상 쉬면서 집에서 온찜질 (또는 파라핀) 을 시행해 볼 수 있으며, 그래도 심하게 아프시다면 병원에서 부목을 대거나 소염진통제(NSAIDs)을 처방 받아 단기간 복용하면 드시면 증상이 좋아집니다. 바르는 진통 소염제도 효과가 있습니다. 

2 단계 치료: 주사요법

4주 이상 휴식과 물리치료, 약물 치료 등 보존적 치료를 했음에도 호전이 없을 경우 주사요법을 시행해 볼 수 있습니다. 스테로이드 주사를 통로(활차) 부위에 맞는데, 3개월 정도 효과가 지속되지만 재발하는 경우가 종종 있습니다. 결국 이런 치료는 좁아진 통로 자체를 교정하는 것은 아니고 힘줄과 통로 사이의 염증을 줄여 힘줄의 움직임을 좋게 만드는 것이므로, 너무 심하게 통로가 좁아졌다면 이 방법은 효과가 없습니다. 또한 스테로이드 주사를 너무 자주 맞게 되면 주변 피부의 변색, 피하지방 위축, 힘줄의 파열이 발생할 수 있으므로 주의해야 합니다. 

[스테로이드 주사 요법] 


3 단계 치료: 수술

수술적 치료는 주사 요법이 만족스럽지 않거나, 재발한 경우, 증상이 6개월 이상 지속되는 경우, 손가락 잠김 증상이 있어 굽혀지거나 펴지지 않을 경우 실시합니다. 

수술은 국소마취로 1cm정도의 작은 절개를 통해 힘줄이 걸리는 부분의 통로(활차)를 절개해 공간을 넓혀주는 활차절개술을 하는데, 수술 후에 곧바로 손가락 움직임이 좋아집니다. 수술 후 약 14일이 지나면 피부 봉합사를 제거합니다. 하지만 이 병이 너무 오래 방치된 경우에는 손가락 안에 힘줄이 덜 펴진 상태로 굳어버려 통로를 넓혀주는 수술을 하더라도 손가락이 완전히 펴지기 어려운 경우도 있습니다. 

[활차 절개술] 


수술 후 유의사항

수술 후 손가락이 굳는 강직을 예방하기 위해서 손가락 운동은 수술 직후부터 시행해야 합니다. 새로운 통로가 만들어 지기까지 약 6주가 걸리므로, 그 동안은 충분한 휴식과 무리한 손 사용을 가급적 멀리 해야 하며, 많이 쓰시게 되면 붓거나 쑤신 느낌이 들 수 있습니다. 

방아쇠 수지 운동

1 힘줄 미끄럼 운동 (Tendon Gliding Exercise)

힘줄 미끄럼 운동은 힘줄을 싸고 있는 활액막의 윤활작용을 증가 시켜 힘줄이 부드럽게 움직이는데 도움을 줄 수 있는 운동입니다. 주의할 점은 각각의 동작을 손가락 끝에서부터 김밥 말듯이 (또는 정권주먹을 쥐듯이) 지긋이 말아주어야 합니다

손가락을 최대한 편 상태에서 손을 말아 손톱 끝이 다음 표시된 곳에 닿게 하며 이 상태로 3초를 유지합니다. 

방아쇠수지증후군 테이핑 - bang-asoesujijeunghugun teiping

다시 손가락을 최대한 펴고 다시 손을 말아 손가락 끝이 손바닥 주름을 터치하게 유지하고, 이 상태로 3초를 유지합니다.

다시 손가락을 최대한 편 후 손가락을 구부려 손바닥의 가장 먼 부분에 닿게 하여 3초간 유지 합니다. (이때 손가락 끝 마디는 폅니다.) 

다시 손가락을 모두 폈다가 이번에는 첫마디만 구부려 'ㄱ'모양을 만든 후 3초간 유지하고 다시 손을 폅니다. 

이러한 동작을 10번이상 반복하고 하루에 3회 이상 시행합니다. 필요할 때 운동을 반복하며, 통증을 느끼는 경우 일시 정지 또는 천천히 수행합니다. 또한 따뜻한 물속에서 시행하면 강직 증상을 완화할 수 있습니다.

2 근력강화 운동 (Stengthening exercise)

손의 움직임을 제어하기 위해 손목과 전완부의 근육을 강화해야 합니다. 이는 손가락 움직임의 의 균형과 효율을 향상시킵니다. 또한 혈액의 흐름을 증가시켜 손의 온기를 제공하며, 빠른 회복을 촉진합니다. 

타이트한 고무 밴드를 그림과 같이 손 주위에 감싼 후, 엄지를 비롯한 모든 손가락을 천천히 펼치며 펌핑 운동을 합니다. 펌핑 운동을 반복하는 과정에 지속적으로 고무 밴드가 짱짱하게 가운데에 있도록 유지합니다.  

'4. 건강한 내 몸 만들기/4.4. 주관절 및 수부 (elbow & Hand)' Related Article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