발포폴리에틸렌보온재 - balpopollietillenboonjae

����������ȣ��å |  ���� �̿��� |  ȸ��Ұ� |  ��������

�ּ� : ���� / 1���� : ���� �ξȱ� ��ȸ� �ξȳ�������� 14-8  ·  ��ȣ: Ƽ����  ·  TEL : 063-581-9111  ·  FAX : 063-581-9114
���������� ��⵵ ���ν� ó�α� ������ 2523  ·  TEL : 031-322-4348  ·  FAX : 031-323-0706  
Copyright 2017. TIELLON. All right reserved. Mail to webmaster for more information

국가표준의 상세

표준번호KS M 3862
표준명(한글) 발포 폴리에틸렌 보온재
표준명(영문)Polyethylene form for thermal installation
KS원문보기 표준 원문보기
표준분야(M) 화학 - (M16) 플라스틱·사진재료
표준구분제품
제정일1996-10-09
최종개정확인일2022-11-10
기술심의회화학재료 기술심의회(M)
전문위원회단열재
적용범위이 규격은 사용 온도 70℃ 이하 또는 120℃ 이하의 보온ㆍ보랭에 사용하는 폴리에틸렌을 발포시켜 만든 발포 폴리에틸렌 보온통에 대하여 규정한다.
표준개발협력기관한국건설생활환경시험연구원
담당부처국가기술표준원
담당부서바이오화학서비스표준과
담당자명박현영
담당자 연락처043-870-5392
국제표준 부합화

국제표준 부합화의 목록

대응국제표준부합화수준
해당없음

인용표준11 건 기술기준10 건
ICS Code
    83.080.10 (열경화재)
표준이력사항

표준이력사항

변경일자구분고시번호제정,개정,폐지 사유신구대비표
1996-10-09 확인 960046
2001-11-30 개정 2001-0788
2006-12-04 확인 2006-0729
2011-12-05 확인 2011-0541 5년도래 한국산업표준 확인
2017-09-14 개정 2017-0366 염기성 내화물의 수화도 시험 방법에 대하여 규정한다.
2022-11-10 확인 2022-0505 5년도래 확인표준

인증심사기준

인증심사기준의 목록

제/개정일자구분첨부파일
2019-05-27 개정
발포폴리에틸렌보온재 - balpopollietillenboonjae


발포 폴리에틸렌 소재 보온재, 화재에 ‘無用之物’

  • 기자명 김태윤 기자
  • 입력 2019.08.28 17:37

숭실사이버 이창우 교수팀, 난연성능 테스트

발포폴리에틸렌보온재 - balpopollietillenboonjae

최근 숭실사이버대학교 이창우 교수 연구팀이 내놓은 ‘반자 내부의 유기질 배관보온재 재질별 화염확산 실험’ 리포트에는 보온재의 소재로 쓰이는 고무발포와 폴리에틸렌발포 소재의 화재반응을 측정한 실험 결과 값이 담겨있다. 두 소재를 두고 같은 조건에서 화재가 발생했을 때 난연성능에 대한 테스트를 진행한 것이다.

이 테스트에서 결론부터 말하면 폴리에틸렌발포 소재 보온재의 경우 급격한 연소로 난연성능이 발휘되지 못하며 화재에 취약성을 드러낸 반면, 고무발포 소재 보온재는 표면만 연소되고 자연소화 되는 등 화재 억제력에서 합격점을 보였다.

이번 실험은 반자 내부에 단열재를 제외한 폴리에틸렌발포, 고무발포의 두 가지 배관보온재 종류를 공통 실험 조건으로 화재 시 발생되는 연소 확대 시간, 온도 등의 화염확산 패턴을 실화재 실험을 통해 측정했다.

실험조건은  가로 2.4m * 세로 0.9m * 높이 0.6m 등 1.29㎥의 체적을 가진 실험체를 제작해 내부는 석보보드로, 외부는 나무합판으로 각각 마감했으며 실험에 사용한 보온재는 발포 폴리에틸렌 보온재(15A20T) 2m와 고무발포 보온재(15A20T) 2m를 사용했다.

발포폴리에틸렌 보온재의 경우 표준연료인 n-헵탄에 착화 후 약 50초 경과시점에 반자 모형 실험체 내의 온도가 최고온도(807.5℃)에 도달했다. 고무발포 보온재는 고무발포 보온재의 경우 표준연료인 n-헵탄에 착화 후 약 60초 경과시점에 최고온도(723.3℃)에 달했다.

또 반자 실험체 내부에 설치된 폴리에틸렌발포 보온재는 모두 연소 확대가 되어 전소한 반면, 고무발포 보온재는 표면만 소훼되고 형태는 그대로 잔류했다.

한편, 폴리에틸렌발포 보온재의 경우 표준연료인 n-헵탄에 착화 후 약 40초 경과시점에 반자 모형 실험체 외부로 출화가 이루어진 반면 고무발포 보온재의 경우 반자 모형 실험체 외부로의 출화는 관찰되지 않았다.

이창우 교수팀은 이번 실험결과를 두고 “폴리에틸렌발포 보온재가 고무발포 보온재에 비해 실험체 내부의 최고온도가 높으며 최고온도에 도달하는 시간도 짧게 나타나 위험성이 높다”고 평가했다.

소방배관 보온재는 다양하지 못한 제품군으로 소방청이 내놓은 화재안전기준 해설서에 수평연소성시험과 산소지수성 시험 등 한가지 시험방법만 통과해도 사용할 수 있도록 해놓은 규정을 준용해왔으나 이번 실험으로 안그래도 현장에서 퇴출 위기에 몰린 발포 폴리에틸렌 소재의 보온재의 화재취약성이 드러난 만큼 규제가 이루어질지 향후 제도개선에 귀추가 주목되고 있다.

김태윤 기자

저작권자 © 소방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ƿ���̶� ?

������ƿ�� ������ �������������� �������� ���� ���� �� ����ȿ���� �����մϴ�.
���� ���Ÿ�԰� �̱�Ÿ���� �־� ��� ������ ������絵 �����ϰ� �ո������� ª�� �ð��� �ð��� �� ������ ���ļ��� ����Ͽ� �� �ѹ��� �ð����� ������ ����� �� �־� �ð��� ������ų �� �ִ� �ֻ��� ������ �������Դϴ�.

������ ���·� ���������, ���� �������� ������μ� ���� 120�ɺ��� ���� -80�ɱ��� �ſ� �������� �µ�����, ��ȭ���� ����� �����մϴ�.

����, ���̿��� ������ �޴����� ���� ������ �ν��� ����� ���� �Ƚ��ϰ� �ð��Ͻ� �� �ֽ��ϴ�.

가교발포 폴리에틸렌 보온통

  • 유진론 보온통

    유진론 보온통은 뛰어난 보온·보냉 성능의 KS제품으로 건축 단열재 및 결로 방지재로써 그효과가 우수합니다.

  • 특징

    유진론 보온통은 고온의 스팀라인을 제외한 모든 배관보온에 사용 할 수 있으며, 시공이 간편하며 마무리 작업이 깨끗합니다.

  • 용도

    • 급수 급탕용 배관 보온재
    • 중앙난방용 배관 보온재
    • 매립용 배관 보온재
    • 소방 배관 보온재
    • 공조기 배관 보온재
    • 기타

발포폴리에틸렌보온재 - balpopollietillenboonjae

종류 및 기호

가로로 스크롤 할 수 있습니다.

종류기호최고사용온도°C용도보기
1종 P1 70 급배수관의 결로방지, 동결방지
2종 P2 120 급배수관의 결로방지, 동결방지, 급탕관, 공조 냉매 배관의 보관, 결로방지

특성

가로로 스크롤 할 수 있습니다.

종류열전도율
(평균온도 23± 2℃)
W/mㆍK
인장강도
N/㎠
흡수량
g/100㎠
두께 수축률
%
참고
투습계수(두께 25mm당)
ng/㎡ㆍsㆍPa
1종 0.043 이하 14.7 이상 0.01 이하 (70± 5℃) 7 이하 10 이하
2종 0.043 이하 24.5 이상 0.01 이하 (120± 5℃) 7 이하 10 이하

보온통의 치수 및 규격

가로로 스크롤 할 수 있습니다.

통의 호칭 방법통의
안지름
통안지름의
허용차
두께두께의
허용차
길이길이의
허용차
강관염화
비닐관
동관
AB
- - - 6.35 7 +3
0
5
7.5
10
15
20
두께5,
7.5인경우
+1.5
-1.0

두께10,
15인경우
+2.0
-1.5

두께20
이상인경우
+3.0
-2.0

2000 +50
0
- - - 9.52 10
- - - 12.70 13
- - - 15.88 16 5
7.5
10
15
20
25
30
40
50
10 12 - 18
- - - 19.05 20
15 ½ 16 22.22 22 +4
0
- - 20 25.40 26
20 ¾ - 28.58 28
- - 25 31.75 32
25 1 - 34.92 35
- - 30 38.10 38
32 - 41.28 43 +5
0
40 40 - 49
- - - 53.98 54
50 2 50 - 61
- - - 66.68 67 10
15
20
25
30
40
50
65 65 - 77
- - - 79.38 80
80 3 75 - 90
90 - - 102
- - - 104.78 105 +6
0
100 4 100 - 115
125 5 125 - 140
150 6 150 - 16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