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WS 부가세 환급 - AWS bugase hwangeub

2020년 12월 1일, 대한민국 AWS 계정의 서비스 공급자가 Amazon Web Services, Inc. (AWS Inc.)에서AWS 클라우드 서비스 공급자인 Amazon Web Services Korea LLC (AWS Korea LLC)로 변경될 예정입니다. 2020년 12월 1일 이후, AWS Korea는 대한민국 계정의 모든 클라우드 서비스에 대하여 세금계산서 또는 신용카드 매출전표를 발행합니다.

다만, AWS 마켓플레이스를 통한 구매건 및 AMCS LLC의 텔레커뮤니케이션 서비스의 경우 AWS Inc.에서 계속 인보이스를 발행하며, 한국에서 사업자로 등록이 되어 있는 고객의 경우, 세금 설정(Tax settings) 페이지 에서 사업자등록번호를 입력하셔야 부가가치세가 청구되지 않습니다. 고유번호를 입력하신 면세 사업자의 경우는 한국 부가가치세에 대하여 계속하여 대리납부 하시면 됩니다.

AWS 교육 및 Professional 서비스에는 변동이 없으며, AWS Korea LLC에서 계속해서 서비스를 제공하고 세금계산서를 발행합니다.

AWS 한국계정을 가지고 있는 고객

귀하가 한국계정을 가지고 계신 경우, AWS Management Console의 결제 방법(Payment Method) 페이지를 방문하여 청구지 주소(Billing address)를 확인하거나 업데이트합니다. 또한 AWS Management Console의 내 계정(My Account) 페이지 를 방문하여 연락처 주소(Contact address)를 확인하거나 업데이트합니다.

귀하가 B2B고객인 경우, AWS Management Console의 세금 설정(Tax settings) 페이지 에 방문하여 다음을 변경하시기 바랍니다.

- 사업자 등록증이 있는 경우 사업자 등록증 최신 사본을 업로드합니다. 업종, 업태 및 대표자 이름을 입력합니다. (사업자 등록증 상 정보와 일치해야 합니다.)

- 사업자 등록번호를 입력하시고 사업자 등록증 상의 정보와 일치하는지 확인합니다.

- 세금계산서를 받을 이메일 주소를 추가합니다. 세금계산서를 여러 수신자에게 보내려면 Distribution email list에 수신자 이메일을 추가하는 것이 좋습니다.

추가정보는 여기를 클릭하세요.

AWS에서는 어떤 기준으로 계정의 국가를 판단하나요?

AWS는 귀하의 사업자 등록번호, 청구지 주소 및 연락처 주소를 기반으로 각 개별 계정의 국가를 판단합니다.

Internet Explorer에 대한 AWS 지원이 07/31/2022에 종료됩니다. 지원되는 브라우저는 Chrome, Firefox, Edge 및 Safari입니다. 자세히 알아보기 »

최종 업데이트 날짜: 2022년 3월 11일

AWS 청구서의 VAT(부가가치세)를 납부하려고 하는데, VAT 인보이스가 필요합니다. 어떻게 받을 수 있나요?

해결 방법

AWS Organizations를 사용하지 않는 계정의 경우 다음 조건을 모두 충족하면 VAT 인보이스를 다운로드할 수 있습니다.

  • VAT를 지불하고 있습니다.
  • ViewBilling 권한이 있는 AWS Identity and Access Management(IAM) 사용자 또는 AWS 계정 루트 사용자로 로그인합니다.
    참고: ViewBilling 권한이 있지만 VAT 인보이스에 액세스할 수 없는 경우 루트 사용자 또는 계정 관리자에게 문의하여 인보이스를 검색해 달라고 요청하세요.

AWS Organizations를 사용하는 계정의 경우 VAT를 지불하고 있으며 다음 조건 중 하나에 해당되면 VAT 인보이스를 다운로드할 수 있습니다.

  • 조직의 관리 계정으로 로그인합니다. 관리 계정은 조직의 모든 멤버 계정에 대한 VAT 인보이스를 보고 다운로드할 수 있습니다. 조직의 각 계정은 2018년 7월 1일 이전에 생성된 세금 인보이스에 대해 AWS, Inc. VAT 인보이스를 다운로드할 수 있습니다.
    참고: 연결된 계정의 루트 사용자로 로그인한 경우에만 AWS Marketplace 인보이스에 액세스할 수 있습니다.
  • 해당 멤버 계정에 로그인했으며, 멤버 계정은 특정 TRN(사업자 등록 번호)이 지정된 조직의 유일한 계정입니다.

계정에 통합 인보이스 발행이 있거나 사업자 등록 번호를 공유하는 경우 관리 계정에 문의하세요.

계정에 세금이 부과되었는지 확인하려면 다음을 수행합니다.

  1. Billing and Cost Management 콘솔을 엽니다.
  2. 탐색 창에서 청구서(Bills)를 선택하십시오.
    세부 정보(Details) 섹션에서 서로 다른 서비스의 요금을 확인할 수 있습니다.
  3. 세금(Taxes)을 확장하여 계정에 부과된 세금을 확인합니다.

VAT 인보이스와 같은 세금 계산서에 액세스하려면 다음을 수행합니다.

  1. 날짜 메뉴에서 VAT 인보이스를 받을 월을 선택합니다.
    참고: VAT 인보이스는 청구서가 완성된 후에만 사용할 수 있습니다.
  2. 세금 계산서(Tax Invoices) 드롭다운 목록을 확장합니다.

세금 계산서를 찾거나 볼 수 없는 경우 관리 계정에 문의하세요.

    계정이 AWS 유럽(Amazon Web Services EMEA SARL)인 경우 VAT 인보이스와 같은 세금 계산서에 액세스하려면 다음을 수행합니다.

    1. 날짜 메뉴에서 VAT 인보이스를 받을 월을 선택합니다.
      참고: VAT 인보이스는 청구서가 완성된 후에만 사용할 수 있습니다.
    2. Amazon Web Services EMEA SARL - 서비스 요금(Amazon Web Services EMEA SARL - Service Charges) 드롭다운 목록을 확장합니다.
      참고: 2021년 1월 이전의 세금 계산서는 세금 계산서(Tax Invoices) 드롭다운 목록에서 다운로드할 수 있습니다. 자세한 내용은 AWS 유럽 FAQ를 참조하세요.


    이 문서가 도움이 되었나요?


    결제 또는 기술 지원이 필요하세요?

    Internet Explorer에 대한 AWS 지원이 07/31/2022에 종료됩니다. 지원되는 브라우저는 Chrome, Firefox, Edge 및 Safari입니다. 자세히 알아보기 »

    앞으로 해외 클라우드 서비스에도 부가가치세(이하 부가세, VAT)가 부과될 예정이다. 이에 따라 해외 클라우드 서비스의 가격이 인상될지 관심이 쏠린다.

    AWS 부가세 환급 - AWS bugase hwangeub
    기획재정부는 30일 세제발전심의위원회를 열고 ‘2018년 세법개정안’을 발표했다. 이번 개정안이 IT산업적 측면에서 가장 눈길을 끄는 부분은, 국외사업자의 부가세 과세대상인 ‘전자적 용역 범위’에 클라우드 컴퓨팅이 추가됐다는 점이다.

    전자적 용역은 지난 2015년 7월 처음 도입된 개념으로, 해외 업체가 오픈마켓을 통하거나 해외에서 직접 국내 소비자들에게 IT서비스를 제공할 때에도 부가세를 받을 수 있도록 한 제도다.

    인터넷의 발달로 해외사업자가 해외에서 직접 국내 소비자들에게 제공할 수 있는 상품이나 서비스가 늘어나면서 부가세를 받을 길이 요원했었다. 소비가 있는 곳에는 부가세가 있기 마련인데, 해외 사업자들이 국내 국세청에 소득을 신고할리 만무했다.

    이 때문에 역차별 이슈가 등장했다. 국내업체는 부가세를 내고 해외업체는 부가세를 내지 않고 서비스를 펼치면, 가격경쟁력에서 국내 업체가 손해를 볼 수밖에 없었다.

    이 때문에 정부는 2015년 전자적 용역이라는 개념을 처음 도입하면서 해외 사업자에게 부가세를 받기 시작했다. 예를 들어 해외의 모바일 게임업체가 구글 플레이에 올린 모바일 게임에 국내 소비자가 이용료를 지불했다면, 이전에는 해외 게임업체도 구글도 우리 정부에 부가세를 내지 않았지만 전자적 용역 개념이 등장한 이후 정부는 구글 측으로부터 부가세를 받게 됐다.

    하지만 전자적 용역이라는 정의에 구멍이 있었다. 기존의 전자적 용역의 정의는 “게임·음성·동영상 파일, 전자 문서, 소프트웨어와 같은 저작물 등”이었다. 클라우드 컴퓨팅 서비스는 빠져나갈 수 있었다. 이 때문에 기재부는 전자적 용역의 정의에 클라우드 컴퓨팅을 별도로 추가하기로 했다.

    이로 인해 내년부터는 아마존웹서비스(AWS)와 같은 해외 클라우드 서비스 이용자도 부가세를 내게 된다. 지금까지는 해외 클라우드 이용자는 부가세를 내지 않고, 국내 클라우드 이용자는 부가세를 내야 했다. 이로 인해 국내 클라우드 사업자의 가격경쟁력이 떨어졌다. 역차별이라는 하소연이 나왔던 이유다.

    AWS 부가세 환급 - AWS bugase hwangeub
    이에 따라 내년 하반기부터 AWS 등 해외 클라우드 서비스의 가격이 어떻게 변동될지 궁금해진다. 해외 클라우드 서비스 업체들이 부가세를 납부하기 위해서는 소비자로부터 부가세를 받아야할 것이다. 이경우 사실상 서비스 가격인상으로 이해될 수밖에 없다.

    물론 클라우드 서비스 업체가 고객의 이용료를 인상하지 않고 자체적으로 부가세를 부담할 수도 있지만, 이는 이윤 10%가 곧바로 줄어드는 것을 의미하기 때문에 이를 선택할 가능성은 높지 않아 보인다.

    구글의 경우 전자적 용역 개념이 등장한 이후 플레이 스토어에서 결제가 일어날 때 별도로 부가세 10%를 받는다.

    글. 바이라인네트워크
    <심재석 기자>


    [온라인 세미나] 인공지능 운영의 혁신과 가성비 극대화를 위한 MLOps, SoyNature!

    AI를 사내업무에 도입하고자 하는 기업, 다양한 비즈니스 도메인의 문제를 AI로 풀고자 하는 AI서비스 기업들이 손쉽게 자신들의 서비스를 실행환경에 배포하고 모니터링하면서 운영할 수 있는 새로운 방법을, 심플하지만 강력한 실행 중심의 MLOPs 솔루션인 SoyNature를 통해 제시하고자 합니다.
    일시 : 2022년 11월 17일 (목) 14:00 ~ 16:30
    장소 : 온라인
    문의 :
    자세히 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