4000번대 예상 가격 - 4000beondae yesang gagyeog

그래픽카드 4000번대 소식이 좋네요

L9 인생을사고파

IP

레이어 닫기

IP

1.xxx.127.34

메모최대열글자입니다

2022.08.05. 23:03:02

조회 수2843공감 수19댓글 수23

관심글 설정 더보기

공유하기

레이어 닫기

지금 보는 페이지가 마음에 든다면
공유하기를 통해 지인에게 소개해 주세요.

  • 카카오톡
  • 라인
  • 페이스북
  • 트위터
  • 카카오스토리
  • 밴드
  • 이메일

https://dpg.danawa.com/bbs/view?boardSeq=11&listSeq=5114533 복사

로그인 유저에게는 공유 활동에 따라
다나와 포인트가 지급됩니다.

자세히 >

URL이 복사되었습니다.
원하는 곳에 붙여넣기(Ctrl+V)하세요.

레이어 닫기

프린트 글씨 크게글씨 작게

성능이 2배차이 난다는데 이정도 차이는 전력을 얼마를 먹더라도 사고 싶네요

그래픽카드는 잘되가는데 왜 cpu들은 그모양일까요

공감/비공감

공감19 비공감

공감/비공감안내도움말 보기

레이어 닫기

유용하고 재미있는 정보인가요?

공감이 된다면 공감 버튼을, 그렇지 않다면 비공감 버튼을 눌러 주세요!
공감이나 비공감을 선택 하는 경우 다나와 포인트를 적립해 드립니다. ※ 공감 버튼의 총 선택 횟수는 전체 공개입니다. 비공감 버튼의 선택 여부는 선택한 본인만 알 수 있습니다.

포인트 제도 안내

태그등록된 태그가 없습니다.

신고

2021년 4월 12일: GTC 2021에 발표된 새로운 공식 로드맵에서 2022년에 'Ampere Next', 2024년에 'Ampere Next Next'로 표기. (NVIDIA 공식)

  • 2021년 7월 24일: Lovelace 기반 지포스 40 시리즈가 TSMC 5 nm로 생산될 것. (@greymon55 트윗, @kopite7kimi 트윗)

  • 2021년 7월 25일: AD102는 향상된 GDDR6X 메모리와 함께 384비트 메모리 인터페이스를 계속 탑재할 예정. (@greymon55 트윗1, 트윗2)

  • 2021년 7월 29일: AD102 최고 솔루션의 전력 소비가 400W로는 부족할 것. (@kopite7kimi 트윗)

  • 2021년 9월 19일: AD102는 +122% 더 많은 컴퓨팅 성능을 가질 것. (@greymon55 트윗)

  • 2021년 10월 10일: PCI Express 5.0은 600 W의 전력 소비를 위한 새로운 고전력 보조 전원 단자를 제공. (igor's LAB)

  • 2022년 3월 1일: NVIDIA 문서에서 Hopper, Ada(Lovelace) 및 Blackwell 아키텍처의 GPU 10개로 추정되는 소스 코드가 유출됨. (VIDEOCARDZ 보도1, 보도2)

  • 2022년 3월 7일: Ada Lovelace용 모바일 솔루션이 2023년에 시작될 예정. (@greymon55 트윗1, 트윗2)

  • 2022년 3월 23일: ATX 3.0 표준은 단일 "12VHPWR" 전원 커넥터를 통해 최대 600와트의 전력을 소비하는 그래픽 카드를 지원할 것. (VIDEOCARDZ 인텔 공식)

  • 2022년 4월 8일: AD102의 테이프 아웃에 대한 힌트 (@kopite7kimi 트윗1, 트윗2, 트윗3)

  • 2022년 4월 24일: Ada Lovelace는 PCI Express 4.0일 것, 그 대신 제조는 Hopper와 마찬가지로 TSMC의 '4N'에 포함될 것. (@kopite7kimi 트윗1, 트윗2, @mooreslawisdead 트윗)

  • 2022년 6월 12일: 기존 지포스 30 시리즈의 재고로 인해 지포스 40 시리즈의 투입 일정이 약간 연기될 것. (@greymon55 트윗1, 트윗2)

  • 2022년 7월 10일: 지포스 40 시리즈의 디바이스 ID가 공개됨. (VIDEOCARDZ 보도)

  • 2022년 7월 26일: 지포스 30 super 시리즈 및 40 시리즈의 넘버링이 EEC 상표에 등록됨. (@harukaze5719(= 포시포시) 트윗, EEC 상표 등록)

  • 2022년 8월 25일: 2022년 9월에 개최될 GTC에서 차세대에 대한 정보가 언급됨. (The Motley Fool - NVIDIA 2023년 2분기 실적 통화 기록)

  • 2022년 9월 14일: 차세대 지포스로 암시되는 티저가 공개됨. (@NVIDIAGeForce 트윗)

  • 3.2. 정식 발표 이후, 출시 이전의 반응[편집]

    • RTX 4090 [ 펼치기 · 접기 ]지포스 40 시리즈의 끝판왕답게 깡성능으로도, DLSS 연산 성능으로도 3090 Ti 대비 1.5배 이상 더 빠른 성능을 자랑하지만, TDP는 RTX 3090 Ti와 동일한 450W, 최대소비전력은 660W에 달해 안정적으로 작동하려면 1000W 이상의 파워가 권장되며, 가격은 $1,599로 출고가가 $1,999였던 앞 세대 3090 Ti에 비해 저렴하게 출시되었다. 한화로는 263만원부터 시작.

      4000번대 예상 가격 - 4000beondae yesang gagyeog

      지포스 RTX 4090의 DLSS OFF와 ON의 프레임 레이트 비교


      4000번대 예상 가격 - 4000beondae yesang gagyeog

      지포스 RTX 3090, 3080, 2080 Ti와의 프레임 레이트 비교


      게다가 성능 공개 발표 당시 제시한 자료에서도 논란이 일고 있는데, 일단 발표 당시 제시한 사이버펑크 2077 벤치마크 영상에서 RT override라는 아직 드라이버 업데이트로 배포안된 신규 RT 최상위 옵션을 적용한 상태에서 DLSS Off, RT On 이라고 표기된 4090으로 추정되는 그래픽 카드의 프레임은 고작 23프레임에 불과한데, 오른쪽에 DLSS 3.0 RTX ON 이라고 표기된 카드의 프레임은 107프레임으로 무려 4배 이상의 차이가 났다. 비록 DLSS를 껐다곤 하나 겨우 한단계 상위 RT옵션으로 위 그래프에서 확인할 수 있는 3090 깡프레임 수준으로 프레임이 떨어지는 건 매우 주작이 의심스러운 결과이기 때문.
      왼쪽이 3090이라는 해석도 있으나 이 경우에도 결과로 나타난 숫자가 잘 들어맞지 않는다. 왼쪽이 3090이라 치면, 3090의 DLSS on은 57프레임으로 오른쪽 4090 DLSS 3.0의 성능향상이 200% 정도로 엔비디아가 제시한 사펑 DLSS 성능 400% 향상과 들어맞지 않는 의아한 수치가 나오기 때문이다.

    • RTX 4080 16GB, 12GB [ 펼치기 · 접기 ]RTX 4080 16GB는 체급만 보면 쿠다 코어가 9728개로 쿠다 코어가 16384개인 RTX 4090 대비 6656개, 퍼센트로 따지면 40.625%로 3090 Ti와 3070 Ti의 쿠다 코어 개수 차이(4608개 / 42.857% 적음)와 유사한 수준으로 적다. 메모리 비트수 또한 256비트로 이전 세대의 RTX 3080 12GB 모델이 384비트이고 RTX 3060 Ti와 RTX 3070이 256비트인 것을 고려하면 비트 수 또한 80 라인답지 못하게 낮음을 알 수 있다. 공식 발표 자료와 출시 직전 루머에서 드러난 성능은 3090 Ti보다 20~30% 정도 더 높은 성능이지만 출시 몇달전 루머와 비교할 때 기대 미만이라는 게 중론이다.[1] 가격 또한 매우 비싸 192만원부터로, 실질적으로는 200만원 이상 들여야 구할 수 있어보인다.
      RTX 4080 12GB는 16GB 제품과 같은 80 라인인 것이 믿기지가 않을 정도로 같은 제품군 내에서 한두 체급 정도의 격차가 벌어지고 있는데, 성능 면에서 RTX 3090 Ti와 거의 동급의 성능을 선보이고 있기 때문이다. 심지어 3090Ti 수준인 건 발표 당시 자료 기준이고 4090 출시 시점에서 공개된 벤치마크에서는 RTX 3080 대비 12% 더 높은 성능, 즉 RTX 3080 Ti와 거의 동급의 성능을 선보였다. 또한 메모리 비트수 또한 이전 60 이하 라인업에나 쓰인 192비트에 불과해 이게 진짜 80이 맞나 싶은 생각이 들 정도다. 쿠다 코어 개수 또한 7680개로, 4090 대비 8704개 / 53.125% 적다. 이는 3090 Ti와 3060 Ti의 쿠다 코어 개수 차이(5888개 / 54.762% 적음)와 유사한 수준. 가격 또한 140만원부터.

    • 총평 [ 펼치기 · 접기 ]

      4000번대 예상 가격 - 4000beondae yesang gagyeog

      F1 22의 프레임 레이트 비교


      4000번대 예상 가격 - 4000beondae yesang gagyeog

      플래그 테일: 레퀴엠의 프레임 레이트 비교


      4000번대 예상 가격 - 4000beondae yesang gagyeog

      마이크로소프트 플라이트 시뮬레이터(2020)의 프레임 레이트 비교


      위 자료에서 나타나듯 하이엔드급인 RTX 4080 라인업 제품의 성능이 4090과 대비하여 매우 낮기 때문에, 황 회장이 2000번대에서 그래왔듯 RTX 4080 Ti나 super같은 중간 라인이 무조건 출시될 것이라고 보고 있으며, 몇몇 유저들은 그 아래 라인업인 RTX 4070, RTX 4060의 성능도 RTX 4070은 RTX 3080과 RTX 3070 Ti 사이급 성능, RTX 4060은 RTX 3060 Ti와 등급성능으로 예상하고 있다. 여기에 AD104 컷칩의 비트 수가 160비트 이하라는 유출 루머까지 돌고 있어 이 가설에 힘이 실리고 있다.
      또한, "원래 각각 80, 70, 60으로 내려던 걸 3000번대 재고 처리한답시고 90, 80 네이밍 붙여서 나온거 아니냐.", "70으로 나와야 할 게 80 16GB 이름 붙여서 나오고 60 Ti나 60으로 나와야 할 게 80 12GB 이름 붙여서 나온거다.", "이제부터 아반떼를 쏘나타라고 부르고, 그랜져 값을 받겠습니다. 이거 아니냐."라는 반응을 보이고 있다. 전세계 해외권 커뮤니티 사이트들의 반응도 마찬가지로 싸늘하다. 현재 해외에서는 최상위 급의 체급[2]과 가격이 또다시 올랐다는 점, 하위 라인업은 아예 공개도 하지 않고 전세대와 같이 간다는 점과 채굴붐이 끝나고 악성재고 털이가 이슈로 작용하는 점 등을 종합적으로 보아 튜링세대의 재림이라고 평하고 있다. 주요 PC 조립 커뮤니티 중 하나인 레딧 /r/BuildaPC에서 공식 발표 스레드와 함께 4080 추첨 행사가 열렸는데, 공짜로 최신 그래픽 카드를 주는 행사에서도 불구하고 반응이 대체로 싸늘했다. "가격이 말도 안 된다", "가격을 보니 엔비디아는 아직도 채굴붐 시대에 사나 보다", "누가 엔비디아한테 이더리움 채굴은 죽었다고 말 안 해줬냐"라는 댓글들이 상위권을 차지했다.
      일각에서는 재고가 쌓여 출고가보다 값이 떨어진 30 세대의 그래픽 카드를 팔기 위해 일부러 비싼 출고가를 책정한 거냐는 말도 돌 정도로 여론은 좋지 않다. 다만, 가격이 인상된 데에 사정이 있었음을 감안해 주어야 한다고 주장한다. 엔비디아의 원래 마진률이 높은 것은 엄연한 사실이기는 하나 이번 마이크로아키텍처는 웨이퍼당 생산단가가 전 세대인 암페어에 비해 최소 30% 이상 올랐다고 전해지고 있다. 일단 칩 공급사인 TSMC가 신공정의 웨이퍼당 단가를 기존에서 20%를 인상했으며, 튜링 세대까지 엔비디아가 누리던 “장기고객 우대 납품단가”[3]를 암페어 세대 때 주 공급처를 삼성으로 옮긴 것이 눈밖에 나서 적용받지 못하고 이번에는 정가로 공급받는다고 웹진들이 전하고 있다. 따라서 소비자가격이 올랐음에도 마진률은 전세대에 비해 상당히 줄어들었을 것이라는 견해가 정설로 굳어지고 있다. 다만 이번 세대 칩들의 경우는 다이 면적 자체는 앞 세대에 비해 꽤나 큰 폭으로 감소했기 때문에[4] 칩당 단가는 30%보다는 적게 증가했을 수 있지만, TDP 증가로 인한 쿨링 솔루션 비대화를 고려하면 최종 제품당 단가는 예측하여 비교하기 어렵다.[5]
      하지만, 이는 NVIDIA와 보드 파트너들의 문제이지, 소비자가 신경 써 줄 필요는 없다는 의견도 있다. TSMC와의 관계 악화는 삼성전자로 파운드리를 옮겼다가 다시 돌아오기로 NVIDIA가 직접 결정한 결과이므로, 자기가 초래한 가격 상승으로 인해 소매가가 증가하거나 기업들의 마진이 감소하는 것을 소비자가 감안해 줄 이유는 없다는 주장이다. 정확한 가격이 공개되지 않았지만 대다수의 소비자들은 엔비디아가 제시한 가격이 채굴 시장 이후로 급격히 상승한 엔비디아의 높은 마진율을 방어하기 위하는 가격책정으로 인식하고 있는 만큼 더더욱 이해해줄 리가 없다. 거기에 EVGA가 엔비디아와는 더이상 못해먹겠다며 이탈하면서 조명된 사실로 엔비디아의 파트너사들의 마진율은 눈에 띄게 줄어드는 반면에 엔비디아는 마진 상승율이 65%에 도달하는 모습을 보여주고 있다. 거기에 엔비디아가 사실 엄청난 양의 칩셋을 쌓아놓고 있었음이 밝혀지면서 가격인상을 주도한 원흉이었다는 사실도 밝혀진 이상 칩셋 가격의 생산단가가 올랐다고 가격을 올렸다는 소리는 소비자의 시점에서 곱게 볼 이유가 없는 것이다. 또한 소비자가 기업 쪽 사정을 이해해 줄 필요가 없는 다른 이유도 제기된다. 이전에 심한 인플레이션이 일어나는 등으로 인해 소비자들의 경제상황이 좋지 않았을 때, 또는 파운드리 등 외부요인의 호재가 있어서 제품을 보다 싸게 만들 수 있는 환경이 되었을 때 엔비디아가 가격을 착하게 내놓는다거나 하지도 않았다는 것. 그 전부터 엔비디아는 새로운 세대의 그래픽 카드를 출시했을 때마다 가격을 점진적으로 인상해 왔다. 예전에는 50만원 대에서도 충분히 하이엔드 그래픽 카드를 살 수 있었지만, 최근 예만 들어도 GeForce 10, 20, 30 세대가 출시될 때마다 가격을 올려서 이제는 컴퓨터 견적을 낼 때 그래픽 카드가 예산의 절반 이상을 차지하는 게 전혀 이상하지 않을 정도이다. 그만큼 그래픽 카드 가격은 다른 컴퓨터 부품보다도 훨씬 빠른 추세로 올랐다. 이러한 상황에서, 기업은 소비자를 이해해주지 않는데 소비자가 기업을 이해해 줄 이유는 없다는 주장.

    3.3. 정식 출시 후[편집]

    3.3.1. GeForce RTX 4090[편집]

    • 국내 리뷰

      • 쿨엔조이 NVIDIA 지포스 RTX 4090 24GB 벤치마크

      • Hardware Battle 뉴럴 리프! GeForce RTX 4090 Founders Edition

      • 퀘이사존 지포스 RTX 4090 벤치마크: 지포스 RTX 3090의 충격을 재연해낼 수 있을까?

    • 해외 리뷰

      • tom's HARDWARE Nvidia GeForce RTX 4090 Review: Queen of the Castle Ada Lovelace delivers the goods, at a steep price.

      • TECHSPOT Nvidia GeForce RTX 4090 Review Next-Gen GPU Monster

      • ComputerBase Nvidia GeForce RTX 4090 im Test: Brachial schnell, auch mit weniger TDP und ohne DLSS 3

      • guru3D GeForce RTX 4090 Founder edition review

      • TECHPOWERUP NVIDIA GeForce RTX 4090 Founders Edition Review - Impressive Performance

      • igor's LAB NVIDIA GeForce RTX 4090 Founders Edition 24GB im Test – Der kraftstrotzende Monolith, der abstinent aus der Kälte kam


    2022년 10월 12일에 출시된 최상위 라인 그래픽 카드로, 이전 세대와는 다르게 90 라인이 가장 먼저 투입되었다.

    체급은 3090 Ti 대비 약 52%, 3090 대비 약 56% 더 크고, 최소 보장 GPU 부스트 클럭 기준으로 최대 FP32 연산 성능은 3090 Ti 대비 약 2배, 3090 대비 약 2.3배 빠르며, 최대 폴리곤 성능, 래스터라이제이션 성능, 픽셀 필레이트는 3090 Ti 대비 약 2.1배, 3090 대비 약 2.3배 빠르다. GDDR6X SGRAM 대역폭은 3090 Ti 대비 약 0.9%, 3090 대비 약 8.7%로 큰 차이 없지만, GPU 내부 L2 공유 캐시 메모리의 용량이 3090 Ti, 3090보다 무려 12배나 증설된 덕에 유효 메모리 대역폭이 크게 향상되었을 것으로 보인다.

    실제 게이밍 성능은 라이젠 7000 시리즈 혹은 12900k같은 당대 최상위 성능의 CPU 기준으로 FHD 환경에서 3090 Ti 대비 20%대 초반, 3090 대비 20%대 후반, QHD 환경에서 3090 Ti 대비 30~40%, 3090 대비 40~60%, 4K UHD 환경에서 3090 Ti 대비 50~60%, 3090 대비 70~80% 범위의 성능 격차로 밝혀졌다. 4K 실성능 향상률이 이론적인 처리 속도 향상률의 약 80% 효율을 보여준 셈이며 경쟁사의 라데온 RX 6900 XT가 5700 XT와 비교해서 4K 실성능 향상률이 이론적인 처리 속도 향상률의 약 85% 효율이었던 것보다는 약간 떨어지지만, 자사의 RTX 3090이 2080 Ti와 비교해서 4K 실성능 향상률이(약 47.7%) 이론적인 처리 속도 향상률의 약 77% 평균 효율(FP32 연산: 약 55.8%, 나머지: 약 105.8%)이었던 것보다는 좀 더 나은 효율이라고 볼 수 있다.
    특히, 4K 해상도에도 전체 평균 100FPS대로 진입한 고사양 게임들이 많아지면서 고프레임의 4K 게이밍을 갈망한 유저들에게 큰 주목을 받았다. 반면, FHD 해상도에는 이전 세대와 마찬가지로 성능 효율이 낮은 편이다.

    8K 환경에서의 게이밍 성능도 3090 Ti 대비 평균 약 56% 향상되었는데, 사이버펑크 2077같은 일부 게임들을 제외하면 전체 평균 프레임 레이트 60FPS 내외, 하위 1% 평균 프레임 레이트 30FPS 내외로 진입하여, 이전 세대에 비하면 어느 정도 할만한 수준이 되었다. 물론 60FPS가 게임 플레이에 있어서 사실상 최소 사양 취급 받을 정도로 144 Hz 모니터가 대중화된 기준으로는, 여전히 맛보기 단계로 느껴질 수도 있다.

    렌더링 전문 작업 성능도 Blender 3.3.0의 Droid Chase 기준 3090 Ti 대비 약 65%, 3090 대비 약 62% 빠른 성능, OctaneBench 2020.1.5 기준 3090 Ti 대비 약 80%, 3090 대비 약 89% 빠른 성능을 보여주었다.

    가격은 파운더스 에디션 기준 $1599로 3090의 $1499보다 100달러(약 6.7%) 비싸졌는데, 한국 정발 가격은 263만원[6]으로 미국 달러당 1400원이 돌파된 환율 때문인지 219만원이었던 3090보다 20%나 비싸져서 원성이 자자했지만, 막상 실성능이 공개된 뒤로는 순식간에 품절될 정도로 폭발적인 인기를 보여주었다. 비레퍼런스 기준 한국 정발 가격이 260만원대부터 형성되었는데, 200만원대부터였던 3090 초기보다 30% 넘게 인상되어 파운더스 에디션과 마찬가지로 거부감이 큰 반응을 보였지만, 대폭 향상된 4K 게이밍 성능을 생각하면 그 비싼 가격도 지불할 가치가 있다는 긍정적인 반응도 제법 많다.

    3.3.2. GeForce RTX 4080 16GB[편집]

    • 국내 리뷰

      • 쿨엔조이 NVIDIA GeForce RTX 4080 벤치마크

      • Hardware Battle NVIDIA GeForce RTX 4080 Founders Edition

      • 퀘이사존 지포스 RTX 4080 벤치마크 형 만한 아우가 없다지만, 지포스 RTX 4080은 아우일까요 손자일까요?

    • 해외 리뷰

      • tom's HARDWARE Nvidia GeForce RTX 4080 Review: More Efficient, Still Expensive

      • TECHSPOT Nvidia GeForce RTX 4080 Review Fast, Expensive & 4K Gaming Capable All the Way

      • ComputerBase Nvidia GeForce RTX 4080 im Test: FE und Custom-Designs von Asus, MSI & Zotac im Vergleich

      • guru3D GeForce RTX 4080 Founder edition review

      • TECHPOWERUP NVIDIA GeForce RTX 4080 Founders Edition Review - Energy-Efficient Beast

      • igor's LAB NVIDIA GeForce RTX 4080 Founders Edition 16GB im Test - Schneller als gedacht und viel sparsamer als befürchtet


    2022년 11월 16일에 출시된 차상위 라인 그래픽 카드.

    성능 자체는 많이 향상되었지만(1.5배) 가격 상승이 그보다 훨씬 높다는 것(1.7배)이 대체적인 여론이다.

    대체적으로 비 레퍼런스카드들은 200만원 이상의 가격에 물량이 천천히 풀리고 있다.

    3.3.3. GeForce RTX 4080 12GB (출시 취소)[편집]

    2022년 11월 중으로 출시될 예정이었던 상위 퍼포먼스 라인 그래픽 카드였으나, 단순 램 용량 차이가 아니라 80급에 맞지 않는 성능으로 논란이 일어 출시가 취소되었다. 이후 설명에 따르면 보통 동일 모델명에 메모리 용량이 다른 제품은 동급 성능을 합리적 가격에 제공하기 위함이지만, RTX 4080 16GB와 12GB는 도저히 동급이라고 부를 수 없을 만큼 성능 차이가 심하고, 모델명은 소비자들이 어느 정도 성능을 예측할 수 있도록 정해지는데 RTX 4080 16GB와 12GB는 그 차이가 커서 고객들에게 혼동을 유발할 수 있어 출시를 취소하게 되었다고 한다.# 엔비디아의 설명에 의하면 생산 문제나 결함 때문이 아닌 네이밍의 문제 때문에 취소한 것이므로 4070과 같은 다른 이름으로 변경 후 출시될 가능성이 있었고, 11월 8일 현재 RTX 4070 Ti 네이밍으로 2023년 1월에 출시될 것이란 루머가 돌고 있다. 4070 노멀은 칩셋 스펙을 더 깎는다고 한다.

    유출된 벤치마크에 따르면 3080Ti~3090Ti 급의 성능 이라고 한다.

    3.4. 평가[편집]

    3.4.1. 긍정적 평가[편집]

    • 높은 성능 향상

      RTX 4090은 풀칩이 아닌 컷 다운 칩임에도 불구하고, 4K 기준으로 RTX 3090 Ti와 비교하더라도 약 50~60%, RTX 3090와 비교하면 약 70~80% 높은 성능을 보여준다. DLSS를 비활성화한 상태에서도 대부분의 AAA 게임에서 4K 60프레임을 넘는 성능을 보여주어 이제 4K 게이밍은 더 이상 불가능의 영역이 아니게 되었다. 이제 4K를 넘어 8K 게이밍을 넘보는 수준이 되었는데, DLSS 3와 함께 사용한다면 웬만한 게임은 8K로 플레이하는 데에도 무리 없는 수준이 되었다. 이 정도의 성능 향상은 파스칼 아키텍처 다음이다.

    • DLSS 3 도입

      단순 업스케일링을 넘어 프레임 보간기능을 추가해 더 낮은 해상도와 프레임의 고사양 3D 렌더링도 깨끗하고 부드럽게 실시간으로 플레이 가능하다. 그러나 이는 아래 부정적인 평가에도 함께 들어가는 부분이다.

    3.4.2. 부정적 평가[편집]

    • 높은 가격 인상

      성능 향상폭 만큼 가격 또한 대폭 인상되었다. RTX 4090은 MSRP 기준으로 $100 인상되어 그리 큰 인상이 이루어지지 않았지만, 하이엔드에서도 상당한 물량이 나갈 RTX 4080은 메모리 버스폭도 줄이는 등 이전 80 라인업보다 원가절감까지 들어가있음에도 $699였던 RTX 3080에 비해 무려 $500나 인상된 $1199[7]로 책정되어 폭리에 가까운 가격 인상이 단행되었다. RTX 30 시리즈의 재고 물량을 털기 위한 가격 책정이라는 해석이 지배적이다.

    • 제조사별 그래픽카드 디자인적 문제

      방열판 두께가 커짐에 따라 디자인에서도 큰 영향을 받았다. 커뮤니티에서도 그래픽박스나 '벽돌'로 부를 정도로 호불호가 갈리고 있다.

    • 질낮은 급나누기

      컷칩 기준으로 기존의 80급 GPU를 90으로 70급 GPU를 80으로 60급 GPU를 4080 12GB로 출시하려다 엄청난 욕을 먹었다. 단순히 네이밍만 바꾼게 아니라 가격도 올려받았기 때문이다. 또한 DLSS 3 역시 40 시리즈만 가능하다고 했으나 RTX 20 시리즈에서 구동에 성공한 사례가 나오는등 40시리즈 판매를 위해 무리한 급나누기를 해 빈축을 샀다.

    4. 사건 사고[편집]

    4.1. GeForce RTX 4090 보조 전원 변환 커넥터 발화 사건[편집]

    GeForce RTX 4090의 12VHPWR 16핀 전원 케이블의 그래픽카드쪽 단자가 타버리는 사고가 국내외를 막론하고 자주 발생했다. 가장 확실한 발생 원인[8]이자 엔비디아 공식 입장[9]은 해당 케이블이 약간 빠진 경우에 발생하는 것으로 밝혀졌는데#, 이것이 특히 새 커넥터에서 빈번히 발생한 이유는 1) 케이블의 걸쇠가 기존 케이블[10]에 비해 빠지기 쉽다는 점# 2) 12VHPWR - 8×4 젠더의 부피가 커 케이스에 여유공간이 없어 꺾이기 쉽다는 점[11] 때문에 제대로 연결했더라도 모르는 사이 헐거워지기 쉽기 때문이다.

    사건 발생 초기에는 엔비디아에서 제작한 8핀×4 to 16핀 젠더 품질이 조악해 생기는 것이라는 분석이 있어#[12] 엔비디아의 케이블 원가절감을 비판하는 여론이 있었으나, 위에 서술한 바와 같이 그보다는 설계미스에 가깝다. 최대 600w라는 높은 전력을 사용하는 케이블임에도 다른 파워케이블보다 고정방식과 안정성이 빈약했던 것이 문제.[13] 다만 기존에 대응책으로 제시된, 파워에 직결하는 케이블[14]을 쓰는 것은 케이블이 덜 빠지는 것에는 완벽하진 않지만 어느 정도 도움이 될 수 있다.[15][16] 그러나 ATX 3.0을 지원하는 파워[17]와 NVIDIA가 직접 제작하는 파운더스 에디션에서마저 커넥터 발화 사례가 발견되었기 때문에 현재로써는 조립 시 케이블이 헐겁게 연결되었거나 추후 빠지는 일이 발생하지 않도록 유의하는 수 밖에 없다.

    5. 기타[편집]

    • 발표 초기 한국 홈페이지에서 원화로 권장 가격이 잠깐 표시되었다가 달러로 바뀌었으나, 현재 다시 원화로 표시되고 있다.

      • 4090: 2,630,000원, 4080 16GB: 1,920,000원, 4080 12GB: 1,400,000원

    • 발표된 내용은 루머로 돌던 유출소식과 상당 부분 일치했다. CUDA 코어 수와 메모리 용량, 80이 메모리 용량에 따라 두 가지 나온다는 것까지 모두 정확하게 예측된 것. 함께 유출된 소식 중에는 TDP 600~800W, GDDR6X 48GB의 4090 Ti의 존재도 있었는데, 어디까지 실제와 일치할지 지켜봐야 할 부분이다.

    • 30번대에도 RTX 3090, 3090 Ti에서만 사용할 수 있는 모습과 다르게 이번 40번대 가운데 RTX 4090에서도 NVLink를 사용할 수 없다. 그러나 기판엔 설계되어 있는 기묘한 모습을 보여준다. 해당 영상에선 엔비디아가 원래는 NVLink를 넣어두려고 했으나 막판에 뒤집어 넣지 않기로 결정했다는 추측을 했다.

    • DLSS 3를 사용하려면 하드웨어 가속 GPU 일정 예약 기능을 켜야한다. 시작 - 설정 - 시스템 - 디스플레이 - 그래픽 설정에서 켤 수 있다. 윈도우 11에서는 기본적으로 켜져 있으며, 윈도우 10과 같은 방법으로 설정할 수 있다.

    6. 관련 문서[편집]

    Ada Lovelace

    ◀ Ampere

    GeForce 40

    -

    • NVIDIA/GPU


    [1] 여기에 4080 16GB의 타스 점수 및 게임 벤치가 유출되었는데 3090Ti와 4K 해상도에서 고작 10프레임밖에 차이나지 않고 있어 실 성능에 의문이 제기되고 있다.[2] 전력소모량과 크기[3] 정확한 할인률은 알려지지 않았으나, 10~20% 사이일 것으로 추측되고 있다.[4] GA102 (3090 Ti, 3090, 3080 Ti, 3080 12GB, 3080 10GB) 다이 면적 628.4mm² vs AD102 (4090) 다이 면적 608.4mm² / GA104 (3070 Ti, 3070, 3060 Ti) 다이 면적 392.5mm² vs AD103 (4080 16GB) 다이 면적 378.6mm² vs AD104 (4080 12GB) 다이 면적 294.5mm². 표현을 바꿔 보자면, 4080 12GB(AD104 풀칩)는 자기보다 다이 면적이 33% 넓은 이전 세대 GPU(3070 Ti - GA104 풀칩)보다 200달러 / 33%가 비싼 것이다. 메모리가 빨라지고 용량이 커졌다고는 하나 그것만으로 이 가격 차이를 설명할 순 없을 것이다.[5] 실제로 20 시리즈부터 쿨링 솔루션의 제조 단가가 마진을 너무 갉아먹어서 AIB OC 기종들의 가파른 가격인상이 불가피하다는 목소리가 계속 있었고, 이에 학을 땐 EVGA는 그래픽 카드 AIB 사업에서 완전히 손을 떼게 됐다. 세대마다 기껏 열심히 R&D를 했는데 터무니없는 (엔비디아의 마진이 붙은) 선금식 칩 공급가와(카드를 팔고 리베이트를 받는 대신으로 엔비디아에 돈을 먼저 내고 칩을 수령해서 카드를 제조한다) 가격 천장 정책 (AIB카드의 유형별로 가격 상한선을 엔비디아가 강제한다) 때문에 못 해먹겠다고 선언한 것.[6] 구글 쇼핑에서 검색하면 500만원도 있다.[7] 3080 Ti와 같은 가격[8] Gamers Nexus 실험 결과. 기존에 알려졌던 품질이 떨어지는 케이블 등으로는 발화 현상이 확실히 재현되지 못했으나(12V 레인 중 2/3를 제거한 케이블로도 발화가 발생하지 않았다), 케이블이 덜 연결되었을 때에 확실히 재현되었다.[9] Gamers Nexus에서 분석 결과를 공개하고 얼마 뒤 따라서 발표했다.[10] PCIe 8핀 케이블[11] 논란이 된 이후 엔비디아는 접촉단지에서 3.5cm까지는 케이블이 직선을 유지해야 한다고 공지하고 있다. 문제는 거대해진 그래픽카드 사이즈 탓에 케이스 여유공간이 좁아 그게 어렵다는 것.[12] 안 그래도 최대 600W나 먹는데, 단자를 견고하지 못한 저렴한 구조로 만든 탓에 케이블이 좀 꺾이면 단자가 헐거워지고, 접촉면적이 좁아져서 전류와 열이 집중되어 발화하는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