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한 소고기 구우면 - sanghan sogogi guumyeon

소고기는 식자재로 정말 널리 다양하게 쓰이는 재료입니다. 구워서 먹기도 하고, 끓여서 육수를 만들거나 국거리를 만들어먹기도 하며 때로는 소갈비찜과 같이 찜을 해서 먹기도 합니다. 이처럼 다양한 용도로 사용되는 소고기를 냉장보관 해두었다가 조리해서 먹을 때 평소 먹던 소고기와는 다른 맛을 간혹 느껴볼때도 있는데요.

그럴때 우리는 소고기가 상하진 않았는지 의심부터 해봐야 식중독으로부터 우리 건강을 되찾을 수 있습니다. 이번 블로깅에서는 소고기가 상하면 어떻게 되는지 상세히 알아보고 더 나아가 싱싱한 소고기는 어떤 상태인지 알아볼 수 있는 내용을 정리해보도록 하겠습니다.

1. 냉장보관한 소고기 상태가 상했는지 안상했는지 알아보는 방법.

- 상한 소고기 냄새

일반적으로 대부분의 음식 식자재들은 신선도가 떨어지면 거북한 냄새가 나기 마련입니다. 이것은 소고기 역시도 마찬가지인데요, 싱싱한 소고기의 냄새는 냄새를 맡았을 때, 비릿한 향이 강하다던지 맡기 힘들 냄새가 나진 않습니다. 하지만 상한 소고기라면 다르겠죠.

부패하고 상한 소고기의 냄새는 매우 역한 냄새와 함께 딱 맡았을 때 도저히 코를 가져다대고 맡기 힘든 냄새가 납니다. 일명 역한 냄새가 난다고 표현 할 수도 있겠네요. 하지만 상한 소고기를 꼭 냄새를 맡으면서까지 알아봐야 할까요? 그렇지 않습니다.

- 상한 소고기의 색깔

보통 냄새를 맡기 전에 소고기를 먼저 눈으로 보게 될 것입니다. 이때 소고기의 색깔을 보게 될텐데요, 상한 소고기의 색깔은 선홍색이 아닌 빨간색을 띄는 것 같지만 푸르스름한 색상으로 변하기도 합니다. 이로써 소고기가 상했는지 안상했는지 판별 할 수 있는 방법이기도 합니다. 

그러한 이유로는 장시간 방치된 소고기가 점점 더 부패하게 되면서 박테리아가 생겨나 소고기에 내포되어 있던 지방들이 분해되어 색상이 변하기 때문입니다. 그래서 색상과 함께 맡기 힘든 역한 냄새가 나기도 하는 것이죠. 

간혹 소고기가 상했다고 착각 할만한 색상이 있는데 짙은 갈색의 색상을 띄게 될 경우 이것은 상한 상태의 색상이 아닙니다. 단지 육류가 산소와 차단되어 미오글로빈 성분이 갈색으로 변하는 현상이기 때문에 그렇게 착각하는 경우가 많죠. 하지만 냉장고의 경우 닫아두면 이 미오글로빈 성분이 산소와 만나기가 어려워 색상이 변하기도 하는 것이니 절대 상한 것이라고 착각하시면 안됩니다. (다시 밖에 꺼내어 두면 이 성분과 산소가 만나 소고기는 다시 빨간색으로 변하게 됩니다.)

- 소고기가 상하면 어떤 느낌일까?

앞선 소고기의 상한 구분법은 눈으로 보고 냄새를 맡는 것이었다고 한다면 이번에는 촉감으로 어떤 상태인지 구분하는 방법입니다. 상하지 않은 정상적인 신선한 소고기의 경우 탄력있고 싱싱한 느낌이라고 한다면, 반면에 상한 소고기의 느낌은 겉이 미끌거리고 끈적이는 느낌이 강하게 납니다. 이런 경우 상한 소고기라고 생각하시면 좋을 듯 합니다.

- 소고기가 오래되면 나타나는 증상

모든 육류들은 육즙을 머금고 있습니다. 여러분들이 생각하시는 기름기가 바로 그 육즙의 한종류인데요, 오래된 소고기는 자연스럽게 고기육즙이 흘러나오게 되어있습니다. 이렇게 되었을 경우, 기름기를 잃은 소고기는 고기가 갈라지는 모습을 하게 되는데요, 이런 경우 고기가 조금 오래지났구나 라고 생각하시면 됩니다.

이렇게 갈라진 소고기가 색상과 냄새도 이상하다면 이것은 분명 상한 것을 의심해볼 수 있을 것 같네요.

2. 소고기를 신선하게 보관하려면 어떻게 하는게 좋을까?

소고기를 신선하게 보관하기 위해선 어떻게 해야할까요? 아무래도 밖으로 꺼내어진 고기는 최대한 빨리 먹는게 가장 좋을 것 입니다. 하지만 고기가 남거나 후일에 고기를 사용해야할 경우 우선 보관만 해야할텐데요, 이런 경우 어떻게 보관하는 것이 가장 좋을지 알아보도록 합시다.

- 냉장실에서 보관할 때 : 소고기는 기본적으로 냉장실에 들어가게 되었을 경우 2~3일 정도가 가정 적정한 보관기일로 봐야합니다. 그 기간이 넘어가게 되면 조금씩 신선도는 떨어지게 되고 부패할 우려와 색상이 변할 우려가 있게 되는 것이죠.

- 냉동실에서 보관할 때 : 그리고 냉장실이 아닌 냉동실에 들어가게 되었을 경우에는 20도 이하의 온도에서 3~4개월 정도가 최적의 신선도를 유지하는 기간으로 보고 있습니다. 하지만 냉동실까지 들어가게 된 경우 잊어버릴 수도 있기 때문에 필요한 양만큼 구매해서 그때그때 소고기를 먹는게 가장 좋다고 볼 수 있을 것 같습니다.

얼마 전에는 학업으로 늘 바쁜 아이와 가족들의 건강을 보충하기 위해서 소고기를 사서 먹었답니다. 하지만 애매하게 남은 상태라서 다음 날에 먹기로 마음먹고 냉장고에 넣어 두었답니다.

그런데.... 바쁜 일정 등으로 냉장고에 들어 있던 고기를 깜빡 잊고 있다가 어느 날 발견하게 되었답니다.. 평소와 다른 냄새와 느낌 때문에 먹을 수도 없고 버릴 수도 없는 난감한 상황에 직면하게 되었답니다.

그래서 오늘은 소고기 상하면 냄새는 어떻게 되는지? 상한 쇠고기 구별법은 어떻게 되는지? 등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소고기 상하면 냄새는?!!

소고기 뿐만 아니라 육류나 생선들도 냉장고에 오래 보관하시면 절대로 안 된답니다. 냉장고라는 것이 상하는 것을 지연시키거나 연장시켜주는 것에 불과하기 때문입니다.

하지만 냉장고에 넣어둔 상태로 시간이 경과했다면 냄새나 색깔 등으로 구분하시면 된답니다. 일단 소고기가 상하면 새콤 시큼한 냄새가 난답니다.

그리고 비린내가 나기도 하고 신내와 역한 냄새가 나기도 한답니다. 세균으로 인한 박테리아가 번식하게 됨에 따라서 나는 냄새랍니다.  물론 주위에 있는 다른 육류나 생선 등의 냄새들이 배어서 그럴 수도 있답니다.

하지만 건강을 챙기기 위해서 드시는 음식이 오히려 건강을 망칠 수 있기 때문에 일단 이상한 냄새가 나서 찜찜하다면 보류하셔야 한답니다. 그리고 다음과 같은 추가적인 방법의 검증을 거쳐서 드시는 것이 좋답니다

상한 소고기 쇠고기 구별법?!!

시큼한 냄새외에도 외부적인 형태를 보고 구분하시는 방법도 있답니다. 상하게 되면 색깔이 갈색으로 변하게 된답니다. 그리고 끈적거림 현상도 심하기 때문에 육안으로도 쉽게 구분하실 수 있답니다.

물론 위와 같은 방법으로도 구분이 곤란한 경우에는 익혀서 확인하는 방법도 있답니다. 익힌 상태에서의 색깔을 보거나 냄새를 맡아 보셔도 된답니다. 그리고 가볍게 한 입 먹어 보시는 것도 상한 소고기를 구분하는 확실한 방법이기도 하답니다

비싼 소고기라서 아깝기는 하지만, 조금이라도 이상한 냄새나 외부적인 형태의 변화가 일어난다면 절대로 드시지 말아야 한답니다. 식중독을 포함한 각종 질병으로 고생하시는 수가 있기 때문입니다. 비싼 소고기를 잘못 보관하게 되면서 상하거나 버려야 하는 사태를 방지하기 위해서는 필요한 양만큼만 구입하시면 된답니다.

그렇지 않은 경우에는 구입하자마자 필요한 양만큼 진공포장으로 소분해서 냉동보관하셨다가 원할 때마다 꺼내서 드시는 것이 좋답니다. 진공포장은 공기를 차단하기 때문에 수분의 증발을 막아줄 뿐만 아니라 보관기관도 길어지기 때문에 좋답니다.

요즘에는 저렴한 비용으로 쉽게 편리하게 사용할 수 있는 진공포장기들도 있다고 하니까 인터넷 등의 정보를 참고하시면 된답니다.

▶소 생간 기생충 감염 되나요?!! 실명이나 사망 우려도 있다는데?!!!!

▶상한 우유 먹었을때 증상과 구별법 어떻게 되나요?!!!

소고기 실온 몇 시간?

6시간이 지나면 부패 초기 상태와 비슷한 양의 세균이 검출됐고요. 소시지 등 가공육도 8시간에서 12시간이 지나면서부터 부패가 시작됐다는데요. 고기를 상온에 두면 세균 증식이 빨라지기 때문에, 캠핑 장소까지 가는 데 걸리는 시간이 4시간 이상이라면 아이스박스를 반드시 챙겨야 합니다.

소고기 냉장보관 몇일?

소고기는 산화에 취약해 냉장보관기간은 2~3일 한계입니다. 다진 소고기는 공기와 접촉하는 면적이 넓어 더 빨리 산화될 수 있으므로 1~2일, 구이용은 2~3일 정도가 적당합니다. 이때 고기가 공기와 닿지 않도록 밀폐 포장해야 수분 증발을 막아 맛과 향을 유지할 수 있습니다.

돼지고기 며칠?

돼지고기 = 신선한 돼지고기는 핑크색을 띄며 단단하다. 냉장실에서 3일~5일 정도, 진공포장 할 경우 조금 더 길게 보관이 가능하다. 얼리면 6개월까지 두고 먹을 수 있다.

Toplist

최신 우편물

태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