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상혈당은 몇인가요? - jeongsanghyeoldang-eun myeoch-ingayo?

당뇨병이 없는 사람은 공복 혈당이 70~100 mg/dL, 식후 혈당이 140 mg/dL 이하 범위에서 혈당이 조절됩니다. 즉 당뇨병이 없는 사람은 혈당이 올라가면 췌장에서 인슐린이 분비되어 혈당을 낮추고 혈당이 내려가면 인슐린 분비가 억제되어 저혈당이 생기지 않습니다.

공복 혈당이 정상과 당뇨병의 중간인 100~125 mg/dL가 나오거나 경구당 부하검사 결과가 140~199 mg/dL가 나오는 경우가 있는데 이를 각각 ‘공복 혈당 장애’와 ‘내당능 장애’라고 부릅니다.

두 경우를 합쳐 ‘당뇨병 전 단계 또는 전 당뇨병’ 이라고 하는데, 이렇게 부르는 이유는 이러한 혈당을 보이는 경우에는 향후 당뇨병으로 진행될 가능성이 높기 때문입니다.

당화혈색소가 5.7~6.4%인 경우도 당뇨병 전 단계에 해당한다고 볼 수 있는데, 당화혈색소가 5.5~6%인 경우 향후 5년 이내에 당뇨병으로 진행할 확률은 9~25%이고, 당화혈색소가 6~6.5%인 경우 향후 5년 이내에 당뇨병으로 진행할 확률은 25~50%라고 합니다. 이는 당화혈색소 5%미만인 경우에 비해 20배나 높은 비율입니다.

당뇨병으로 진행될 가능성과 더불어 당뇨병 전 단계에 관심을 기울여야 하는 또 다른 이유는 이러한 당뇨병 전 단계에서 당뇨병의 미세혈관 합병증(당뇨병성 망막병증, 당뇨병성 신증 등)이나 심혈관 질환이 동반될 수 있기 때문입니다. 또한 당뇨병 전 단계는 비만(특히 내장비만)과 관련이 있고, 이상지질혈증, 고혈압과도 관련성이 높습니다.

정상수치를 알아보기 전에 정상인의 경우 식후 2시간동안 혈액 내 포도당의 변화는 어떠한지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먼저 음식물을 통해 포도당을 섭취했다면 당연히 혈액 내 혈당수치는 증가하게 됩니다. 혈액 내 포도당 수치가 증가했다면 우리 몸의 피드백 시스템이 작용하게 됩니다. 위에서 설명드린 것처럼 혈당이 올라가게 되면 우리 몸은 균형을 맞추기 위해 혈당을 낮추는 호르몬이 기능하게 됩니다. 바로 해당 호르몬이 '인슐린'이죠. 정상인의 경우 인슐린이 해당 시스템에 반응하여 체내 혈당을 낮추게 됩니다. 하지만 당뇨병 환자의 경우에는 해당 시스템에서 인슐린이 제 역할을 하지 못해 혈액 내 포도당 수치가 증가하게 됩니다.



정상인의 경우 식후 2시간 혈당 정상수치는 140mg/dL미만입니다. 140~199mg/dL는 내당능 장애로 분류하고 200mg/dL를 당뇨병으로 분류합니다. 8시간 금식 후 혈당을 측정했을 때 수치가 100~125mg/dL 사이라면 공복혈당장애로 분류합니다.


당뇨병의 원인



당뇨병의 원인은 매우 다양하고 복합적이라 어떠한 이유가 있다고 콕 찝어서 말하기 어렵습니다. 여러가지 요인이 함께 작용해서 일어나는 경우가 대부분입니다. 지금까지의 연구결과를 토대로 밝혀진 당뇨병의 대표적인 원인은 아래와 같습니다.



부모가 모두 당뇨병인 경우 자녀가 당뇨병이 생길 가능성은 30%정도입니다. 부모 중 한쪽만 당뇨병인 경우는 15%정도입니다. 하지만 유전적 요인을 가지고 있다고해서 모두 당뇨병으로 이어지는 것은 아니며, 부모 중 누구도 당뇨병 환자가 아니라고 하더라도 자녀는 다른 원인에 의해서 당뇨병이 발생할 수 있습니다. 그 외에도 비만, 노화, 식생활 습관, 운동 부족, 스트레스 등 다양한 요인들이 당뇨병의 직접적인 원인으로 지목되고 있습니다.


당뇨병 증상



당뇨병의 3대 증상은 다음, 다뇨, 다식입니다. 혈당이 높아지면 넘치는 포도당이 소변을 통해 빠져나가는데, 이때 포도당이 신장에서 다량의 물을 끌고 배출되기 때문에 소변을 많이 보게 됩니다. 따라서 체내 수분이 모자라 갈증이 심해져 물을 많이 마시게 됩니다. 또한 우리가 섭취한 음식물이 에너지로 이용되지 못하므로 공복감은 심해지고 자연스레 다식으로 이어지게 됩니다.


자주 묻는 질문들



1. 증상이 없는데도 당뇨병 치료를 해야하나?


지금 당장 당뇨병의 증상이 없더라도 합병증 발생을 예방하기 위해 철저한 혈당관리가 필요합니다. 위에서 말씀드린 것처럼 당뇨병은 어느정도 질환이 진행되지 않는 이상 증상을 느끼기 어려운 질병입니다. 하지만 증상이 없는 단계에서도 우리 몸이 만성적으로 고혈당에 노출되면 여러 장기의 기능이 떨어져 합병증이 발생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조기에 당뇨병 진단을 받은 경우 더욱 철저히 혈당을 관리해야 합니다.



2. 당뇨병 완치가 가능한가?


당뇨병 치료의 목표는 완치가 아니라 꾸준한 관리입니다. 생활습관을 바꾸고 체중조절 및 운동을 통해 약이나 인슐린을 중단하는 것은 가능합니다. 하지만 이렇게 약이나 인슐린을 중단했다고 해서 그것이 곧 당뇨병의 완치와 근본적인 치료를 의미하는 것은 아닙니다. 운동 및 식이요법을 지키지 못하는 경우 언제든지 다시 혈당이 높아질 수 있기 때문입니다. 뿐만 아니라 노화가 진행됨에 따라 지금까지 해왔던 운동 및 식이요법을 그대로 수행하더라도 혈당은 증가될 수 있습니다.




3. 집에서 하는 혈당검사보다 병원에서 시행하는 혈당검사 수치가 높습니다.


결론을 먼저 말씀드리자면 집에서 하는 혈당검사가 더욱 낮은 결과를 나타내는 것은 정상입니다. 그 이유는 검사를 수행하는 데 쓰이는 검체가 다르기 때문입니다. 집에서 수행하는 혈당검사의 검체는 전혈(Whole blood)이고 병원에서 수행하는 혈당검사의 검체는 혈청(Serum)이기 때문입니다. 아래 그림을 보시죠.



손끝의 모세혈관에서 채혈하는 경우 채혈과정에서 자연스럽게 혈액에 조직액이 섞이게 되고 그 결과 포도당의 농도가 희석됩니다.



병원에서 채혈한 경우 검사실로 보내진 검체는 원심분리를 진행하게 됩니다. 원심 분리 후 상층의 혈청(Serum)을 이용해 혈당검사를 수행하죠. 조직액으로 인한 희석이 이루어지지 않기 때문에 당연히 집에서 수행한 혈당검사보다 수치가 높게 나오게 됩니다.

�� ���������� 126��/dL �̸����� �����̴���, 100��/dL�� ������ �索�� ȯ�ڿ� ���������� �����ؾ� �Ѵ�./����=Ŭ����Ʈ�ڸ���



�索���� ���� 8�ð� �̻� �ݽ� �� ������ ���������� 126��/dL �̻��� �� �����Ѵ�. �׷��� ���������� 126��/dL �̸��̶� �索�� ���ܰ� ������ 100~125��/dL�� �ش��Ѵٸ� ���ǰ� �ʿ��ϴ�. Ư�� ���������� 110��/dL �̻��̶�� ��ǻ� �索������ �����ϰ� �索�� ȯ�ڿ� ���������� �����ؾ� �Ѵ�.

���� ���������� 100��/dL�� �Ѿ 10�� �̳� �索�� ���� ���ɼ��� 25%��� ������ �ִ�. ���� 126��/dL�� �Ѿ��� ������ ��ٷȴ� �����ϸ� �̹� �պ����� ���� '�� �Ұ� �ܾ簣 ��ġ�� ��'�� �� ���� �ִ�. 2016�� ��������� ���������� 110~125��/dL�� ���� 1536���� 10�Ⱓ ���� �����ߴ���, �浿���� ���߸� �β��� �β������ٴ� ����� ���Դ�. �̷� ������ �������� ���� '���ư�ȭ��'�̶� �θ���.

������ �� ��Ը� ���������� ����� ����� ���Դ�. ���������� 110~125��/dL�� ����� 15%�� �Ļ��ϰ� �� �ð��� ������ ������ 200��/dL���� ġ�ھҴٴ� �����. ���������� ���������� 125��/dL�� ���� �ʴ��� ���� ������ 200��/dL�� �Ѵ� ���, '��ȭ������' ��ġ�� Ȯ���غ��� �Ѵٰ� ���Ѵ�. �˻� ��� ��ȭ�����Ұ� 6.5% �̻��̶�� ���������̳� ���������� ���� ��ġ���� ���Ƶ� �索������ �����Ѵ�.

���� �������� 100��/dL�̻��̶�� ������ ã�� ������ �޾ƾ� �Ѵ�. ���� ���� ������ �ʴ���, �索�� ȯ�ڿ� ���������� ��Ȱ���� ������ �ݵ�� �ؾ� �Ѵ�. �索�� ȯ�ڰ� ���� �ʱ� ���� ������ ��ȸ�̱� �����̴�. ������ �ð��� ��Ģ������ �Ļ��ϰ�, ��ź��ȭ�� ��ǰ ���븦 ���̸�, 1���Ͽ� �� �� �̻� ����� ��� �Ѵ�. ü�� ������ �߿��ϴ�. ü���� 5%�� �����ص� �索�� ���� ������ ���� ������ ���� �� �ִ�.

식후 혈당 몇시간?

바람직한 혈당 조절 목표는 식전, 식후 2시간, 당화혈색소를 기준으로 하며, 일반적으로 식전 혈당 80~130 mg/dL, 식후 2시간 혈당 180 mg/dL미만, 당화혈색소 6.5% 미만으로 합니다.

혈당 검사 하루 몇번?

◇규칙적인 혈당측정 중요해 따라서 모든 당뇨병 환자는 규칙적으로 혈당측정을 해야 한다. 혈당측정은 하루 세끼의 식사를 다 하는 환자의 경우 아침 식전·식후, 점심 식전·식후, 저녁 식전·식후, 취침 전까지 총 7번 측정하는 것이 정석이다.

공복혈당 몇시간?

공복혈당은 7~12시간 금식 후에 측정하는 혈당 을 말하며, 아침 식사 전의 혈당이다. 정상인의 공복혈당은 60~110이고 당뇨병환자에서는 80~120이면 잘 조절된다고 할 수 있다.

Toplist

최신 우편물

태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