장거리 달리기 잘하는 법 - jang-geoli dalligi jalhaneun beob

안녕하세요. 모터원 답변왕입니다.

달리기와 걷기의 적절한 시간 배분으로 자신만의운동 루틴을 만들어주시고, 운동 기록앱을 사용하여 더 흥미롭게 하면 좋을 것 같습니다.

그리고 운동화는 살짝 크게!(피가 쏠리면서 발이 붓기 때문)

2022. 09. 01. 14:30

답변 신고

이 답변은 콘텐츠 관리 정책 위반으로 비공개되었습니다.

신고사유 :

    안녕하세요. 투붕이입니다.

    단거리 달리기 시 - 50m 100m의 경우 시작과 동시에 숨을 참고 전력질주를 하면 시간이 단축됩니다.

    장거리 달리기 시 - 시작을 천천히 달려주시고, 호흡법을 일정하게 유지해주셔야 좋습니다.

    2022. 09. 01. 14:29

    답변 신고

    이 답변은 콘텐츠 관리 정책 위반으로 비공개되었습니다.

    신고사유 :

      안녕하세요..요즘 건강에 관심을 가지시는 분들이 많아서 달리도 그중 하나인것같아요..먼저 주변에 달리가동호회가 있는지 알아보십시요..동호에서는 체계적으로 같이 운동하고 레슨도 하니 가입하시는걸 추천합니다..

      2022. 09. 01. 14:28

      답변 신고

      이 답변은 콘텐츠 관리 정책 위반으로 비공개되었습니다.

      신고사유 :

        오늘은 달리기 잘하는법에 대해서 알아볼게요

        달리기를 구분을 지어본다면 단거리달리기 , 장거리달리기 , 오래달리기로 나눌수가 있습니다. 기본적으로 달리기를 하면 신체적 능력이나 체력등이 향상되기 때문에 운동하는 선수들은 기본체력 후련에 베이스로 깔고 가고 있습니다.

        그중 단거리 달리기 짧은 시간내에빠른 주파를 목표로하고 모든 힘을 쏟아서 50미터 100미터 달리기를 의미하는데요. 빠른시간내에 달리기를 잘하기 위해서는 우선 꾸준한 연습은 필요합니다.

        장거리 달리기에 경우는 나의 신체적인 능력치들을 향상 시켜두고 적절히 체력안배를 하고 탈수증이 일어나지않게 운영하는 부분이 필요합니다.

        달리기를 잘하기 위해서는 가장 첫번째로는 하체힘을 키워야합니다. 기본적으로 하체를 이용해서 하는 운동이기 때문에 자주 뛰지않더라도 걷기운동 또는 헬스 자전거타기 계단 오르락 내리락 하기 등등을 통해서 하체 근력 강화운동을 해주는게 좋습니다.

        하체 근력이 약하면 약할수록 달리기를 할때 무리가 발생하고 근육통등에도 시달리게 됩니다. 평상시에 하체 힘을 키워두는걸 추천합니다. 특히 오늘날에는 자동차를 타고 다니는 사람들이 많아져서 운동량이 부족한데 평상시에 걷기운동이라도 꾸준히 해두면 이런 하체근력 강화에 상당한 도움이 됩니다.

        두번째로는 달리기를 할때는 올바른 자세를 유지해야합니다.

        빠르게 뛰는 사람을 보면 공기의 저항을 줄이고 순발력 반탄력으로 뛰어나가는경우가 많은데요 장거리 달리기를 하는 선수들을 보더라도 옷이 날리는 것보다는 몸에 딱 붙는 옷을 입는경우가 많은데 이런 부분역시 공기의 저항을 줄여서 보다 빨리 달리게 하는데 도움을 주게 됩니다. 

        달리기를 잘하는사람들은 준비자세에서부터 바로 튀어나갈수있게 상체를 살짝 숙인 상태에서 체중을 몸앞에 싣어서 가속도를 쉽게 낼수있도록 준비 자세를 취하고 뛸때는 팔을 앞뒤로 흔들면서 가속도를 내고 리듬에 맞게 팔을 흔든 상태도 보다빠르게 달릴수있도록 최적화를 합니다.

        단거리 달리기는 순발력이 상당히 요구되기 때문에 근육을 많이 키워두면 좋습니다. 말벅지라도 만들어둔다면 말이죠 장거리 달리기는 고른 체력안배가 중요합니다. 그만큼 달리기 잘하는법은 뛰는 종류에 따라서 준비는 조금 다르지만 기본적인 하체 체력이 받침 되야하므로 평상시에 하체근력 강화 운동을 조금씩 이라도 해두세요

        달리기는 가장 기본적인 체력운동이고 어른이나 아이들이나 본인의 체력과 건강상태에따라서 적절하게 뛰어주시면 좋습니다. 관절이 안좋거나 무릎 발목등에 부상이나  문제가있는경우는 운동은 삼가해야합니다.

        주의할점은 무조건 많이 뛴다고 좋지는 않고일주일 간격으로 달리기 거리를 서서히 높여가는게 좋습니다. 무리한 운동보다 서서히많아지는 운동량으로 계획을 삼아야지 몸에 무리가 없는 상태로 운동이 가능합니다.

        처음 시작할때에는 아기가 걸음마를 하듯이 걷기부터 서서히 뛰기 오래뛰기 빨리뛰기 형태로 운동을 하면 달리기 잘하는법 기본에 충실하고 신체 능력이 향상됩니다.

        오래달리기 잘하는법 꾸준한 연습만이 지름길이라는 뜻에서 이야기 해볼까 합니다.

        ▶ 마라톤 잘하는법 같은게 있을까요?

        내일 체력장을 보는데 오늘 잘하는법 같은건 존재하지 않습니다.

        ▶ 조금이라도 더 뛰려면 어떻게 해야 할까요?

        입보다는 코로 숨을 내쉬는 오래달리기 호흡법이 필요합니다.

        연습없이 방법만 알고 하루아침에 오래달리기를 잘 할 수는 없습니다.

        오래달리기 잘하는법 꾸준한 연습만이 지름길!

        모든 방법에는 그것을 동반한 꾸준한 연습이 필요합니다. 아무리 방법을 알고 있어도 그것을 통해 연습을 하지 않는다면 무용지물일 뿐이죠. 제가 군입대를 할 당시만 해도 오래달리기 시험을 본 뒤 일정시간 이상 걸리는 사람들은 탈락시킨 뒤 집에 보내기도 했습니다. 시간을 계속 늘려도 집에 가는 사람들이 꾸준하게 생겨나자 결국 오래달리기 테스트는 사라졌지만 아직도 부사관 및 장교 입관시 오래달리기 테스트를 진행하곤 합니다. 

        오래달리기 잘하는법은 존재할까요? 그냥 뛰기만 하는 것보다는 요령을 알고 뛰어야만 한발자국이라도 더 뛰는 것이 가능하겠죠? 

        1. 각종 운동으로 인한 체력보충

        여러가지 운동을 통해 몸의 체력을 보충합니다. 주로 상체보다는 하체에 힘을 싣는 운동을 해야 하는데 오래달리기와 비슷한 운동 예를 들면 헬스장이라면 런닝머신을 뛰어보시고 헬스장이 아니라면 빠르게 걷는 파워워킹 아니면 조깅 정도가 괜찮겠네요.

        2. 숨을 쉴때는 입보다는 코로

        오래달리기 호흡법 중 가장 기초적인 내용인데요 평상시에는 코로 숨을 쉬는것이 큰 문제는 없지만 달리기를 하며 숨을 내쉬다보면 입으로 내쉬는 것이 코로 숨을 내쉬는것보다 훨씬 편합니다. 그런데 문제는 1km 이상 뛰며 입으로 숨을 내쉴 경우 호흡이 힘들어질 수 있다는 점 때문에 규칙적인 호흡을 입으로 내쉬는 연습이 필요합니다. 어느정도 적응이 이루어지기 전까지는 달리기 연습을 하며 숨쉬는 연습도 함께 꾸준히 하셔야 합니다.

        3. 페이스 조절

        꾸준한 달리기 연습 및 코로 숨을 내쉬는 것도 중요하지만 그 모든 것을 하기 위해서는 페이스 조절이 필요합니다. 마라톤 잘하는법 중 하나가 바로 페이스 조절인데요 마라톤 초반에는 힘을 내다 중반에는 중간정도 페이스를 유지하다 마지막에 힘을 내는 방식인데 사실 이정도까지는 필요 없으며 체력장 또는 경찰체력시험과 같은 곳에서는 처음부터 끝까지 일정한 페이스 조절을 함으로서 탈락을 하지 않고 점수를 잘 받을 수 있는 수준까지만 페이스 조절을 하시면 됩니다.

        4. 연습 그리고 연습

        계속 말하고는 있지만 모든것을 알고 있다 해도 연습을 하지 않는 다면 아무 의미가 없습니다. 모든 것을 알고 있는 사람과 아무것도 모르는 채로 1년동안 오래달리기 연습만 한사람이 3일 후에 오래달리기 시합을 한다면 누가 이길것 같습니까? 1년을 아무런 노하우 없이 오래달리기 연습을 라더라도 본인만의 노하우가 생길 것이며 그것은 바로 위에 있는 노하우들을 몸으로 깨우친다는 뜻이기도 합니다. 물론 노하우를 알고 뛰는것과 모르고 뛰는것은 천지차이지만 결국 연습을 한 사람과 이론만 알고 있는 사람은 전혀 다르다고 할 수 있습니다.

        오래달리기 잘하는법 꾸준한 연습만이 지름길이라는 의미에서 간단하게 알아보았습니다. 이러한 일반적인 연습도 중요하지만 반 강제적인 목적이 있다면 더 연습이 잘 되지 않을까요?

        Toplist

        최신 우편물

        태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