할머니 자매 호칭 - halmeoni jamae hoching

  1. 아빠 동생의 부인, 남편을 각각 뭐라고 부르나?  

    1. 아빠 남동생의 부인 - 작은 어머니, 숙모(叔母)

    2. 아빠 여동생의 남편 - 고모부(姑母夫)

  2. 엄마 동생의 부인, 남편을 뭐라고 부르나?

    1. 엄마 남동생의 부인 - 외숙모(外叔母)

    2. 엄마 여동생의 남편 - 이모부(姨母夫)

  3. 아빠 형제, 남매의 자식들은 모두 "사촌" 이 맞다.

    1. 아빠 남자형제의 자식 - 사촌(四寸)

    2. 아빠 여자형제의 자식 - 고종사촌(姑從四寸)

  4. 엄마 남매, 자매의 자식들은 모두 "사촌" 이 맞다.

    1. 엄마 남자형제의 자식 - 이종사촌(姨從四寸)

    2. 엄마 여자형제의 자식 - 이종사촌(姨從四寸)

  5. 친척은 엄마, 아빠의 첫 핏줄과 그의 형제, 자매, 남매들을 말하나?

    1. 8촌 이내의 혈족, 4촌 이내의 인척

    2. 혈족(血族) : 아빠, 엄마 쪽

    3. 인척(姻戚) : 혼인에 의하여 맺어진 친척-배우자 쪽

  6. 나의 누나, 형, 동생들의 자식을 조카라고 부른다.

    1. 남자조카 - 조카, 유자(猶子), 종자(從子), 질자(姪子)

    2. 여자조카 - 조카딸, 여질(女姪), 유녀(猶女), 질녀(姪女)

  7. 내 누나, 형, 동생의 자식에 자식들이 나보고 어떻게 부르고 난 어떻게 불러야하나?

    1. 누나, 형의 손자가 나에게 - 작은 할아버지

    2. 동생의 손자가 나에게 - 큰 할아버지

    3. 나는 종손(從孫), 유손(猶孫), 종손자(從孫子), 질손(姪孫)

  8. 아빠의 남동생, 형이 결혼하면 전부 작은 아빠, 큰 아빠라고 부른다. 그러나 작은 아빠, 큰 아빠보다는 작은 아버지, 큰 아버지가 좋겠다.

  9. 작은 할아버지의 자식들은 나의 5촌 관계이고, 호칭은 당숙(堂叔)이다.

  10. 작은 할아버지의 자식들을 나와 5촌이고 내가 당숙(堂叔) 또는 5촌당숙(堂叔) 이라고 불러야한다.

  11. 작은 할아버지의 자식들은 나를 5촌조카라고 부른다.

  12. 엄마의 남자형제는 결혼유무와 상관없이 외삼촌(外三寸)이라 부른다.

  13. 아빠의 남자형제는 결혼 전이면 삼촌(三寸), 결혼 후면 큰 아버지나 작은 아버지라 부른다.

  14. 작은 할아버지는 나와 4촌 관계이다.

  15. 친가나 외가나 촌수 계산은 같다.

  16. 할아버지, 할머니의 형제, 자매, 남매를 뭐라고 부르나?

    1. 할아버지 남자형제 - 큰 할아버지, 작은 할아버지

    2. 할머니의 남자형제 - 큰 외할아버지, 작은 외할아버지

    3. 할아버지 여자형제 - 고모할머니

    4. 할머니의 여자형제 - 이모할머니

  17. 16번의 존재들은 나를 종손(從孫), 유손(猶孫), 종손자(從孫子), 질손(姪孫)이라 부른다.

  18. 내 각시의 가족과 그의 친척들은 나와 무슨 관계인가?

    1. 인척(姻戚) - 혼인에 의하여 맺어진 친척

  19. 인척들을 호칭할때

    1. 각시의 아버지 - 장인(丈人)(어른), 빙장(聘丈)(어른)

    2. 각시의 어미니 -장모(丈母)(님), 빙모(聘母)(님)

    3. 각시의 남자형제 - 처남(妻男)(지칭할 때는 손위처남, 손아래처남)

    4. 각시의 언니 - 처형(妻兄)

    5. 각시의 여동생 - 처제(妻弟)

  20. 그 이외의 호칭은 다음 도표를 참고하라.

(자기집안, 시집, 외가집, 고모집, 처가집, 이모집, 사돈간)

+++ 

가족 (家族)

혈연·인연·입양으로 연결된 일정 범위의 사람들(친족원)로 구성된 집단.

친척 [親戚]

자기의 혈족이나 혼인 관계를 통해 혈연적으로 관계가 있는 일정한 범위의 사람들

친족[親族] 

촌수가 가까운 일가

촌수(寸數) 

친족 간의 멀고 가까움을 나타내기 위하여 고안된 숫자 체계를 가리키는 가족 용어

호칭 (呼稱) 

화자가 대화의 상대를 부를 때 사용하는 표현

친가 [親家] 아버지 쪽 집안

·증조할아버지: 아버지의 할아버지   
· 
증조할머니: 아버지의 할머니
· 
할아버지: 아버지의 아버지
· 
할머니: 아버지의 어머니

·고모할머니: 아버지의 고모

·큰할아버지: 아버지의 큰아버지
· 
큰아버지(백부, 伯父): 아버지의 형
· 
큰어머니(백모, 伯母): 아버지의 형수

· 고모: 아버지의 여자 형제

· 고모부: 고모의 남편
· 
작은아버지(숙부, 叔父): 아버지의 동생
· 
작은어머니(숙모, 叔母): 아버지의 제수

· 당숙 : 아버지의 사촌 형제

· 당고모: 아버지의 사촌누이

· 재 당고모: 아버지의 육촌 누이

· 내종형제: 고모의 아들/딸
· 
사위: 딸의 남편
· 
며느리: 아들의 아내
· 
당숙(堂叔): 아버지의 사촌형제로 종숙(從叔)이라고도 함
· 
당숙모(堂叔母): 아버지 사촌의 부인으로, 종숙모(從叔母)라고도 함
· 
조부: 할아버지의 남자 형제
· 
조모: 할아버지의 형수, 제수
· 
대고모: 할아버지의 여자 형제
· 
대고모부: 할아버지의 매형, 매제
· 
재당숙(再堂叔)): 아버지의 육촌형제로, 재종숙(再從叔)이라고도 함
· 
재당숙모(再堂叔母): 아버지 육촌의 부인으로, 재종숙모(再從叔母)라고도 함
· 
종형제(從兄弟): 아버지의 조카
· 
종수(從嫂): 아버지의 조카며느리
· 
재종형제(再從兄弟): 당숙의 아들
· 
재종수(再從嫂): 당숙의 며느리
· 
조카: 형, 아우의 자식 
· 
조카 며느리(질부)조카며느리(질부): 형, 아우 아들의 아내
· 
당질(堂姪): 사촌의 아들로, 종질(從姪)이라고도 함
· 
당질부(堂姪婦): 사촌 아들의 아내
· 
종손(從孫): 조카의 아들
· 
재종손(再從孫): 사촌의 손자

 [外家] 어머니의 친정

· 외할아버지: 어머니의 아버지

· 외할머니: 어머니의 어머니

· 외숙(외삼촌): 어머니의 남자 형제

· 외숙모: 외삼촌의 아내

· 외사촌: 외삼촌의 아들/딸

· 외종수: 외삼촌의 며느리

· 이모: 어머니의 여자 형제

· 이모부: 이모의 남편

· 이종: 이모의 아들/ 딸

· 이종수: 이모의 며느리

· 이질, 이질녀: 여자 형제의 아들/딸

· 이질부: 이질의 아내

· 외당질(외종질): 외사촌의 아들/ 딸

· 외당질부(외종질부): 외사촌의 며느리

· 진외당숙: 아버지의 외사촌

· 외종 할아버지: 외할아버지의 형제

· 외종 할머니: 외할아버지의 형제

· 형수(兄嫂): 형의 아내
· 제수(弟嫂): 아우(동생)의 아내
· 매형(妹兄) /자형: 누이의 남편
· 매제(妹弟)/매부: 손아래 누이의 남편

· 장인(丈人): 아내의 아버지

· 장모(丈母): 아내의 어머니

· 손윗처남(형님): 아내의 오빠 

· 손윗처남댁(아주머니): 손윗처남의 아내

· 손윗동서(형님):아내 언니의 남편

· 처형(妻兄) : 아내의 언니

· 처남(妻男): 아내의 남자 형제

· 처남댁 (妻男宅) : 처남의 부인

· 동서[同壻]: 남편 형제의 아내

· 처제 [妻弟] : 아내의 여동생

· 누이 : 남편 여자 형제

· 시아버지: 남편의 아버지

· 시어머니: 남편의 어머니

· 시아주버니(시숙): 남편의 형

· 손윗동서(형님): 남편 형의 아내

· 시누이(형님): 남편의 누나

· 시자부(아주버님): 남편 누나의 남편

· 시동생(도련님): 남편 남동생

· 동서: 시동생의 아내

· 새언니(올케) : 오빠의 아내

· 형부: 언니의 남편

· 올케 : 남동생의 아내

· 제부:  여동생의 남편

사돈 査頓

혼인한 두 집안 사이에서 당사자의 부모들끼리 혹은 같은 항렬에 있는 사람들끼리 서로를 부르는 말

· 사돈(바깥사돈): 아들과 며느리 양가 아버지의 호칭

· 사부인(안사돈): 아들과 며느리 양가 어머니의 호칭

· 사장: 사돈의 아버지 또는 안사돈이 바깥사돈에 대한 존칭

· 노사장: 사돈의 아버지 또는 할아버지

· 노사 부인: 안사돈의 어머니 또는 할머니

· 사돈도령: 안사돈이 사돈의 미혼 아들에 대한 호칭

· 사돈댁 색시(사돈새아씨): 사돈의 미혼 한 딸

Toplist

최신 우편물

태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