고장 난 엘리베이터 어떻게 사회 이동을 촉진할 것인가 oecd - gojang nan ellibeiteo eotteohge sahoe idong-eul chogjinhal geos-inga oecd

OECD ‘고장난 엘리베이터’ 보고서


한국에서 소득 하위 10%에 속하는 가구가 평균 소득수준의 가구가 되려면 약 150년이 걸린다는 경제협력개발기구(OECD)의 보고서가 나왔다. 청년과 여성의 노동시장 참여를 촉진해 계층 간 이동을 원활하게 만들어야 한다는 지적이 나온다.

OECD는 2일 ‘고장난 엘리베이터? 어떻게 사회 이동을 촉진할 것인가’라는 제목의 보고서에서 이같이 밝혔다.

이번 보고서는 부모와 자녀 사이의 소득 추이를 집계한 자료를 토대로 소득계층 이동에 걸리는 시간을 추정한 것이다. 통계청에 따르면 국내에서 올 1분기(1∼3월) 소득 하위 10%에 속하는 가구의 수입은 월평균 84만1203원으로 전체 가구당 월평균 소득(476만3000원)의 5분의 1에도 못 미쳤다.

보고서는 “부모의 재산 정도가 개인의 삶에 큰 영향을 준다는 생각이 한국에 널리 퍼져 있다”고 지적했다. 이어 “한국인의 41%가 자녀의 출세에 부모의 교육수준이 중요하다고 생각하는데 이는 OECD 평균(37%)에 비해 다소 높은 편”이라고 설명했다.

한국에서는 부모가 상대적으로 낮은 교육을 받았더라도 자녀가 고등교육을 받는 비율이 높았다. 보고서에 따르면 중학교 이하 교육을 받은 부모도 자녀의 4분의 1은 고등교육을 받았다. 이는 OECD 평균의 2배에 이른다. 고등교육을 받은 부모는 자녀의 71%가 고등교육을 받아 OECD 평균인 63%보다 높았다.

교육수준이 높은 반면 한국의 직업 이동성은 OECD에서 가장 낮은 수준이었다. 한국에서 관리직 자녀의 절반은 다시 관리직으로 취직하는 경향이 있지만 육체노동자의 자녀는 4명 중 1명꼴로 관리직 일자리를 얻었다. 한국에서 육체노동자의 자녀가 다시 육체노동자가 되는 비중은 약 40%로 OECD 평균보다 10%포인트 높았다.

OECD는 한국에서 직업 이동성이 낮은 이유를 청년과 여성의 고용률이 낮기 때문이라고 진단했다. 정체된 사회 이동성을 높이기 위해 △청년 대상 직업교육을 확대하고 △여성의 출산휴가와 육아휴직 이용을 활성화하는 한편 △장시간 근로문화를 개선하라고 OECD는 권고했다.

다른 선진국도 사회 이동이 활발하지는 않았다. 영국 미국 이탈리아 스위스 등에서 저소득층이 평균소득 계층에 진입하는 데 걸리는 기간은 한국과 마찬가지로 5세대(150년)가 걸렸다. 일본 그리스 벨기에 뉴질랜드 등은 이 같은 계층 이동에 4세대(120년)가 걸렸다. 비교가 가능한 OECD 24개 회원국의 소득계층 이동 기간은 평균 4.5세대(135년)였다.

세종=최혜령 기자

OECD ‘고장난 엘리베이터’ 보고서


한국에서 소득 하위 10%에 속하는 가구가 평균 소득수준의 가구가 되려면 약 150년이 걸린다는 경제협력개발기구(OECD)의 보고서가 나왔다. 청년과 여성의 노동시장 참여를 촉진해 계층 간 이동을 원활하게 만들어야 한다는 지적이 나온다.

OECD는 2일 ‘고장난 엘리베이터? 어떻게 사회 이동을 촉진할 것인가’라는 제목의 보고서에서 이같이 밝혔다.

이번 보고서는 부모와 자녀 사이의 소득 추이를 집계한 자료를 토대로 소득계층 이동에 걸리는 시간을 추정한 것이다. 통계청에 따르면 국내에서 올 1분기(1∼3월) 소득 하위 10%에 속하는 가구의 수입은 월평균 84만1203원으로 전체 가구당 월평균 소득(476만3000원)의 5분의 1에도 못 미쳤다.

보고서는 “부모의 재산 정도가 개인의 삶에 큰 영향을 준다는 생각이 한국에 널리 퍼져 있다”고 지적했다. 이어 “한국인의 41%가 자녀의 출세에 부모의 교육수준이 중요하다고 생각하는데 이는 OECD 평균(37%)에 비해 다소 높은 편”이라고 설명했다.

한국에서는 부모가 상대적으로 낮은 교육을 받았더라도 자녀가 고등교육을 받는 비율이 높았다. 보고서에 따르면 중학교 이하 교육을 받은 부모도 자녀의 4분의 1은 고등교육을 받았다. 이는 OECD 평균의 2배에 이른다. 고등교육을 받은 부모는 자녀의 71%가 고등교육을 받아 OECD 평균인 63%보다 높았다.

교육수준이 높은 반면 한국의 직업 이동성은 OECD에서 가장 낮은 수준이었다. 한국에서 관리직 자녀의 절반은 다시 관리직으로 취직하는 경향이 있지만 육체노동자의 자녀는 4명 중 1명꼴로 관리직 일자리를 얻었다. 한국에서 육체노동자의 자녀가 다시 육체노동자가 되는 비중은 약 40%로 OECD 평균보다 10%포인트 높았다.

OECD는 한국에서 직업 이동성이 낮은 이유를 청년과 여성의 고용률이 낮기 때문이라고 진단했다. 정체된 사회 이동성을 높이기 위해 △청년 대상 직업교육을 확대하고 △여성의 출산휴가와 육아휴직 이용을 활성화하는 한편 △장시간 근로문화를 개선하라고 OECD는 권고했다.

다른 선진국도 사회 이동이 활발하지는 않았다. 영국 미국 이탈리아 스위스 등에서 저소득층이 평균소득 계층에 진입하는 데 걸리는 기간은 한국과 마찬가지로 5세대(150년)가 걸렸다. 일본 그리스 벨기에 뉴질랜드 등은 이 같은 계층 이동에 4세대(120년)가 걸렸다. 비교가 가능한 OECD 24개 회원국의 소득계층 이동 기간은 평균 4.5세대(135년)였다.

세종=최혜령 기자

경제

"한국 소득 하위 10%, 중간소득층 진입에 150년 걸려"

입력 2018.07.03. 03:01

자동요약 기사 제목과 주요 문장을 기반으로 자동요약한 결과입니다.
전체 맥락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본문 보기를 권장합니다.

한국에서 소득 하위 10%에 속하는 가구가 평균 소득수준의 가구가 되려면 약 150년이 걸린다는 경제협력개발기구(OECD)의 보고서가 나왔다.

정체된 사회 이동성을 높이기 위해 △청년 대상 직업교육을 확대하고 △여성의 출산휴가와 육아휴직 이용을 활성화하는 한편 △장시간 근로문화를 개선하라고 OECD는 권고했다.

비교가 가능한 OECD 24개 회원국의 소득계층 이동 기간은 평균 4.5세대(135년)였다.

글자크기 설정 파란원을 좌우로 움직이시면 글자크기가 변경 됩니다.

  • 매우 작은 폰트
  • 작은 폰트
  • 보통 폰트
  • 큰 폰트
  • 매우 큰 폰트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OECD '고장난 엘리베이터' 보고서

[동아일보]

한국에서 소득 하위 10%에 속하는 가구가 평균 소득수준의 가구가 되려면 약 150년이 걸린다는 경제협력개발기구(OECD)의 보고서가 나왔다. 청년과 여성의 노동시장 참여를 촉진해 계층 간 이동을 원활하게 만들어야 한다는 지적이 나온다.

OECD는 2일 ‘고장난 엘리베이터? 어떻게 사회 이동을 촉진할 것인가’라는 제목의 보고서에서 이같이 밝혔다.

이번 보고서는 부모와 자녀 사이의 소득 추이를 집계한 자료를 토대로 소득계층 이동에 걸리는 시간을 추정한 것이다. 통계청에 따르면 국내에서 올 1분기(1∼3월) 소득 하위 10%에 속하는 가구의 수입은 월평균 84만1203원으로 전체 가구당 월평균 소득(476만3000원)의 5분의 1에도 못 미쳤다.

보고서는 “부모의 재산 정도가 개인의 삶에 큰 영향을 준다는 생각이 한국에 널리 퍼져 있다”고 지적했다. 이어 “한국인의 41%가 자녀의 출세에 부모의 교육수준이 중요하다고 생각하는데 이는 OECD 평균(37%)에 비해 다소 높은 편”이라고 설명했다.

한국에서는 부모가 상대적으로 낮은 교육을 받았더라도 자녀가 고등교육을 받는 비율이 높았다. 보고서에 따르면 중학교 이하 교육을 받은 부모도 자녀의 4분의 1은 고등교육을 받았다. 이는 OECD 평균의 2배에 이른다. 고등교육을 받은 부모는 자녀의 71%가 고등교육을 받아 OECD 평균인 63%보다 높았다.

교육수준이 높은 반면 한국의 직업 이동성은 OECD에서 가장 낮은 수준이었다. 한국에서 관리직 자녀의 절반은 다시 관리직으로 취직하는 경향이 있지만 육체노동자의 자녀는 4명 중 1명꼴로 관리직 일자리를 얻었다. 한국에서 육체노동자의 자녀가 다시 육체노동자가 되는 비중은 약 40%로 OECD 평균보다 10%포인트 높았다.

OECD는 한국에서 직업 이동성이 낮은 이유를 청년과 여성의 고용률이 낮기 때문이라고 진단했다. 정체된 사회 이동성을 높이기 위해 △청년 대상 직업교육을 확대하고 △여성의 출산휴가와 육아휴직 이용을 활성화하는 한편 △장시간 근로문화를 개선하라고 OECD는 권고했다.

다른 선진국도 사회 이동이 활발하지는 않았다. 영국 미국 이탈리아 스위스 등에서 저소득층이 평균소득 계층에 진입하는 데 걸리는 기간은 한국과 마찬가지로 5세대(150년)가 걸렸다. 일본 그리스 벨기에 뉴질랜드 등은 이 같은 계층 이동에 4세대(120년)가 걸렸다. 비교가 가능한 OECD 24개 회원국의 소득계층 이동 기간은 평균 4.5세대(135년)였다.

세종=최혜령 기자

ⓒ 동아일보 & donga.com,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동아일보에서 직접 확인하세요. 해당 언론사로 이동합니다.

  • 얼굴도 모르는 웬 여자가 소똥 달라고 매달리니..
  • '北에 속았다'..트럼프 대통령 '보복' 가능성 우려
  • 성 김 필리핀 출국..판문점서 트럼프 메시지 北에 전한 듯
  • 그레이엄 "전쟁 나면 김정은이 가장 먼저 죽어..마지막 기회"
  • 매케인 딸 "트럼프가 아버지에게 한 일 절대 용서하지 않겠다"
  • 박지원 "추미애 딸 결혼, 꼭 청첩장을 내야 했나?..지도층, 생각해볼 문제"
  • "아이쿠, 걸렸네" 서울 도심 한복판서 양귀비 기르는 노인들, 왜?
  • 달리는 고속버스서 앞좌석 40대男 승객 흉기로 찌른 20대女
  • 롤렉스가 뭐길래..1000만원짜리 시계 예약 줄에 백화점 문 '와장창'
  • 아들 여친과 성관계 들통 50대, 회사 외국인 女동료 살해 징역 20년

Toplist

최신 우편물

태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