야마자키 위스키 종류 - yamajaki wiseuki jonglyu

야마자키 DR(숙성년수 미표기) 그리고 이것으로 만든 하이볼.

やまざき(山崎).

산토리에서 만드는 싱글 몰트 위스키. 히비키와 함께 산토리를 대표하는 고급 위스키며 하쿠슈와 함께 산토리 싱글 몰트 위스키의 양대 라인업을 이루고 있다. 야마자키와 하쿠슈, 그리고 블렌디드 위스키인 히비키, 이 세 가지가 산토리 위스키의 프리미엄 라인 3대장이다. 한편 단일 증류소 위스키 3대장으로는 야마자키나 하쿠슈에 더해 치타증류소 원액만으로 만든 치타 위스키도 있긴 하지만 치타는 그레인 위스키라 다른 두 가지보다 평가가 많이 떨어진다.

DR[1]에서 시작해서 12년, 18년, 25년산까지 나와 있으며 한정판도 종종 나온다. 10년산도 있었지만 12년이 일반화 된 이후로는 10년산은 보이지 않고 있다. 그나마 이것저것 씨가 마르는 상황이라 구하기가 점점 하늘의 별따기가 되어 가고 있다.

숙성년수가 높은 것들은 경매시장에서 고가에 거래되고 있다. 소더비홍콩경매소가 2018년 1월에 실시한 경매에서 야마자키 50년 한 병이 무려 233만7천 홍콩 달러, 우리 돈으로 약 3억3천만 원에 낙찰되었다.[2] 이 제품은 2011년 150병 한정판매한 상품으로, 치프 블렌더인 후쿠요 신지(福與伸二)의 사인이 들어가 있는 제품다. 출시 당시 가격이 한 병에 100만 엔, 우리 돈으로 약 1천만 원이었으니 7년만에 가격이 33배나 뛴 셈이다.

이름은 물론 산토리의 첫 증류소인 야마자키증류소에서 따온 것이다. 당연히 야마자키증류소의 원액으로 만든 위스키. 다만 증류소는 1930년대에 만들어졌으나 야마자키 위스키가 첫 출시된 것은 1984년으로 증류소에 비해서 역사는 그리 길지 않다.

일본 위스키의 실력을 세계에 알린 제품이기도 하다. 특히 위스키계의 거물인 짐 머리의 <위스키 바이블 2015>에서 수백 년 전통을 자랑하는 위스키 메이커들을 제치고 한정판인 야마자키 쉐리 캐스크 2013에게 100점 만점에 97.5점을 주고 그 해의 톱으로 뽑았다. 이 사건으로 세계가 발칵 뒤집혔고 품귀현상이 일어나기 시작해서 넌 빈티지까지도 씨가 마를 정도다. 예전에는 돈키호테나 슈퍼마켓에서도 쉽게 볼 수 있는 제품이었지만 이제는 정말 보기 힘들다. 설령 판다고 해도 1인당 1병으로 제한하거나 하고 있다. 업소에 우선 공급하다 보니[3] 일반 판매용은 물량이 달리는 것으로 보이는데, 다만 편의점에 가면 가끔 180 ml 미니병을 찾아볼 수 있다.[4] 어찌 보면 얄팍한 상술이라고 할 수 있는데, 일반 병인 700 ml 기준으로 보면 180 ml 미니 병은 네 병 약간 못 미치게 나온다. 단가는 높게 받아먹을 수 있으니 일반 소비자를 대상으로는 일종의 쪼개팔기를 하는 셈. 주류 매장을 잘 뒤져보면 좀 더 급이 높은 야마자키와 하쿠슈 12년산, 그리고 히비키 17년산을 100 ml 미니병으로 판매하는 것을 어쩌다 가끔 볼 수 있다.

2018년 들어서는 가격이 상당히 올라버렸다. 이전에는 DR 700 ml를 대략 4천 엔 대에서 구할 수 있었으나, 2018년 들어서는 돈키호테에서도 6천 엔이 넘어간다. 50% 이상 가격이 뛰어버린 것. 그나마 2019년 들어서는 돈키호테 같은 곳에서도 씨가 말라서 어쩌다 가끔 들어오면 모를까, 정말 보기 어려워졌다. 좀 어이가 없는 건, 편의점에는 가끔 180 ml 미니병이 풀리는데 한 병에 1,100엔 선에서 팔린다. 이거 네 병 사면 720 ml인데 4,400원이다. 꼭 700 ml 병을 원하는 게 아니라면 이쪽이 경제적이다. 단 한국에 가지고 들어올 때에는 용량으로는 최대 1리터, 병으로는 용량 관계 없이 한 병밖에 면세를 못 받는다는 점에 유의하자.

각주

  1. Distillery's Reserve. 숙성년수 표시가 없는 제품을 이렇게 부른다.
  2. "인기 높아지는 일제 위스키…한 병에 3억3천만원 낙찰가 기록도", <한겨레>, 2018년 9월 28일.
  3. 바와 하이볼 전문점을 비롯한 곳들에는 아직까지는 공급이 이루어지고 있는 상태다.
  4. 이것조차도 점점 보기가 드물어지고 있다.

산토리는 일본회사로서 위스키, 맥주, 브랜디, 진, 보드카 등 다양한 제품을 판매하는 세계적인 주류회사입니다. 다양한 산토리의 주류중 위스키에 대하여 리뷰해보겠습니다.

1. 야먀자키 (Yamazaki)

(좌)NAS (중)12년 (우)18년

야먀자키는 일본 오사카에 위치한 야마자키 증류소에서 생산되는 위스키 원액만을 담은 싱글몰트 위스키입니다. 다양한 숙성연수의 라인업이 존재하며 원액 부족현상을 겪고있어 고연산의 야마자키 위스키는 값이 치솟고 있는 상황입니다. 따라서 산토리위스키는 무연산이 많으며 가격모두 무연산 기준입니다.

제품 야마자키
구분 싱글몰트
숙성 NAS
가격 22만~27만원

2. 하쿠슈

(좌)NAS (중)12년 (우)18년

하쿠슈는 일본 야마나시현에 위치한 하쿠슈 증류소에서 생산되는 원액으로 만든 싱글몰트입니다. 야마자키와 함께 일본의 양대 싱글몰트 위스키로 유명하며 생산량이 적어 보기 힘든 제품입니다.

제품 하쿠슈
구분 싱글몰트
숙성 NAS
가격 20만 ~ 25만

3. 히비키

히비키는 산토리의 블렌디드 위스키 고급라인으로서 비싼가격대를 유지하고 있으며 전통적인 병모양으로 유명한 제품입니다. 여러가지 빈티지라인업을 가지고 있으며 고급 일식집에서 볼수 있는 제품이기도 합니다.

제품 히비키
구분 블렌디드
숙성 NAS
가격 15만~20만원

4. 가쿠빈

일본위스키중 가장 많이 알려진 가쿠빈은 가장 저렴한 가격대의 무연산 위스키이며, 맛이 뛰어나지 않아 보통 스트레이트로 마시기보다는 탄산수와 같이 섞어 먹는 하이볼로 더 잘 알려져 있습니다. 국내에도 일본음식점 이자카야를 중심으로 같은회사제품인 짐빔과 함께 하이볼로 잘 알려져 있습니다. 하이볼로 국내시장에 진출을 노리고 있으나 일본제품 불매운동 영향으로 인하여 고전하고 있습니다.

제품 가쿠빈
구분 블렌디드
숙성 NAS
가격 3만~5만원

5. 치타

산토리의 그레인위스키 라인업인 치타입니다. 그레인위스키란 보리(몰트)가 아닌 그외 곡물을 섞어만든 위스키를 말하며값이 좀더 저렴한것이 특징이지만 가쿠빈보다 비싼것이 특징입니다.

제품 치타
구분 그레인
숙성 NAS
가격 10만~12만

6. 그외 라인업

(좌)올드 (중)클래식 (우)로얄

앞서 게시한 주력 라인업외에도 산토리는 다양한 라인업을 가지고 있으며 증류소별 원액수급, 시장상황에 따라 다양한 빈티지라인도 존재합니다. 옛날 느낌을 내는 올드와 클래식 로얄 라인업입니다.

(좌)레드 (중)스페셜리저브 (우)화이트

또한 컬러별로 제품군을 만들어서 다양한 라인업을 보여주는데 조니워커의 컬러에 따른 라인업을 따라하는것으로 보입니다. 레드와 블랙 그리고 화이트의 제품들입니다.

그리고 버번위스키의 대명사로 알려진 짐빔과 메이커스 마크 등도 모두 일본 산토리사 소유의 제품들이며 국내시장에 빠르게 침투하고 있습니다.

지금까지 산토리사의 위스키 제품들에 대하여 리뷰를 하였는데요. 상당한 제품군을 보유한 일본 산토리사의 자금력은 상당한것으로 보이며 앞으로의 귀추가 주목이 됩니다. 

Toplist

최신 우편물

태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