손톱 위 살 부음 - sontob wi sal bueum

안녕하세요? 아하(Aha) 의료 분야 지식답변자 홍덕진 의사입니다.
질문하신 내용에 대하여 아래와 같이 답변 드립니다.

1. 내향성 손발톱의 자가치유는 어렵습니다.

외과 또는 피부과에 방문하시길 추천드립니다.

2. 내향성 손발톱의 발생 원인

내향성 손발톱은 주로 손발톱의 바깥쪽을 깊이 깎을 때, 살 속에 숨어 있는 잘리지 않은 손발톱의 파편이 살 속으로 파고들며 발생합니다.

또한, 손톱이나 발톱이 바깥쪽에서 살을 지속적으로 누르게 되는 모든 상황이 내향성 손발톱을 유발할 수 있습니다. 예를 들면, 발톱 무좀을 오래 방치해서 발톱의 모양이 변형된 경우, 꽉 조이는 신발을 장시간 신은 경우, 발가락뼈가 튀어나온 경우에는 내부 압력이 증가하여 내향성 발톱이 잘 발생할 수 있습니다.

또한 비만이나 노화가 진행되면서 발톱의 굴곡이 자연적으로 심해지는 경우에도 잘 발생합니다.

그 외에 가족들 중에 내향성 손발톱 증상이 있는 경우 다른 가족도 더 잘 생기는 경향이 있는 등, 유전적 요인도 있습니다.

3. 내향성 손발톱의 치료

물론 완치가 가능합니다만, 재발되는 경우도 있습니다.

증상이 가벼운 경우, 파고 들어간 손발톱의 모서리와 그 아래의 살 사이에 솜뭉치나 치과용 치실을 끼워 넣어 치료합니다.

증상이 심해서 수술이 필요한 경우, 국소 마취 후 파고든 손발톱 판의 옆면을 제거하고 위를 덮고 있는 가장자리 손발톱 주름을 제거합니다.

재발을 방지가 중요한데, 이를 위해서는 파고든 손발톱 판을 세로로 절제해 내야 하며, 이때 손발톱 겉면을 같이 절제하거나 고주파를 이용한 전기 소작을 시행합니다.

심한 염증이 있으면 먼저 항생제 치료를 시도하기도 합니다.

전문의 진료를 받고 치료 방법을 결정하시는 게 좋겠습니다.

출처 - 서울아산병원 홈페이지

2021. 04. 14. 11:44

안녕하세요. 손톱 및 지문쪽에 살갗 통증으로 문의드립니다

약 2년전부터 오른쪽 손가락 (다섯 손가락)모두 불특정 순서로 번갈아 가면서

심한통증 붓기.발열.검은 점.짧은선 증상이 있습니다.

약 2~3개월단위로 2주간 증상이 나타나며

첫날에는 지문쪽 살부분이 져린증상이 아니고 칼로 베이는듯 바늘로 찌르는듯

씀벅씀벅 찌릿하며 쉴새없이 통증이 밀려옵니다.

그다음 지문부위가 눌러도 들어가지 않을정도로 붓고

발열이 나타나고 색이 붉어집니다.

그 뒤 손톱전체가 빨갛고 닿기만하여도 아프고 통증이 심하며,

둔탁한 물건에 살짝만 부딪혀도 통증이 심합니다.

뜨거운 불위에서 음식을 조리하다 열기에 스치기라도 하면

손가락이 불타는 느낌이 나고 너무 찬물이나 너무 뜨거운 물에도

통증이 심하게 나타납니다.

뼈 마디쪽은 이상이 없고 손톱 및 마디를 꺽어서

딱 소리내어도 별 통증이 없는데 손가락 지문쪽과 손톱쪽 손끝쪽이 원인인데

병원을찾으면 원인을 다들 정확히 모르십니다.

신경외과.정형외과.피부과 모두 계속 방문마다 손 엑스레이 찍었고

피검사 상 염증이상없음.통풍수치.갑상선.류마티스 관절.퇴행성 관절.요산수치

모두 이상없다 합니다.

진통제 및 소염제를 일주일넘게 달고 살다가 10일쯤 지나면

통증이 줄어들고 통증이 있던 손톱끝에 검보라색? 짧은선또는 점들이

나타나고 많이 생길때도 적게생길때도 있습니다.

검은선??이 증상이 나오면 모든 통증이 멈추고

빠르면 두달 뒤 다시 통증이 반복입니다.

검은선 점 이것도 몇일뒤 사라집니다. 현재까지 오른쪽손만 그럽니다.

작년 11월경 엄지손가락만 통증 올해 1월 이번에는 엄지손 빼고

네 손가락 통증 그 전에는 새끼손가락 등등 번갈아 가면서 반복이 됩니다.

대학병원을가도 원인을 못찾으니...

통증이 오는 10일정도는 일상생활을 할수가 없습니다.

칫솔 쥐는거 까지도 못할정도로 혹시 저와같은 케이스가 없는가요??

사진도 첨부하여봅니다. 사진 빨간색표시부분이 통증 자리입니다

평소 깔끔한 것을 좋아하는 회사원 김모(30)씨는 손톱에 생긴 거스러미를 보기만하면 곧바로 제거를 하는 편이다. 

보통 같으면 손톱깎이로 제거해야되는데,그냥 잡아 뜯었다가 한동안 고생했다.

대수롭지않게 생각했다가 하루가 지나자 뜯은 부위가 부어올랐고 건드리기만 해도 하면 통증이 느껴졌다.하룻밤 자고나자 노란 고름이 나오기 시작했다.

손을 살피다 보면,불리는 손톱 옆에 살갗이 일어난 듯  손톱거스러미를 볼 수 있다. 대부분의 경우 별것 아니라고 생각해 손으로 뜯어내는 경우가 많은데, 이 때 잘못 건드리면 조갑주위염,즉 손톱주위염이 생길 수도 있다. 조갑주위염은 손톱이나 발톱 주위에 생기는 염증성 질환을 말한다.

조갑주위염은 대체로 박테리아나 곰팡이의 일종인 칸디다를 통한 감염으로 대부분 이루어지는데, 특별한 징후없이도 생기는 경우도 있다. 

조갑주위염이 생기면 손발톱의 주변이 빨갛게 부어오르고 곪아 통증을 유발한다. 대부분 쉽게 치료가 되지만,그냥려두거나 감염이 심해지면 손ㆍ발톱이 상하기도 한다.

보통 손톱거스러미를 제거하다가 생기는 경우가 흔하다.거스러미는 피부가 건조해지는 요즘같은 추울 때 특히 많이 생긴다. 

손은 외부 노출이 잦은데다, 피부가 얇기 때문이다. 또한 네일을 자주 관리하는 경우에도 거스러미가 생기기 쉽다. 일반적으로 네일을 지울 때 사용하는 네일 리무버는 손의 유수분을 빼앗아가기 때문이다. 큐티클 정리를 지나치게 자주하는 경우나 비타민, 단백질 등 영양 섭취가 부족할 때 발생하기도 한다.

거스러미가 생기는 것을 예방하기 위해서는 기본적으로 건조한 환경을 피하고 충분히 수분을 공급해 주는 것이 좋다. 또한 설거지를 할 때는 고무장갑을 끼는 것이 좋은데, 기름 때를 제거하는 주방용 세제는 손을 쉽게 건조하게 만들기 때문이다.

이미 거스러미가 생겼을 경우 가장 좋은 방법은 손톱깎이를 사용해 짧게 잘라내는 것이나, 불가피하게 뜯어야 하는 경우에는 손목방향이 아니라 손 끝 방향을 향해 뜯어내는 것을 권한다.

조갑주위염은 자연히 치유되는 경우가 흔하지만 고름이 나오고 오랜 기간 지속되면 병원에 가서 진료를 받는 것이 좋다. 

고려대 안암병원 가정의학과 김양현(사진) 교수는 “조갑주위염으로 병원을 찾는 환자 대부분은 위생이 좋지 못한 상태에서 거스러미를 제거하거나 발생한 상처를 소독하지 않고 방치해 악화된 경우가 많다”며 “거스러미를 끝까지 무리해서 제거하거나 입으로 제거하려고 하지 말고, 통증이나 열감, 부종이 있을 경우 지체하지 말고 빨리 병원을 찾는 것이 좋다”고 말했다.

김양현 교수

손톱 옆에 살갗이 거슬려서 일어난 보풀 같은 거스러미가 눈에 거슬리면? 잡아 뜯는 사람이 많을 것이다. 피 한 방울 보지 않고 거스러미를 말끔히 제거했을 때의 그 쾌감이란, 상상 이상이다. 하지만 손톱 옆 피부를 무턱대고 잡아 뜯었다간 손가락이 벌겋게 부어오르고 통증을 느낄 수 있다. 왜일까. 의사 5인이 거스러미와 이로 인해 발생할 수 있는 질환에 대해 밝혔다.

Q. 거스러미란?

"피부과 의사 이상민"

거스러미는 사람 손톱과 발톱 주변을 덮고 있는 살과 손발톱이 맞닿은 부분에 있는 살이 일어나거나 벗겨져 염증, 통증을 일으키는 것 또는 그런 상태에 있는 살이다.

거스러미의 증상은 다양하다. 벗겨지기만 하고 통증이 없기도 하고 벌겋게 충혈되면서 심하게 벗겨지는 경우도 있다.

거스러미를 제거하기 위해 이를 아래 방향으로 벗겨내면 매우 심한 통증이 뒤따른다. 따라서 손톱깎이로 깎아내거나, 위 방향으로 제거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Q. 거스러미의 원인은?

"피부과 의사 이상민"

거미러미의 대부분은 손이 건조해서 발생한다. 특히 물을 만진 후 충분히 보습하지 않으면 잘 발생한다. 또는 네일아트를 위해 아세톤을 손에 바를 경우, 손톱 주변의 피부를 건조하게 하여 손 거스러미가 생길 수 있다. 따라서 손 거스러미 예방을 위해서는 보습하는 것이 중요하다.

아울러 영양소를 충분히 섭취하는 것도 중요하다. 대체로 손끝까지 영양분이 공급되지 않거나 혈액순환이 원활하지 않으면 거스러미가 잘 발생한다. 따라서 단백질, 미네랄, 비타민A, 비타민B, 비타민E가 함유된 음식을 섭취하는 것이 좋다.

Q. 거스러미를 뜯어내면?

"정형외과 의사 이제성"

거스러미를 뜯어내면 상처가 생기며, 상처가 생긴 곳이 세균이나 바이러스에 감염돼 손발톱주위염 즉, '조갑주위염'이 발생할 수 있다.

조갑주위염은 손톱이나 발톱 주위에 생기는 염증성 질환을 말한다. 기저질환에 따라 급속히 진행되거나 수개월에 걸쳐 진행되며 통증과 종창을 일으킨다.

Q. 조갑주위염 증상은?

"정형외과 의사 조준"

문제 부위를 만지면 통증이 있고, 상처 부위 주변이 빨갛게 부어오른다. 질환이 계속되면 진물이나 고름이 생길 수 있다.

조갑주위염을 가벼운 질환이라 생각하고 넘길 수 있지만, 치료하지 않고 방치하면 몇 달간 증상이 이어질 수 있다. 또, 손톱이나 발톱이 자라지 않고 갈색으로 변하거나 빠질 수도 있다.

통증 및 진물이 계속된다면 방치하지 말고, 병원에 내원하여 전문의로부터 정확한 진단을 받아보길 바란다.

Q. 조갑주위염, 치료는?

"피부과 의사 이형래"

조갑주위염을 방치하면, 살이 녹고 고름이 차서 추가로 살을 째 고름을 짜내는 시술을 받아야 할 가능성이 커지고 치료 기간도 늘어날 수 있다. 물론 운이 좋은 경우에는 자연치유가 되기도 한다. 자연치유 여부는 현재 증상 정도와 환자의 면역력과 재생력에 영향받기에 확답이 어렵다. 항생제 복용과 드레싱으로 조갑주위염을 가볍게 완치할 수 있으니, 병원에 방문하는 것이 가장 빠르고 경제적이다.

아울러 염증 부위가 물에 닿으면 2차 세균감염이 일어날 가능성이 크다. 물에 닿은 경우에는 해당 부위를 잘 말리고 소독하면 좋다. 에탄올은 포비돈요오드에 비해 소독력이 떨어진다. 따라서 소위 '빨간약'이라 불리는 포비돈 용액으로 소독하는 것이 더 적합하다.

Q. 그래도 거스러미 뜯는 것을 멈출 수 없다면?

"정신건강의학과 의사 권순모"

동반된 다른 특별한 증상이 없다면, 강박 관련 장애 중 하나인 '피부뜯기 장애'도 의심해 볼 수 있다. 피부뜯기 장애는 피부뜯기 행동을 멈추려는 반복적인 시도에도 불구하고, 상처가 날 정도로 증상이 계속되면 진단할 수 있다. 불안감과 연관된 증상일 수 있고, 불안감이 근본적인 원인일 가능성도 있다.

피부뜯기 장애는 강박장애와 같이 약물로 치료할 수 있다. 아울러 그 상황을 줄여 주기 위한 면담 및 행동 조절을 통해 치료할 수도 있다. 또, 평가를 통해 기저에 있는 불안감이나 우울감 등의 감정 문제에 대해서도 치료적 접근이 필요할 수 있다. 가까운 정신건강의학과를 방문해서 도움받길 바란다.

도움말 = 하이닥 상담의사 이상민 (피부과 전문의), 하이닥 상담의사 이제성 (정형외과 전문의), 하이닥 상담의사 조준 (정형외과 전문의), 하이닥 상담의사 이형래 (피부과 전문의), 하이닥 상담의사 권순모 (정신건강의학과 전문의)

관련 게시물

Toplist

최신 우편물

태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