스위치허브 ip 설정 - seuwichiheobeu ip seoljeong

공유기는 하나의 IP주소로 여러 대의 컴퓨터에서 인터넷을 사용할 수 있도록 해주고 무선 와이파이를 사용할 수 있도록 해준다.

공유기는 다양한 기능을 가지고 있어 활용성이 높은데 공유기를 스위칭 허브 모드로 설정하여 여분에 공유기가 있다면 스위칭 허브로 사용할 수 있다. 공유기를 스위칭 허브 모드로 설정하는 방법에 대해 알아보자.

스위칭 허브 모드로 설정방법

필자가 설정한 공유기는 대표적인 아이피타임 공유기로 1004ns 모델이다. 공유기 관리자 모드로 접속하기 위해 192.168.0.1을 주소창에 입력 후 로그인을 한다. 아이피타임 공유기가 아니라면 관리자 접속 주소는 다르다.

관리자 페이지에 접속 후 고급설정 > 네트워크 관리 >내부 네트워크 설정에 접속하여 내부 IP주소를 변경해주어야 한다. 내부 아이피 주소를 기본으로 사용하게 되면 기존에 공유기과 충돌이 일어날 수 있기 때문에 내부 아이피 주소를 사용하지 않는 200~254 사이로 설정 후 적용을 클릭하면 재부팅이 되면서 내부 IP가 변경된다.

새롭게 변경된 내부 IP로 접속 후 고급설정 > 네트워크 관리 >DHCP 서버 설정을 클릭하여 DHCP 서버 동작을 중지로 선택한 후 적용을 클릭한다. DHCP 서버는 공유기의 WAN 포트를 사용하지 않도록 설정하는 것으로 허브와 같이 동작하기 위해 WAN 포트의 사용을 중단한다.

마지막으로 고급설정 > 시스템 관리 > 기타설정에서 UPNP 설정을 중단으로 선택하고 적용을 클릭하고 아래에 허브/AP모드 내부 게이트웨이를 사용으로 설정한 다음 인터넷 단자함에 설치를 하면 됩니다.

만약 허브/AP모드 내부 게이트웨이를 설정하는데 IP주소가 자동으로 입력되지 않는다면 상위에 공유기가 없는 상태에서 시도를 해보시기 바랍니다.

이렇게 인터넷 단자함에 공유기를 허브로 사용하여 스위칭 허브를 구매하지 않고 남는 공유기로 스위칭 허브의 역할로 사용할 수 있습니다. 이상 글을 마치겠습니다.

추천 콘텐츠

지매니저 스위치 허브인 SW5848-8T 의 기본 설정 방법을 알아보겠습니다. SW5848-8T 는 지매니저를 비롯해 노하드 시스템, 고사양의 SMB 또는 파일 서버를 필요로 하는 SOHO 규모의 사내 전산 시스템 구축을 위해 발매된 제품으로 1기가 48포트, SFP+ 방식의 10기가 8포트를 제공하는 제품입니다.

설정은 아래의 단계로 진행됩니다.

  1. 스위치 허브 로그인
  2. 언어 변경
  3. 접속 비밀번호 변경
  4. 스위치 허브 접속 IP 변경
  5. 호스트네임 변경
  6. 스위치 허브 시간 변경
  7. LLDP 비활성
  8. STP 비활성
  9. Team (Trunk) 설정

*주의 : 설정 변경 시 [Apply] 클릭 후 최종 종료전에 반드시 메뉴 상단의 Save All 을 클릭해야만 변경된 사항이 저장됩니다.

본 SW5848-8T 스위치 허브의 설정 방법 컨텐츠는 완전한 초보자를 대상으로 작성됐습니다. 스위치 허브 설정에 이미 능숙한 사용자라면 본 설명서를 참고만하시고 SW5848-8T가 제공하는 다양한 보안 설정을 이용해서 설치하기를 추천합니다.

로그인

SW5848-8T 스위치 허브와 설정에 사용할 PC를 랜케이블로 연결하고 PC에 스크린샷과 같이 IP를 추가합니다.

웹브라우저의 URL 입력 창에서 192.168.1.100 을 입력하면 로그인 계정과 비밀번호를 물어봅니다. 로그인 초기 ID와 비밀번호는 SW5848-8T 스위치 허브 바닥면에 인쇄되어 있으므로 확인, 입력 후 로그인을 합니다.

SW5848-8T 초기화면, 초기 언어는 중국어로 되어있습니다.

언어 변경

최초 로그인 시 언어는 중국어로 되어 있습니다. 초기 화면 상단에 English 를 클릭해서 언어를 영어로 변경합니다.

접속 비밀번호 변경

  • System mgr
    • User mgr
      • Admin
        • Edit 클릭 후 비밀번호를 변경합니다.

스위치 허브 접속 IP 변경

  • L3 Config
    • VLAN Interfaces and IP Addresses
      • Static route
        • 1
          • Edit 클릭
            • Primary IP Address
              • 원하는 사설 IP 변경 (스위치가 여럿일 경우 IP 겹치지 않게 설정 )
                • Ex) 192.168.1.102
              • 변경 완료 부터는 변경된 IP 접속합니다.

호스트네임 변경

  • Basic Config
    • Hostname
      • 원하는 호스트네임으로 변경 (스위치가 여럿일 경우 동일한 네트워크 내에서 겹치지 않도록 하세요)
        • Ex) GmanagerSwitch01

스위치 허브 시간 변경

  • Basic Config
    • Clock Mgr
      • 현재 시간에 맞게 변경합니다.

LLDP 비활성

  • L2 Config
    • LLDP Global Config
      • LLDP Config
        • Protocol State : Close the LLDP protocol
    • LLDP Interface Config
      • Receive LLDP Packet
        • 모든 포트를 Disble 로 변경합니다.

STP 비활성

  • L2 Config
    • STP Config
      • 상단 메뉴에 STP port config
        • Protocol Status : 모든 포트를 Disable 처리

Trunk 및 Team 설정 (LAG 설정)

  • L2 Config
    • Port Channel Global Loading Balance
      • Load Balance Mode
        • Both MAC 선택

복잡해보이지만 클릭만 잘 하면 됩니다.

SFP+ 포트 5번 6번을 Team으로 묶었습니다. 속도는 20Gb/s 로 나타납니다.

  • Port channel
    • 추가 방법
      • [NEW] 클릭
      • Aggregation Group : P1 ~ P32 추가 그룹 선택
        • 오른쪽에 있는 Available Port List에서 LAG 묶을 포트를 왼쪽 Configured port List 로 옮깁니다.
        • Mode : LAG 묶을 형식을 선택합니다. : (LACP Active) 추천
        • [Apply] 클릭합니다.

서버와 SW5848-8T 스위치 허브와 연결할 때 또는 다른 스위치 허브와 Trunk 연결을 할 때에도 본 메뉴을 이용해서 설정을 해주면됩니다. 보기에는 복잡해보이지만 몇 번정도 설정 테스트를 해보시기 바랍니다.

마지막으로 메뉴 상단에 Save All 버튼을 클릭해서 지금까지 설정한 모든 설정 값을 저장합니다.

Toplist

최신 우편물

태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