세종대왕 한글 창제 이유 - sejongdaewang hangeul changje iyu

신문은 선생님

[뉴스 속의 한국사] 세종대왕이 한글 만들 때 누가 도왔을까요?

[훈민정음 창제(1443)]
백성 위해 우리 글자 만든 세종대왕… 1443년 완성해 3년 뒤 반포했죠
왕자들과 집현전 학자가 편찬 돕고 정의공주가 연구에 도움줬단 기록도

오늘은 우리 글자인 한글의 우수성을 기리기 위해 국경일로 정한 한글날이에요. 1443년 세종대왕이 우리 글자 '훈민정음(訓民正音)'을 만들어 3년 뒤 세상에 널리 알리게 했지요.

훈민정음은 백성을 가르치는 바른 소리란 뜻이에요.

그런데 훈민정음이 언제부터 한글이라고 불리게 된 걸까요? 조선시대 유학자들은 한동안 훈민정음을 '언문(諺文·상스러운 글)'이라고 낮춰 불렀어요. 1910년대 초반, 주시경을 비롯한 국어학자들이 그런 풍조에 반발해 '한글'이라고 고쳐 부르기 시작했지요.

우리는 흔히 세종대왕이 훈민정음을 만들었다고 알고 있지만 역사학자들은 세종대왕 말고도 여러 인물이 한글을 만드는 데 힘을 보탰을 거라고 짐작해요. 그중엔 세종대왕 딸이었던 정의공주(貞懿公主·1415~1477)도 있지요. 정의공주는 어떤 인물이었으며, 어떤 식으로 훈민정음 창제에 기여했을까요?

◇'임금이 친히 28자를 만드셨다'세종대왕이 우리 글자를 만든 이유는 백성들이 글자를 몰라 자기 뜻을 제대로 펼치지 못하는 걸 안타깝게 여겼기 때문이라고 훈민정음 서문에 쓰여 있어요. 글자를 모르는 백성들은 법을 제대로 알 수 없어 무엇이 죄가 되는 줄 몰라 억울한 일을 자주 당했어요.

/그림=정서용

중국에서 빌려온 글자인 한자는 우리말을 제대로 옮기기도 어렵고, 먹고살기 바쁜 백성들이 배우기엔 너무 어려웠어요. 그래도 한자가 아닌 새로운 글자를 만들어 쓰자는 움직임에 대해서는 그 당시 사대부(士大夫)들이 반발했어요. 사대부는 조선시대 문관 관료들을 가리키는 말이에요.

당시 조선은 중국 예법과 제도를 본받아 이미 오래전부터 한자를 쓰고 있었어요. 사대부 중에는 '새 글자를 만들어 사용하는 건 중국을 본받는 대신 스스로 오랑캐가 되는 것'이라고 생각하는 사람들이 많았지요. 또 배우기 쉬운 문자를 만들어 백성들이 글자를 알게 되면 나라의 법과 제도를 만만하게 생각해 한문을 공부한 사대부들에게 함부로 대들 거라고 생각하기도 했고요. 그래서 세종대왕은 신하들 모르게 직접 훈민정음을 만드는 일을 했을 거라고 학자들은 짐작하고 있어요.

◇훈민정음 창제를 도운 사람들세종대왕이 손수 훈민정음을 만들었다는 사실은 역사적 기록을 통해 확인할 수 있어 의심할 여지가 없어요. '조선왕조실록'에는 '임금께서 친히 언문 28자를 만드셨다'고 기록돼 있어요. 세종 때 엮은 음운학 책 '동국정운'에도 '훈민정음을 어제(御製)하셨다'는 대목이 나와요. 임금님[御]이 몸소 만들었다[製]는 뜻이지요.

한자어 중국 발음을 한글로 적어놓은 '홍무정운역훈' 서문에도 '우리 세종대왕께서 운학(韻學)에 마음을 두고 깊이 연구해 훈민정음을 창제하셨다'고 적혀 있어요. 운학은 한자 음운을 연구하는 학문을 말해요.

세종대왕이 직접 훈민정음을 만들었다고 해도, 도움을 준 이들이 분명히 있었을 거예요. 다만, 누가 어떤 도움을 줬느냐 하는 대목에서 후세의 의견이 분분하게 갈라지지요.

어떤 역사가들은 세종의 장남인 세자 향(훗날 문종)을 비롯해 수양대군(훗날 세조), 안평대군(문종과 세조의 동생) 같은 세종의 왕자들이 도움을 주었을 거라고 봐요.

또 정인지, 신숙주, 성삼문 같은 젊은 집현전 학자들이 훈민정음 창제를 도왔을 거라고 보는 역사가들도 있어요.

정의공주가 도왔을 거라는 주장은 죽산 안씨 가문의 족보인 '죽산 안씨 대동보'에 적힌 내용을 토대로 하고 있어요. 죽산 안씨 가문은 정의공주의 시댁이에요. 이런 내용이 소설이나 TV 드라마로 다뤄지기도 했지요.

◇세종의 사랑을 받았던 정의공주정의공주는 어떻게 세종대왕을 도왔을까요? 세종대왕과 왕비 소헌왕후 심씨 사이에는 아들 8명과 딸 2명이 있었어요. 정의공주는 그중 둘째 딸이었어요. 세자 향의 누이동생이자 수양대군의 누나였어요. 맏딸 정소공주가 13세 나이로 일찍 죽어서, 둘째 딸인 정의공주가 세종의 각별한 사랑을 받으며 자랐다고 해요. 훗날 죽산 안씨 가문의 안맹담(安孟聃)이라는 선비와 결혼해 궁궐 밖에 살면서도 세종대왕의 사랑과 관심을 받았어요.

'조선왕조실록'에는 '정의공주는 성품이 총명하고 지혜로웠다. 역산(曆算)에 밝아 세종이 사랑하였다'는 정도로만 기록돼 있어요. 지금으로 치면 천문학과 수학을 아주 잘했다는 뜻이에요.

하지만 '죽산 안씨 대동보'에는 더 자세한 기록이 담겨 있어요. 세종대왕은 훈민정음을 창제할 때 우리말의 다양한 발음을 담으려면 어떤 모음과 어떤 자음을 만들어야 하는지 깊이 고민했다고 해요. 여러 대군에게 물어봤지만 다들 뾰족한 답을 내놓지 못했는데, 정의공주가 명쾌한 답을 내놓아 세종대왕이 크게 기뻐하며 칭찬했다고 해요.

다만 '죽산 안씨 대동보'는 나라에서 작성한 공식 기록이 아니라, 한집안의 사사로운 기록이라 역사 연구 자료로 쓰기에 어디까지 얼마나 신뢰하는 게 좋을지 논란이 있어요. 무엇보다, 세종이 자식들에게 던진 질문이 정확히 어떤 것인지, 정의공주는 구체적으로 뭐라고 대답했는지에 대한 기록이 없어 아쉬워요. 혹시 후손들이 공주의 공적을 너무 부풀려서 적은 것은 아닐까 의심하는 학자들이 있지요.

전세계적으로 가장 우수한 문자인 한글.

한글은 현재를 살아가는 후손들에게도 가장 직접적이고 강력한 영향을 끼치는 발명품이다.

세종대왕의 애민정신의 연장선상에서 한글창체를 알고 있는 사람이 많은데, 실제로 한글창제는 다양하고 복잡한 배경과 필요성에 의한 것이었다.

한글의 창제원인은 크게 3가지로 요약될 수 있다.

1. 한자의 보조수단

조선은 중국에서 유입된 한자를 나랏글로 사용했지만 중국인에게 직접 배울 기회는 없었기 때문에 뜻은 알아도 음을 읽는데엔 어려움이 있었다.

즉 한자를 자유자재로 읽고 쓰는 데 제약이 있었고, 이는 손쉬운 발음기호표의 필요성을 대두시켰다.

한글은 한자를 제대로 읽을 수 있는 보조수단인 '발음기호'의 역할을 수행하게 위해 만들어졌다.

세종대왕이 한글을 왜 만드냐고 따지는 최만리에게 "내가 운서를 바로잡지 않으면 누가 바로잡겠는가?" 라고 답한 것이 그 근거가 된다.

실제로 조선왕실은 내내 한자를 나랏글로 사용했으며, 한글은 천한 문자라는 '언문'으로 비하되어 양민 이하의 사람들에게만 통용되었을 뿐이었다. 

왕실, 종친, 양반들은 여전히 한자로 소통했다.

2. 백성을 위하여

대부분의 사람들이 알고 있는 이유이다. 

조선의 평민들은 어려운 한문을 몰랐기에 나라의 법도를 몰랐고, 그 때문에 자신의 행동이 잘못이라는 것 역시 모른 채로 벌을 받거나 처형되는 경우가 부지기수였다고 한다.

이를 안타깝게 여긴 세종대왕이 백성들도 쉽게 배우고 쓸 수 있는 글자를 만들고자 했고 이것이 한글 창제로 이어진 것이다.

훈민정음 헤례본에는 

한글은 닭울음소리나 개짖는 소리까지 모두 표현해 쓸 수 있으며 지혜로운 사람은 반나절만에 이해하고, 어리석은 사람도 열흘이면 깨칠 수 있다고 나와있다. 

그만큼 쉽고 실용적인 문자이다. 독창적이고 과학적인 것은 덤!

한글로 인해 일반 백성들은 글로써 자유롭게 소통하게 되었다. 1968년에 공식나랏글로 지정되어 단기간에 문맹률을 제로 가까이 떨어트리는데 큰 공헌을 했다.

3. 조선왕조의 정당성 홍보

한글은 양반들의 한자 활용에 큰 도움을 주었다. 평민들도 배우기 쉽고 자유자재로 쓸 수 있는 문자를 얻었다.  

평민들은 비로소 나라의 법령과 규칙들을 알게 되었고, '무지'로 인한 화를 피할 수 있었다. 또 다양한 교육을 받는데도 한글이 사용되었다.

곧 일반 백성들은 '한글' 이라는 하나의 구심점을 갖게 되었고, 왕실에서는 <용비어천가>를 펴내기에 이른다.

<용비어천가>는 고려를 멸망시키고 조선을 세운 것은 하늘의 뜻이라는 정당성을 내포하고 있으며, 쉬운 노랫말로 구성되어 일반백성들도 쉽게 따라부를 수 있었다. 

왕조가 세워진 지 얼마 안 된 시점에서의 최선이자 가장 강력한 왕조 홍보 방법이었을 것이다.

역성혁명과 고려의 잔존세력을 제거하는 과정에서 불거진 불안정한 민심을 수습하고 왕조의 정당성을 홍보하는 일.

어쩌면 이것이 가장 절실한 이유였을지도 모른다고 다수의 학자들은 말한다.

백성을 가르치는 바른 소리, 훈민정음

세계에서 유일하게 창제일, 창제자 그리고 창제의 기본원리가 알려져 있는 문자인데요.

세종대왕은 어떠한 이유로 훈민정음을 만들게 된 걸까요?

세종 10년, 진주의 김화라는 사람이 아버지를 살해했다는 상소를 본 세종은 "아버지를 살해하는 일은 충효를 모르는 백성의 어리석음에서 일어난 일이다." 라고 탄식하며 조선과 중국의 효자 충신 열녀를 뽑아 그 행적을 글과 그림으로 남긴 삼강행실도를 편찬하게 합니다.

그러나 그림만 보고서는 백성들이 충효의 깊은 뜻을 깨닫지 못한 다는 것을 알게 된 세종은 백성이 쉽게 익힐 수 있는 글자를 창제할 결심을 하게 됩니다.

이에 세종은 집현전 학자들과 함께 10여년의 시간동안 노력한 결과 기억, 미음, 시옷 말을 발성하는 발음기관의 모양을 본 따 자음 17자

태양, 땅, 사람 즉 자연의 조화를 본 따 만든 모음 11자

총 28자의 훈민정음을 창제하고 마침내 1446년 음력 9월 10일 훈민정음을 반포하게 됩니다.

"어리석은 백성들이 생각하는 것을 표현하지 못함에 스물여덟 자를 만들어 모든 사람들이 쉽게 익히어 편하게 하고자 할 따름이다."

자신의 억울함을 표현하지 못하는 어리석은 백성들의 마음을 안타까이 여겨 문자를 창제한 왕 세종.

그는 10년 넘게 밤낮없이 한글창제를 위해 노력하다가 눈까지 어두워지고 마는데요.

훈민정음에는 자신보다 백성을 먼저 생각했던 성군 세종대왕의 애민정신이 담겨져 있습니다.

[저작권자(c) YTN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Toplist

최신 우편물

태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