삼국지 등장인물 수 - samgugji deungjang-inmul su

 

사람들은 대개 일반적으로 '삼국지연의'에는 400여 명의 등장인물이 나온다고 한다.

이러한 상식은 삼국지연의를 배우거나 가르치는 연구하는 사람들의 생각속에

굳어져 있는 오류라고 할 수 있다.

우선 '삼국지종료'에는 총 511명의 삼국지 인물이 등장한다.

허나 이것도 대충 짐작해서 정리해낸 숫자로서 결코 정확한 것이 아니다.

또한 '삼국지종료'는 진수의 삼국지를 베껴낸 것으로서

진수의 삼국지 또한 정확한 사실이 아님을 알수있다.

그렇다면 '삼국지연의'의 등장인물은 몇명일까?

'삼국지사전'의 [인물]부분 에서는 총 1259명의 인물이 정리되어 있다.

이것도 아주 사실은 아니나 제일 비슷한 추세라고 할수있다.

삼국지에는 동일한 이름이나 호칭으로 불린 26개의 명칭을 제외하고

실제로 등장하는 사람은 1233명이 된다.

또 성씨와 이름이 정확히 나오는 사람도 1000여명이니

1259명이란 내용이 제일 정확할 것이다

(허나 장비에게 채찍질을 당한 독우 같이 잠깐 나왔다 없어지는사람은

 애초에 포함시키지 않았다)

삼국지등장인물 ( 1233) (가나다 순)

촉나라(유비)

위나라(조조)

오나라(손권)

간옹

강유

경애황후

공지

관색

관우

관이

관통 (촉한)

관평

관흥

극정

동윤

등지

마대

마량

마막

마속

마승

마초

맹달

맹획

목황후

미축

방통

번건

법정

부융

부첨

비의

소열황후

엄안

왕보

요화

위연

유리

유봉

유비

유선 (223)

유선 (후주)

유순

유순 (촉한 황족)

유심

유영 (촉한)

유요 (촉한)

유장

유종 (촉한)

유찬 (촉한)

이엄

장남 (촉나라)

장비

장서

장소 (촉나라)

장완

장준 (촉한)

장포 (촉나라)

장황후

정기 (삼국지)

제갈경

제갈교

제갈균

제갈량

제갈반

제갈상

제갈첨

조광 (촉한)

조운

조통

주창

진수 (사람)

초주

하후패

황부인

황충

황호

가규

가충

가후

강유

곽가

곽순

곽회

관구검

관구수

극정

당자

두예

등애

등충

만총

모개

문빙

문소황후

문앙

문호

방덕

방회

사마사

사마소

사마염

사마유

사마의

사마주

사찬

서서

서황

순욱

순유

신비 (후한)

악진

양수 ()

양추 (서량)

양호

완적

왕쌍

왕준 (서진)

왕창 (위나라)

왕혼

우금 (문칙)

위관 (인물)

유엽 (위나라)

이전 (위나라)

장간

장료

장제 (위나라)

장합

장화 (서진)

전위 (사람)

정욱 (위나라)

제갈탄

조모

조방

조비

조순 (위나라)

조식 (자건)

조앙

조예

조인

조조

조충

조홍 (위나라)

조환

종요

종회

주태 (위나라)

진군

하후덕

하후돈

하후연

하후위

하후패

한종

허의

허저

헌목황후

혜강

감녕

감택

노숙

능조

능통

당자

대교

도준

도황

만욱

보천

복양흥

사섭

상광

서성 (오나라)

소교

손견

손고

손등

손려

손분 (자양)

손수 (오나라)

손영

손익

손책

손패

손해 (오나라)

손호

손화

심영 (오나라)

여몽

오언

유장

육손

육항

잠혼

장굉

장소 (오나라)

장제 (오나라)

장포 (오나라)

정보 (삼국지)

정봉 (동생)

정봉 ()

제갈각

제갈근

제갈반

제갈정

조무

주방 (오나라)

주유

주태 (오나라)

태사자

태사향

한당

한종

황개

유비 - 촉의 황제 , 소열제 이릉에서 육손에게 크게 패하고 백제성에서 운명

관우 - 복사꽃 핀 나무아래서 유비와 함께 도원결의를 맺었던 촉의맹장

장비 - 마찬가지로 유비와 의형제

제갈량 - 촉의 승상으로 , 천하삼분지계로 유비를 촉황제에 오르는데 크게 기여

조운 - 공손찬의 사람으로 , 공손찬의 원소와의 전투에서 패배한뒤 유비에게 귀순

방통 - 제갈량과함께 둘중한명을 얻으면 천하를 얻는다라는 말과함께 복룡봉추 라고불리웠는데

방통이 봉추인 새끼봉을 뜻함 적벽대전에서 연환계로 조조군 격파에 기여했음

황충 - 유비가 데려온 촉의 노장

마초 - 서량의 마등의 아들로 아버지가 조조에게 죽고난뒤 , 조조와 결전을하다 패하자 유비에게 귀순

강유 - 제갈량의 북벌전에서 위의 장수였던 강유를 알아보고 제갈량이 등용하게됨 , 제갈량의 후계자

장익 - 유비의 휘하장수로 유장의 사람이었음 한중전투때 공을 세움

법정 - 촉의 책사

비위 - 촉의 책사로 제갈량이 죽기전 추천한인물

유선 - 유비의 아들

유봉 - 유비의 양아들

맹달 - 유비의 장수였으나 관우가 죽게 방치해두자 유비가 크게노함 그러자 위나라에게 귀순함

오란 - 위의 장수였으나 한중전투때 유비군에게 귀순

뇌동 - 오란과 마찬가지로 유비에게 귀순

요화 - 관우가 단기천리로 유비의 가족을 마차에 태우고 유비를 찾아나섰을때 관우를 따른 장수

장저 - 유비의 휘하장수

임기 - 유비의 휘하장수

마량 - 마등의 아들로 이마에 흰터럭이 나있음 유비군에게 귀순

마등 - 서량세력 , 조조를 역적이라 칭하고 유비와 한나라 충신들과함께 거사를 준비했음 , 그러나 죽음

마속 - 유비의 장수 가정전투에서 크게 패하고 제갈량에게 참수당함 , 읍참마속

위연 - 유장의 사람으로 유비가 서주를 얻었을때 유비의 휘하장수가됨

조조 - 어지러운 난세에 세력을 키워 헌제를 보좌하게됨 , 승상이된뒤 권력을 휘두르나 적벽대전에서 크게패함

순욱 - 조조가 등용한 위의 책사

곽가 - 실제로 사람을 보는 눈이 뛰어났고 지략에도 능했음 위의 책사

순유 - 위의 책사

조창 - 조조의 아들

조비 - 조조의 아들로 위의 황제가됨

조식 - 글쓰는 재주에 탁월했다. 조조의 아들

조예 - 조비의 아들로 위나라 황제

하후돈 - 조조와는 오랜벗이다

하후연 - 하후돈의 친척 동생

서황 - 조조가 등용한 장수로 전략에 능했다

장합 - 마찬가지로 조조의 휘하장수이다 전략에 능했다

장료 - 여포의 휘하장수였으나 여포가 조조에게 패한뒤 절개를 지키려하자 조조의 정성을보고 귀순

악진 - 조조의 휘하장수

우금 - 조조의 휘하장수로 조조가 장수에게 패했을때 목책을세워 막아냈다

허저 - 조조의 휘하장수 , 무력에 능했다

한호 - 한중전투때 싸웠던 인물

양수 - 조조가 한중전투에서 지고있을때 양수에게 계륵이란 말을 했는데 , 이 계륵은 한중땅은 버리긴 아깝고 남주기도 싫은 그런땅이다. 라는 뜻을 직감하고 철수 명령을 내렸다. 그러자 조조가 양수를 참수했다.

철수명령을 내렸다고 참수한게아니라 양수가 자신의 생각을 꿰고있자 적대심을 느낌

손권 - 동오의 황제 , 손견의 아들이고 손책의 동생

주유 - 적벽대전에서 조조군을 격파한 오의 명장

감녕 - 오의 명장

태사자 - 손책과 무력으로 겨뤘는데 손책은 태사자에게 반하여 태사자를 데려온다

육손 - 이릉대전에서 유비의 대군을 격파한 오나라의 명장

제갈근 - 오나라의 책사로서 제갈량의 형이다

황개 - 적벽대전에서 고육계로 적을 믿게한뒤 화공으로 적을 불사질렀다

주태 - 오나라의 명장으로 이릉대전에서 유비군과 대치했다

여몽 - 관우를 죽이는데 육손의 힘을얻어 꾀를내어 위나라군과 관우를 궁지에몰았다

반장 - 관우와 싸우는데 공을기여한 오의 장수로 관우의 청룡언월도를 가지게 되지만 관우의 아들인 관흥에게 베이고 만다

여포 - 왕윤의 양아들이었으나 왕윤을 죽이고 동탁에게 귀순을 하는 패륜을 범한다

삼국지 연의에서 여포의 무력을 따라갈사람은 없다고 생각된다

결국 조조에게 붙잡혀 죽게된다

고순 - 여포의 휘하장수였다

진궁 - 미련한 여포를 보좌한 책사로서 끝까지 여포에대한 절개를 지켰다

원소 - 명문가의 아들로 조조와도 오랜친구이다 조조를 격파하기위해 방을붙여 병사를 모집하여 대군을 이끌게된다 하지만 지게됨으로써 죽는다

원술 - 원소의 친척동생 , 손견이 옥새를 가졌을때 손책에게 넘기고 손책이 다시 군사를 빌릴때 원술에게 주게된다 옥새를가짐으로써 스스로 황제가되자 여러 제후들이 그를 죽이려고 나선다 결국 죽게된다

안량 - 원소의 휘하장수로 관우에게 베임

문추 - 마찬가지로 관우에게 베임

유장 - 우유부단한 성격으로 서촉의 주인 , 유언의 아들임 유비에게 서촉을 빼앗김

장로 - 한중의 주인이었으나 조조에게 뺏기고만다

방덕 - 마초의 휘하 장수였으나 마초가 유비에게 귀순하고난뒤 장로옆에서 싸우다 조조에게 사로잡혀 항복한다

가후 - 조조의 책사

손견 - 한의 제후로서 사수관에서 화웅과 대치하게된다

화웅 - 동탁의 휘하장수 관우에게 베임

이유 - 동탁의 책사이다

초선 - 여포가 사랑한 여자

동탁 - 십상시가 죽고나자 제후들이 속속히 모여들었는데 동탁이 권력을 장악하자

제후들과 동탁 사이의 호로관전투가 벌여졌다

공손찬 - 유비와는 어릴때부터 같은 스승을 모시던 형과 동생의 사이이며

원소와 계교전투에서 백마기병을 이용해 싸웠지만 패하고 달아나자 원소는 공손찬을 추격해 역경전투에서 승리를 거둔다

공손월 - 공손찬의 동생으로 공손월의 죽음으로 인해 계교전투가 시작된다

주창 - 연의에서 만든 가상인물 , 촉나라의 장수

국의 - 계교전투에서 원소를 도와 궁병을 이끌고 백마기병을 격퇴한다

다들 황충이나 하후연을 보고 궁술의 신이라고 칭하지만 국의가 진정한 궁술의 신이라고 생각된다. 그가 궁병을 이끄는 지휘력은 대단했다

전풍 - 계교전투를 도운 원소 휘하장수 

도겸 - 한나라의 제후로서 권력가

고람 - 원소의 휘하장수로 관도대전에서 싸운 장수

순우경 - 원소의 휘하장수이다 당시 원소군의 군량고를 맡고있었는데 조조의 계책에 당해 장료가 군량고를 습격하게된다 순우경이 군량고가 털림으로써 원소는 패망하게된다 순우경은 위군에게 귀가잘린다

조홍 - 조조군의 휘하장수

조인 - 조조군의 휘하장수로 적벽대전 이후에 형주를 지켰는데 주유와 대치전이 벌여졌다 결국 주유에게 패했다

주유가 성을 먹으려하자 제갈량이 먼저 성을 취해있었다

조진 - 제갈량의 북벌전을 막았던 위의 장수로 제갈량에게 속수무책 당했었다

사마의 - 위의 사람으로 제갈량과 대치했지만 패했다 호로곡에서 화염속에서 죽을뻔한 사마의를 비가 내려 살리자 제갈량이 '꾸미는것은 사람이되 이루는것은 하늘이구나' 라고 말한적있다

등애 - 촉을 침공한 인물 강유가 지키는 검각을 뚫지못하자 음평을 통해 들어가 유선에게 항복을 받아낸다

종회 - 종요의 아들로 촉나라 강유와 대치했던인물

사마소 - 사마의의 아들 위나라를 삼킴

사마사 - 사마의의 아들 위나라를 삼킴

손호 - 오의 4대 황제 손권때의 기상과는 전혀 알아볼수없을정도로 나라를 망쳐놓는다 밥먹듯이 축제벌이고 여자들하고 노닥거리는데 국력 다소모한 실성한 왕으로 결국 동오침공전에 맥없이 털리고만다

장각 - 황건적 무리

장량 - 황건적 무리

장보 - 황건적 무리

사마염 - 사마의의 손자로 위나라의 정권을잡아 위나라를 멸하고 진나라를 세운다

Toplist

최신 우편물

태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