프로젝트 결과보고서 작성 안내 - peulojegteu gyeolgwabogoseo jagseong annae

티스토리 뷰

프로젝트 결과 자료 정리

  • 각 단계별 데이터 정리를 통하여 내용을 문서화할 수 있다.
  • 완료 후 업그레이드나 수정 가능한 부분에 대하여 정리할 수 있다
  • 클라이언트에게 제시할 프로젝트 결과 자료를 정리할 수 있다.

데이터 정리의 정의

정리와 정돈의 차이

  • 정리: 필요 없는 것을 버리는 것. 그러므로 필요 없는 산출물이 나오지 않으면 정 리한 것이 아니다. 따라서 필요한 데이터를 판단하는 능력이 필요하다.
  • 정돈: 정리해 남은 것에 바로 꺼내 활용할 수 있도록 인덱스를 붙이는 것. 유관 부 서, 외부 업체와 협업 과정누구라도 꺼낼 수 있도록 준비해야 한다.
  • 데이터 정리는 산출물 정리를 위해 필요한 데이터를 선별하고 목록화 시키는 과정 전반을 말한다.
  • 의미 없이 나열된 데이터는 정리의 의미가 없다. 정리 정돈되고 구조화된 데이터에 서 필요한 정보를 판단하여 보존과 폐기 여부를 결정한다.

데이터 분류

    • 작업 단계의 명확한 분류, 정리 정돈의 정량적 분류, 산출물 흐름을 관리할 수 있도 록 분류체계를 수립한다.
    • 각 산출물은 산출물의 제작 흐름에 따른 ID를 부여하여, 이전 단계 산출물 관련 ID 로 산출물간의 연관성을 추적하기 쉽도록 구성한다.
  • 업무 단계별 작업자가 모든 산출물의 특정한 부분에 일정한 양식에 따라 문서 정보 (Raw Data, Meta Data)를 기록했는지 점검하고 확인한다.
  • 폴더명과 파일명은 프로젝트 초기 디자인 작업 전에 산출물의 네이밍 규칙 정의서 에 따라 협의하여 결정해 적용하고, 그 준수 여부를 수집 단계에서 확인해 두어야 한다.

데이터 관리 기법

각 프로젝트 단계에서 세부 태스크에 이르기까지 하향식 계층적 구조로 편성한다.

작업 단위별 색인을 수행한다. 작업단위는 각각 고유의 색인을 갖고 있으며, 색인의 구 조는 다음과 같다

  • 첫번째 숫자는 단계 번호이다.
  • 두번째 숫자는 세그먼트 번호이다.
  • 세번째 숫자는 태스크 번호이다/li>
  • X는 방법론 유형을 나타낸다.

방법론 유형코드를 통해 데이터의 유형을 분류할 수 있다.

  • Client/Server 개발시스템 : C
  • Host/Based 개발시스템 : H
  • Small Project 개발시스템 : S
  • Rapid 개발시스템 : P
  • Packaged 개발시스템 : L

프로젝트 결과 보고서 작성

  • 프로젝트 각 단계별 데이터를 정리하여 내용을 문서화할 수 있다
  • 프로젝트 완료 후 업그레이드나 수정 가능한 부분에 대하여 정리할 수 있다.
  • 클라이언트에게 제시할 프로젝트 결과보고서를 작성할 수 있다.

결과 보고서

프로젝트 결과 보고서 작성에서는 프로젝트 진행 중 산출물에 영향을 준 내․외부적 원인들 에 대한 설명이 함께 포함되어야 한다. 또한 향후 유사한 프로젝트를 진행하거나 담당자 가 교체되더라도 충분히 이해될 수 있도록 관계적으로 기술하여야 한다. 결정적 판단에 의해 프로젝트의 방향이 크게 바뀐 경우는 물론이고, 작은 변경 이슈들에 대한 내용도 구 체적 산출물에 근거하여 정리한다. 결과보고서에는 다음과 같은 내용들이 포한되어야 한다.

  • 프로젝트 수행 목적: 프로젝트의 정의 및 배경, 목표를 명시한다.
  • 프로젝트 결과물의 개요: 프로젝트의 구조 및 결과물에 대한 설명을 기술한다
  • 프로젝트 수행 추진 체계 및 일정: 각 팀원들의 조직도 및 역할 분담과 수행 일정을 표기한다.
  • 프로젝트 결과에 대한 내용을 적시한다.

유지 보수

  • 디자인 측면 : 클라이언트의 요구가 가장 많은 부분으로, 부분 이미지 교체나 페이 지 추가, 계절 분위기 조정, 콘텐츠 변경과 교체, 팝업 등이 해당한다. 디자인팀 영 역이다.
  • 향후 유사한 프로젝트를 진행하거나 담당자가 교체되더라도 충분히 이해될 수 있도 록 관계적으로 기술한다
  • 결정적 판단에 의해 프로젝트의 방향이 크게 바뀐 경우는 물론이고, 작은 변경 이 슈들에 대한 내용도 구체적 산출물에 근거하여 정리한다.

프로젝트 결과보고서 작성방법 공개

사회 생활을 하다 보면 정말 중요한 규모 있는 과제를 맡게 될 경우가 있다. 주로 회사의 큰 정책이나 방향을 결정하는 일인 경우가 그렇다. 대부분의 사람들은 이렇게 큰일이 떨어지면 어떻게 할지 몰라 고민만 하다가 실제 업무진행은 제대로 하지 못하는 일이 다반사다. 또 시작을 하더라도 주먹구구식으로 접근하다가 방향이 틀려서 다시 돌아오고, 다시 시작하고를 반복하다가 결국 기간을 어겨서 프로젝트가 실패로 끝나는 경우도 많다. 이러한 경우는 대부분 능력의 차이라기보다는 문제를 풀어가는 절차를 몰라서 발생하는 실수이다. 따라서 문제해결절차만 알아도 성공확률을 크게 높일 수 있다. 사진 Eric Fischer

□ 대형프로젝트 문제해결 진행절차

대형 프로젝트를 성공적으로 이끄는 비결을 정리하면 아래와 같다. 프로젝트마다 성격이

다를 수 있지만 보통 아래의 절차를 거치면 대부분 문제없이 해결이 되는 경우가 많다.

1. 프로젝트를 왜 하는지 목적을 깊이 있게 생각해 한두 문장으로 압축한다.

2. 프로젝트를 진행하기 위해 필요한 Activity를 브레인스토밍 방법으로 쭉 써본다.

3. 각 Activity에 일정을 붙여서 간트차트를 만든다.

4. 머릿속에서 맴도는 각종 방안들과 이슈들을 간략하게 정리해 이슈토의 문서를 만든다.

5. 주요 이해관계자를 모아서 전반적인 현황에 대해 이슈토의 회의를 진행하고 회의록을

정리한다(브레인스토밍도 괜찮다).

6. 직관을 동원해 가설을 세운다.

① 문제의 원인을 생각하고, 개선방향을 대략적으로 정하면서 논리의 고리를 만든다.

② 5W1H를 고민한다. 특히 How를 집중 고민한다.

③ 초안의 보고 목차를 이때 1차적으로 작성한다.

7. 깊이 있는 조사분석을 통해 근본원인을 분석하고 대책을 제시한다.

① 근본원인 분석을 위해 설문 · FGI · 문헌조사를 실시한다.

포커스그룹인터뷰(FGI)와 같이 사람을 만나는 방식이 구조화는 어렵지만 가장 깊이 있는

정보를 얻을 수 있다. FGI는 앞에서 이야기한 이슈토의 회의로 대체할 수 있다.

실제 현업에서는 대부분 이슈토의 회의로 대체한다.

② 조사된 자료를 통하여 가설을 검증한다.

③ ECRS를 활용해 대안들을 정리하고 조정한다. Eliminate(제거), Combine(통합),

Rearrange(교환), Simplify(간략화)을 의미한다.

8. 주요 이해관계자를 모아서 이슈토의 회의를 진행하고 점진적으로 대안을 다듬으면서

회의록 정리한다(브레인스토밍도 괜찮다).

9. 보고자(고객)가 누구인지부터 분석해 보고의 방식(문서형식, 설명방식 등)을 결정한다.

10. 보고서 틀을 작성한다.(여러 명의 공동작업일 경우 틀을 정리하는 것이 효과적이다).

11. 세밀한 목차를 작성한다.

12. 전달할 Story를 서술 식으로 반 페이지 정도 작성하거나 1Page 보고서로 정리한다.

13. 작성된 Story를 파워포인트의 헤드라인으로 작성한다.

14. 부연 설명할 수 있는 각종 도표, 그래프 등을 헤드라인 아래 배치한다.

15. 1차적으로 작성된 보고서를 주요 이해관계자와 모여 세밀하게 점검하면서 다듬는다.

16. 보고 시 이슈가 될 만한 사안들에 대해 추가적인 자료조사나 방안 등을 고민해서 수첩에

적어두거나 복사물로 가지고 있는다.

17. 구두 보고할 핵심적인 메시지를 구상하고, 보고의 처음부터 끝까지의 장면을 머릿속으로

시뮬레이션 해 본다.

18. 최종적으로 요약보고서와 결과보고서를 작성해 의사결정권자에게 보고한다.

대형기획 프로젝트의 경우 위의 과정을 전부는 아니더라도 대부분 몇 단계씩은 거치게 된다.

초보자는 최종보고서를 처음부터 만드느라고 종이 한 장을 붙잡고 막막해서 진도를 못 나가는

경우가 많다.

시니어 기획자가 되기 위해서는 이러한 18단계의 과정을 습관적으로 활용할 수 있도록 노력해야

한다. 중요한 기획업무를 맡았을 경우 위에 기록된 18단계를 다시 한 번 검토하면서 일을 추진해

나가도록 하자. 노력한 만큼 값진 결과가 나올 것으로 확신한다.

Toplist

최신 우편물

태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