라즈베리파이 콘솔 한글 - lajeubelipai konsol hangeul

출처 : //nimtemdo.tistory.com/44

이번에는 라즈비안 OS에 한글을 설치하는 방법입니다.

그런데 이건 설명해야 될 부분이 상당히 많기 때문에 제 블로그에 있는 것들 중 글이 가장 길것 같습니다.

잘못 써졌거나 추가적으로 설명해야 하는 부분이 있으면 댓글로 적어주세요.

▲ 일단 터미널에 들어가 봅시다.

전에도 말했듯이 라즈비안 OS를 다루게 되면 터미널을 지겹게 보게 된다고 말씀드렸습니다.

sudo apt-get upgrade

를 입력하여 우선 라즈비안OS 를 업데이트 해 봅시다.

이런 식으로 명령어를 입력해서 진행을 하게 되는데 명령어의 뜻은 추후 알려드리겠습니다.

한글이 보여야 한글을 입력하든 하겠죠?

sudo apt-get install ttf-unfonts-core

를 입력하여 한글을 보이게 해 줍시다.

수정(2019-08-08)

언제부턴가 sudo apt-get install ttf-unfonts-core를 입력하면 

package ttf-unfonts-core is not available, but is referred to by another package.

This may mean that the package is missing, has been obsoleted, or

is only available from another source

However the following packages replace it:

fonts-unfonts-core

E: Package 'ttf-unfonts-core' has no installation candidate

라고 뜨면서 설치가 되지 않습니다.

그렇기 때문에 아래와 같은 명령어를 입력 해 주시면 됩니다.

sudo apt-get install fonts-unfonts-core

입력하고 Enter를 누르면 이런 문장이 뜨는데 이때 Y를 쓰고 Enter를 누릅니다.

▲ 이렇게 시간이 지나고 나면 설치가 완료되었습니다.

▲설치가 완료 되었으면 한국어가 적힌 아무 사이트로 들어가 확인합니다.

제대로 설치되었다면 이런 식으로 한글이 잘 나오게 됩니다.

이제 한글이 잘 나왔다면 이젠 한글을 입력 할 수 있어야겠죠?

다시 터미널을 실행하여 이제 아래의 문장을 입력하여 ibus를 설치해 봅시다.

sudo apt-get install ibus

그런데 ibus를 왜 설치해야 하는가?

리눅스(유닉스) 계열 운영체제를 사용 해 보면 아시겠지만 ibus를 사용하지 않으면 영어밖에 입력이 되지 않습니다.

이것도 y/n을 묻는 문장이 나오는데 아까처럼 y를 입력하고 Enter를 누릅시다.

IBus의 설치가 완료되고 나면 라즈비안OS의 시작메뉴(?)에 IBus Preferences가 생길 겁니다.

그 다음 아래를 입력해서 IBus의 한글을 설치 해 봅시다.

sudo apt-get install ibus-hangul

중간에 또 다시 y/n을 묻는 문장이 나오는데 이건 아실거라 보고 건너뛰겠습니다.

설치가 완료되었으면 재부팅 합시다.(재부팅 하는 방법은 아실거라 믿고 쓰진 않을겁니다.)

재부팅 하였으면 라즈비안 OS 메뉴 -> Preferences -> IBus Preferences 로 들어갑니다.

그렇게 되면 이런 창이 뜹니다.

이제 그 다음 Input Method 로 넘어갑시다.

Add를 누릅니다.

그렇게 되면 이렇게 나오는데(일본어는 바로 나오면서 왜 한국어는 바로 안나오는걸까?)

을 누른 뒤 Korean 이라는 단어를 찾읍시다.

그 다음 Hangul을 선택합시다. (선택지가 그것 밖에 없겠지만)

그렇게 되면 한글 입력기 설치도 완료되었습니다.

위쪽에 있는 US 아이콘을 클릭하여 Hangul로 맞춰 주시길 바랍니다.

한영전환은 그냥 한/영키를 이용해서 변환 하면 됩니다.

이렇게 되면 한글 입력기 설치도 완료되었습니다.

이제 시스템 언어에 한글도 나오게 해 봐야 할텐데요

라즈비안OS 메뉴 -> Preferences -> Raspberry Pi Configuration 으로 들어갑시다.

그리고 Localisation으로 들어가 봅시다.

그리고 Set Locale을 클릭합니다.

그리고 ko(Korean)을 찾아 클릭합니다.

어짜피 한국어를 쓰는 나라는 한국밖에 없기 때문에 Country는 건들게 없습니다. 

그리고 OK를 클릭합니다.

그 다음 Set Timezone을 클릭합니다.

Area에는 Asia를 선택하고 Location에는 Seoul을 선택합니다.

그리고 OK를 누릅니다.

Set Keyboard는 아까전에 Ibus 설정하면서 설정해놨기 때문에 건너뜁니다.

Set WiFi Country는 건들게 되면 WiFi를 사용할 수 없습니다.(WiFi County는 영국으로 설정 되어 있음)

OK를 누르게 되면 재부팅 하라는 메세지가 뜨는데 Yes를 눌러 재부팅합시다.

재부팅 하면 이렇게 부분적이긴 하지만 한글화가 된 것을 볼 수 있습니다.

그리고 한글도 잘 입력됩니다.

Toplist

최신 우편물

태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