라이언전 공동작업 - laieonjeon gongdongjag-eob

‘나야 나’ ‘프로듀스 101’의 인기의 중심에 선 작곡가 라이언 전

이효리의 ‘치티치티뱅뱅’으로 데뷔 이후 SM 샤이니·소녀시대 태연에게 최적의 곡 선사

걸스데이에 이어 신인그룹 VAV의 총괄프로듀서로서도 역량 돋보여

작곡팀 시스템을 활용해 ‘대중성’이라는 효과까지 동시에 잡아내는 강점

단돈 20만원을 들고 한국에 온 꿈꾸는 청년 이력...프듀 연습생들에게 진정성 더해

아티스트의 드라마에도 집중한 작곡가의 기량, ‘프로듀스 101’ 측이 꿰뚫어 봐<b

[SE★기획] 진정한 ‘프로듀스101’의 선택은 라이언 전?…‘두 시즌을 이끈 그의 힘’시작 전부터 말도 많고 탈도 많았지만, ‘프로듀스 101’의 인기는 시즌 2에도 여전했다.

자기 PR 영상을 포함해, 프로그램이 방송될 때마다 시청자들은 높은 관심을 보이며 참가자 가운데 옥석을 가리기 위해 집중하고 있다. 주제곡으로 등장한 ‘나야 나’ 역시 음원이 공개됨과 동시에 각종 음원차트의 상위권에 안착하며 영향력을 과시했다. 그리고 이러한 ‘프로듀스 101’의 인기와 함께 자연스럽게 작곡가 라이언 전에 대한 관심도 집중됐다.

viewer

작곡가 라이언 전/사진=서경스타 DB

2008년 이효리의 ‘치티 치티 뱅뱅(Chitty Chitty Bang Bang)’으로 데뷔한 라이언 전은 ‘프로듀스101’ 시즌1 당시 경연곡으로 ‘얌얌(Yum Yum)’, ‘핑거팁스(Fingertips)’, ‘크러쉬(Crush)’

등 3곡을 선보였을 뿐 아니라, 이후 아이오아이의 7인조 유닛의 타이틀곡 ‘와타맨(Whatta Man)’을 성공시켰다. 그리고 시즌 2에서는 주제곡인 ‘나야 나’까지 발표하며 ‘프로듀스 101’과 깊은 인연을 이어가고 있다.

현재 가요계에 수많은 작곡가들이 활동하고 있는 상황에서 ‘프로듀스 101’은 시즌 1에 이어 시즌 2까지 왜 라이언 전이라는 작곡가를 선택했을까. 이에 대해 제작진 측은 “지난 시즌에 선보였던 곡들이 프로그램의 콘셉트와 잘 맞아 떨어졌고 호평도 받았다”며 “그것에 힘입어 이번에도 ‘나야 나’를 작곡 했는데, 트레이너들도 이 곡에 대해 ‘중독성이 강하다’, ‘데뷔곡으로 해도 손색이 없다’라고 표현할 정도로 만족스러움을 표현했다”며 라이언 전의 음악에 대한 신뢰를 드러냈다.

제작진의 언급처럼 타이틀곡 ‘나야 나’는 EDM을 기반으로 한 프로그레시브 하우스 장르의 곡으로 ‘픽 미(Pick Me)’때보다 더욱 청량한 느낌을 자아내는 것이 특징이다. 여기에 ‘나야 나’라는 단어와 쉬운 멜로디의 반복은 듣는 이에게 청각적인 잔상을 남겨 더욱 쉽게 따라 부를 수 있게 하는 요소가 된다. 대국민의 선택과 지지를 필요로 하는 참가자들에게 딱 맞는 구색이 아닐 수 없다.

작곡가 라이언 전은 “매번 작업을 할 때 가장 중요하게 생각하는 점은 유행을 따라가기 보다는 발 빠르게 트렌드를 먼저 세팅하자는 것이 저의 음악관이자 철칙이다”며 “‘프로듀스 101’도 소진되는 일회성 곡을 만드는 것이 아니라, 앞으로 아이들이 아티스트로서 나아갈 방향에 대해서 생각하며 프로젝트를 진행했다”고 설명했다.

viewer

사진=CJ E&M

일각에서는 라이언 전이 발표한 곡의 대부분이 SM엔터테인먼트 소속 가수 위주였기 때문에 그들이 가진 팬덤이나 회사의 후광에 의해 작곡가로서의 실력까지 과대평가된 것은 아닌가 하는 의문을 제기하기도 한다.

물론, 뉴욕에서 한국으로 돌아와 수십 개의 회사의 문을 두드렸지만 매번 문전박대를 당하기 일쑤였던 그에게 유일하게 손을 내밀어줬던 SM이었기에, 라이언 전 역시 “SM 덕분에 현재 제가 있다”고 공공연하게 밝힐 만큼 깊은 애정을 갖고 있는 것이 사실이지만 그의 성공이 단순하게 ‘후광 효과’라고 단정 짓기에는 어폐가 있다.

실례로 샤이니는 라이언 전의 ‘루시퍼(Lucifer)’라는 곡을 통해 ‘산소 같은 너’, ‘링 딩 동’ 등에서 선보였던 시원함과 청량함을 유지하면서도, 기존의 소년의 이미지에 국한된 것에서 탈피해 한층 강인한 남성의 면모를 드러내며 향후 샤이니의 새로운 방향성을 제시했다. 소녀시대 태연 역시 첫 솔로곡 ‘아이(I)’에서 팀 활동과는 전혀 다른 몽환적인 분위기를 자아냄과 동시에 그녀의 강점인 보컬의 매력을 최대치로 끌어올렸다.

제 아무리 좋은 재료를 가지고 있다한들, 그 재료를 올바른 조미료와 조리법으로 다루지 못하면 음식의 맛이 좋을 턱이 없다. 음악 역시 다르지 않다. SM이라는 큰 테두리에 속한 좋은 가수들의 개성이 발현될 수 있었던 것은 해당 아티스트를 꿰뚫는 작곡가의 판단력도 한 몫했다. 특히 라이언 전은 이를 자신의 혼자의 판단에 의존하는 것이 아니라 작곡팀 시스템을 활용해 ‘대중성’이라는 효과까지 동시에 잡았다.

라이언 전은 “대중성은 무시할 수 없는 요소다. 그렇다고 절대 대중성에만 치중해서 곡을 만들지는 않는다”며 “작곡 팀으로 움직이는 저희의 최대 강점은 결코 고착되거나 패턴화되지 않는다는 점이다”고 설명했다.

viewer

걸스데이 /사진= 드림티엔터테인먼트

최근 1년 8개월 만에 성공적인 복귀를 치른 걸스데이의 경우도 마찬가지다. 2010년 라이언 전과 작업한 ‘잘해줘봐야’로 소위 말해 대박을 친 걸스데이는 ‘걸스데이 에브리데이 #5(GIRL‘S DAY EVERYDAY #5)’로 7년 만에 그와 다시 한 번 호흡을 맞췄다. 특히, 걸스데이 하면 떠오르는 특유의 이미지를 그대로 가져간 것이 아니라, 멤버들 속에 잠재된 모습을 끄집어 내 이전보다 더 넓어진 스펙트럼을 선보였다.

기세를 몰아 신인그룹 VAV의 총괄프로듀서까지 맡게 된 라이언 전은 여기에서도 독창성과 새로운 시도에 집중했다. 그는 지난 2월 VAV의 신곡 쇼케이스 당시 “새로운 도전을 해보고 싶었고, 신인을 제대로 만들어 주고 싶었던 생각이 많았다”고 전하면서 “요즘 아이돌들이 어둠이 몰려오는 것 같은 콘셉트를 많이 선보인다면 그와는 다른 새로운 시도를 해보고 싶어서 펑키한 곡을 접목시켰다”고 밝힌 바 있다.

이처럼, 가수 하나하나에 가장 최적화된 개성을 추구하면서도 대중성을 함께 아우르는 것은 라이언 전의 가장 큰 매력이다. 여기에 자신 역시 단돈 20만원을 들고 한국에 와서 노숙과 굶기를 반복하면서도 꿈을 위해 치달았던 과거가 있기에 ‘꿈을 꾸는’ 그리고 ‘꿈을 좇는’ 연습생, 신인들에게 더욱 마음이 쓰일 수밖에 없다. 그리고 이 마음은 곧 그들과의 작업에 진정성이라는 양념을 더하며 시너지 효과를 낸다.

물론, 결과물로 나온 음악이 가장 큰 요인이 되었다는 것에는 변함이 없겠지만, 기승전결을 가진 음악처럼 아티스트의 드라마에도 집중한 라이언 전의 능력까지 ‘프로듀스 101’ 측이 꿰뚫어 본 것은 아니었을까?

이제 겨우 ‘프로듀스 101’은 첫 발을 내딛었다. 수많은 미션과 트레이닝 과정이 참가자들을 기다리고 있는 가운데, 라이언 전이라는 든든한 조력자를 만나 좋은 출발을 알린 100명의 청춘들이 모쪼록 이 프로그램을 통해 마음껏 꿈을 펼칠 수 있는 기회를 만날 수 있기를 빌어 본다.

/서경스타 이하나기자

<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

최근 수정 시각 : 2022-10-28 21:41:52

라이언 전


{{{#!wiki style="margin:0 -10px -5px;min-height:26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6px -1px -11px"
CEO
라이언 전
ARTIST
}}}}}}}}} ||

<colbgcolor=#595959><colcolor=#fff> 본명 Ryan S. Jhun (라이언 세원 전)[1]
한국명 전세원
출생 1979년 2월 28일, 경상남도 진주시[2]
국적 미국
신체 183cm, 87kg
종교 개신교
소속 마켄 엔터테인먼트, A team 엔터테인먼트, 슈퍼벨컴퍼니[3]
별명 전사자[4]
링크

1. 개요2. 논란

3. 수상4. 기타5. 디스코그래피


[clearfix]

1. 개요

대한민국의 작곡가, 음악 프로듀서, A team 엔터테인먼트의 대표이사.

경상남도 진주에서 태어나 부산에서 15살까지 지내다가 1996년 미국 뉴욕으로 가족 이민을 가게 된다. 성인이 된 후, 2006년부터 미국에서 클럽 DJ일을 하면서 음악적 역량을 키우게 되고, 작곡가 일을 하기 위해 2008년 하반기에 한국으로 돌아왔다. 한국에 처음 와서는 곡을 만들고 노래를 알리려고 각 기획사를 방문해 데모곡들을 돌리고 그랬지만, 그의 심한 부산 사투리를 듣고 뉴욕에서 왔다는 그의 말을 믿지 않고 사기꾼으로 의심하는 경우도 많았다. 그렇게 문전박대를 당하다가 2008년 말 SM엔터테인먼트와 인연이 닿았고[5] 3년 계약에 전속 작곡가로 있게 된다.

입봉작으로 2009년 SHINee의 Get Down으로 데뷔했으며, 2010년에 당시 최고의 인기 가수인 이효리에게 Chitty Chitty Bang Bang 곡을 주기도 했다.[6] 그 후 수많은 아이돌들의 곡들을 작업하고 프로듀싱했다.

2021년 'MAXIS BY RYAN JHUN'이라는 자신의 프로젝트로 앨범을 내고 있다. 협업한 아티스트는 NCT U와 이달의 소녀.

2. 논란

2.1. 디시인사이드 댓글 논란

  • 라이언전, 女아이돌 성희롱 단어 사용 파문…"기분 나빴다면 미안" [종합]
  • ‘성희롱 논란’ 라이언전, ‘심야아이돌’ 출연 취소

2021년 5월 10일, 여자 연예인 갤러리 에서 자기가 작곡을 맡은 여자 아이돌 그룹들을 향해 '봊돌'이라는 단어를 사용한것이 뒤늦게 알려져 논란이 되었다. 해당 게시물

제목: 근데 라이언전 돈 급한가봐
내용: 주간봊 옴봊 우주봊 곧 나오는곡 다 작곡함 ㅋㅋ
라이언전 댓글1: 봊돌을잘하는거가틈
라이언전 댓글2: 돈은안급한데 ㅋㅋㅋ


해당 게시물은 '라이언전이 돈이 급해서 단기간 내에 여자 아이돌 노래 찍어내는 것이냐'는 농담성 글이었는데 이에 대해 라이언전이 돈이 급한건 아닌데 자신이 봊돌(여자 아이돌) 노래를 잘 작곡하는 것 같다는 댓글을 달며 보지와 아이돌의 합성어인 '봊돌'이라는 단어를 사용한 것.

이와 같은 내용이 9월에 논란이 되자 자신의 트위터를 통해서 입장을 발표했다. 다음은 라이언전이 트위터에 썼던 글들 전문. 이중 일부는 게시물이 삭제되어 링크는 없고 캡쳐만 남아있다.

뭔가오타인거같은대 뭐지 ? ㅠㅠ 미안 내용이뭘까! ?


다른 트위터 유저의 답글로 '오타' 라고 주장하였는데 일반적으로 '여돌'이라는 단어를 어떻게 쳐야 '봊돌'이라는 오타가 나올 수 있을지는 의문.

알고 단어를 쓰면 의도적인것 나를 욕해도되. 난 ㅈ돌이라는단어를 몰랐어. 몰랐던거는 몰랐다고 말하는거야. 기분이 나빴다면 미안해. 무심코 본 내글에서 ㅈ돌이라는단어가 그냥 쓰나보다했고 누가알려줘서 난 지웠지만 의도적으로 하진않아. 저급한사람이아니거든. 앞으로 단어는 조심히쓸게.😢


이때 언급한 'ㅈ돌'은 자지+아이돌의 합성어인 '잦돌'(내지는 잣돌)로 추정. 사과문을 반말로 쓰는 말투도 논란이지만 봊돌이라는 단어를 써놓고 잦돌이라는 단어를 해명하는 등 다소 횡설수설 하는 모습을 보여준다. 이 글리오기 전 라이언전 갤러리의 쉴드글에서도 ㅂ돌이라고 쓴 댓글 지우고 ㅈ돌 이라고 썼다고 우기고 있었다.#

이 사건으로 인해 심야아이돌 출연이 취소되었고, 복면가왕에 판정단으로 나온 부분은 통편집되었다.

약 3주 뒤인 29일, 문제의 단어를 로봇인 줄 알고 사용했다는 해명 인터뷰가 나왔다.

다만 라이언전이 정말로 '봊돌' 이라는 단어의 뜻을 '로봇돌'이라 착각했다고 가정한다면 해당 디시 원글 부터가 여자 아이돌 이름들에 보지를 합성해 불러가며 '돈이 급해서 여자 아이돌 노래 작곡을 많이 하냐'는 뉘앙스의 글이었는데 여기에다 뜬금없이 '로봇 아이돌 노래 작곡을 잘한다' 라는 댓글을 달았다는 말이 되므로 맥락상 말이 안된다.

또한 라이언전은 이미 트위터에서 '봊돌' 이라는 단어 사용에 대해 해명하려다 실수로 '잦돌' 이라는 단어를 언급하는 등 횡설수설을 한 적이 있는데 봊돌(보지 아이돌) <-> 잦돌(자지 아이돌) 간의 상관관계를 알고있었다는 뜻이므로 '봊돌을 로봇돌인줄 알고있었다'라는 해명은 성립되지 않는 거짓말이다.

해당 기사 자체도 기사의 논조에 단어 사용을 비판한 사람들을 '악플러'라고 칭하는 방어적인 부분이 있어 이부분에 우선적으로 반발을 표하는 이들도 보인다.

참고로 여연갤은 원래부터 여성을 보지에 비유해서 부르고 봊돌 역시 그 사이트의 용어중 하나인데 이 사이트는 남초 + 여성혐오 사이트가 아니라 오히려 극성 여초 + 페미니즘, 남성혐오 성향의 사이트이다.

3. 수상

  • 2022년 제11회 가온차트 뮤직 어워드 올해의 작곡가상

4. 기타

  • 2009년 SBS 예능프로그램 골드미스가 간다에서 박소현의 맞선남으로 출연한 적이 있다.
  • 2017년 마켄 엔터테인먼트 총관리 프로듀서 겸 대표이사이다.[7]
  • 2016년 5월 26일, 문화체육관광부가 주관한 '창창한 토크 콘서트' 2부에 등장하였는데, 프로듀스 101의 안준영 PD의 부탁으로 참석했다고 한다.
  • 프로디시인이다. 프로듀스 101 방영 당시 프로듀스 101 및 관련 갤러리에 몇 번 놀러오더니 라이언 전 마이너 갤러리가 생긴 후부터 갤러리에 자주 출몰하는데, 일반 인증 수준이 아니라 상주하는 수준이다. 프로듀스 101 및 관련 갤러리에서도 자주 출몰하는지라 프로듀스 101 및 관련 갤러들 또한 상주하고 있으며, 팬들과 자주 소통하는 모습을 보여 호평을 받고 있다. 이러한 행보로 디시뉴스측에서 주목하여 인터뷰 요청을 하였고, 2016년 5월 27일 디시뉴스와 인터뷰를 하였다. 인터뷰 기사 최근에도 디시를 자주하는것으로 보인다. [8]
  • 2015년 한해에만 SM과 15곡 이상을 작업하였다. Red Velvet의 Dumb Dumb, EXO의 LOVE ME RIGHT, 태연의 I 등의 곡을 런던노이즈, 디자인뮤직 등과 공동 작업하였다. 2016년에는 EXO의 정규 3집 EX'ACT의 수록곡 'Cloud 9'에 참여하였다.
  • 프로야구 KIA 타이거즈의 타자 최형우와 매우 닮았다.
  • 2017년 1월 14일 상암 JTBC 1층 카페에서 게릴라 정모를 가졌다. 선착순 160명만 하이터치회를 가질 수 있었다고 한다. 특별 게스트로 이해인이 참석하였으며, 라이언 전은 매우 순둥순둥했다고. 또한 팬들이 조공도 했는데, 직접 디씨에 인증을 남겼다.
  • 걸스데이의 갸우뚱 활동 당시 잠재력을 알아보고 곡을 주러 드림티엔터에 찾아갔는데, 마침 걸스데이는 멤버들의 탈퇴로 충원 오디션을 준비 중이었고 라이언 전도 이 새 멤버 오디션의 심사를 맡게 되었다. 드림티엔터 측에서는 다음 곡을 라이언전의 것으로 쓸 생각이라 작곡가의 의견도 참고하려고 했는듯. 이 때 라이언 전이 심사에 참여해 뽑힌 멤버가 바로 혜리와 유라이다.
  • 부산 출신의 걸죽한 사투리로 기획사들이 해외에서 왔다는 사실도 믿지 않고 곡도 들어보지 않았다고 한다. 이효리의 경우에도 정말로 어렵게 만나서 직접 들려준 뒤 입봉하게 되었다.
  • SM과 유영진, 이성수 이사에게도 본인들에게 기회를 준 사람들이라며 무척 감사해하는데 실제로 대부분의 회사에서 문전박대를 당할 때 직접 미팅을 하고 작업을 진행한 뒤 곡이 발표되었기 때문. 계약과 관련하여 비행기 티켓값까지 왕복으로 끊어줬다고 한다. 이후 수많은 SM의 히트곡들이 라이언 전의 프로듀싱으로 발표된다.
  • 본인은 저작권료와 관련하여 겸손하게 얘기하지만, 본인 회사를 통한 프로듀싱으로 운영하고 있기 때문에 저작인접권료(일종의 제작자 지분)를 포함한다면 알려진 것보다 훨씬 벌이가 크다. 저작인접권료는 저작권료의 몇 배 수준이다. [9]
  • 2019년 2월에는 한림예고 졸업식장에서 손은채와 함께 찍힌 사진이 본인의 인스타그램에 올라왔다.
  • 스브스뉴스의 <문명특급> 로고송 작곡가이도 하다. 녹음현장
  • 과거에 작업을 자주 했었던 오마이걸을 자주 응원하는 편인 듯하다.[10]
  • 문명특급에서 만난것이 계기인지 이달의 소녀 고원 정식 리뷰를 시작으로 개인 유튜브 채널에 이달의 소녀와 관련 영상을 종종 올리고 있는데 망토까지 구매하여 응원봉과 함께 직접 착용 인증을 했다.
  • 본인이 직접 언급한 바로는 롯데캐슬 38평에 거주 중이라고 한다.
  • 2020년 A team 엔터테인먼트의 총괄 프로듀서와 대표를 맡고 있고 //gall.dcinside.com/ryansjhunyoutube라이언 전 유튜브 마이너 갤러리에 자주 등장 하고 있다.
  • 2021년들어 STU48 멤버인 카이 코코아 팬이 된 것으로 보인다.
  • 2022년 발표된 SM 엔터테인먼트의 유닛그룹 GOT the beat의 데뷔곡 'Step Back'이 시대 흐름을 완전히 역행하는 후진 가사로 온라인상에서 큰 논란이 되었다. 일부에서는 유영진 특유의 말투라[11] 그의 작사임을 눈치 채고 있었으나, 트위터를 중심으로한 SM 팬덤에서 이를 라이언전 작사라고 몰아가며 명예훼손 수준의 인격비하와 욕을 퍼부었다. [12] 심지어 두 작곡가를 비교하며 유영진을 찬양하고 올려치는 추태까지 보였다. 그러나 음원 발매와 함께 작사가가 유영진인게 밝혀지자 이런 SM 팬덤의 몰지각한 선동질이 조롱거리가 되었다. SNS에서 루머로 선동질을 한 자들 중에서 사과한 이는 아무도 없으며, '아니면 말고'식으로 뻔뻔한 태도를 보이고 있다.

5. 디스코그래피

  • 음원 출시 시간순으로 작성하며 한 가수에서 복수의 노래 나오는 경우 가수 이름을 먼저 기재한다.
  • 이효리 : As Long As I Love You (Ai Syanri) (Hyundai i30 Car Commercial, China), Love Sign (H-Logic), Chitty Chitty Bang Bang (H-Logic), Scandal (H-Logic), 100 Percent (H-Logic), Want Me Back (H-Logic), So Cold (H-Logic)
  • SHINee : Get Down (2009, Year Of Us), Lucifer (LUCIFER), A-Yo (LUCIFER), Get It (Hello), Lucifer (Japanese Version) (일본 싱글 3집 LUCIFER(SHINee)), Always Love (THE FIRST), Excuse Me Miss (Why So Serious? - The Misconceptions of Me), View (Odd), Married To The Music (Married To The Music)
  • f(x) : Lollipop (LG CYON Phone Commercial, China), My Style (PINOCCHIO), Lollipop (PINOCCHIO)
  • 청림 : First Class (Show Up)
  • SUPER JUNIOR : Shake It Up! (미인아 (BONAMANA)), 너 같은 사람 또 없어 (No Other) (미인아 (BONAMANA) 리패키지), Walkin' (Mr. Simple), My Love, My Kiss, My Heart (Mr. Simple)
  • 걸스데이 : 잘해줘봐야 (Girl's Day Party #2), I'll Be Yours (Everyday #5)
  • 동방신기 : She (왜 (Keep Your Head Down)), B.U.T (Be-Au-Ty) (TONE), 샴페인 (Champagne) (RISE AS GOD)
  • 백지영 : Bad Girl (PITTA), Love Game (PITTA)
  • 유키스 : SOMEDAY (NEVERLAND), NEVERLAND (NEVERLAND), Baby Don’t Cry (NEVERLAND), Take Me Away (NEVERLAND), TOP THAT (NEVERLAND), Tick Tack (Tick Tack), Forbidden Love (A Shared Dream), Tick Tack (Marcan Remix) (A Shared Dream), Tick Tock (Out of Time) (DORADORA), Stop Girl (Stop Girl), Standing Still (COLLAGE)
  • 스피카 : 화 (火) (미니 1집 러시안 룰렛), Up N Down (미니 1집 러시안 룰렛), No More (미니 1집 러시안 룰렛), Painkiller (Painkiller), Since You’re Out of My Life (2nd Mini Album)
  • 초신성 : Saturday (Stupid Love), Stop Girl (Stupid Love), Addicted (She’s Gone)
  • 타히티 : Tonight (The First Single), Hasta Luego (The Second Single), Blow My Speakers Out (Five Beats of Hearts: 1st Mini Album), Pretty Face (Five Beats of Hearts: 1st Mini Album)
  • B1A4 : In The Air (In The Wind)
  • 15& : Somebody (Somebody)
  • LC9 : Hold On (Skirmish EP), Ready Set Go (Skirmish EP)
  • 원더보이즈 : 타잔 (Tarzan) (The 1st Digital Single)
  • EXO : 피터팬 (Peter Pan) (XOXO (Kiss&Hug)), December, 2014 (The Winter's Tale) (EXOLOGY CHAPTER 1: THE LOST PLANET), Love Me Right (LOVE ME RIGHT), Love Me Right ~Romantic Universe~ (일본 싱글), Cloud 9 (EX'ACT), Obsession (OBSESSION),A YA YA (OBSESSION)
  • 윤학 : Chemistry (STARTING OVER)
  • 페어리즈 : Silly Boy (Run With You)
  • 뉴이스트 : Storybook (Re:BIRTH)
  • 제이민 : 비밀편지 (Secret Letter) (Shine)
  • Michael Learns to Rock : Eternal Love (KBS 2TV 드라마 힐러 OST Part 1)
  • SUPER JUNIOR-D&E : Breaking Up (The Beat Goes On)
  • 신지수 : X 같은 그녀 (1st Mini Album: 20's Party 1)
  • 소녀시대 : You Think (Lion Heart)
  • Red Velvet : Dumb Dumb (The Red), Campfire (The Red), Red Dress (The Red), Don't U Wait No More (The Red), LP ('The ReVe Festival' Day 1), Red Velvet - Love Is The Way ('The ReVe Festival' Day 2)
  • 태연 (feat. 버벌진트) : I (I)
  • f(x) : Deja Vu (4 Walls), X (4 Walls), Diamond (4 Walls)
  • 조권 : 괜찮아요 (횡단보도)
  • 태민 : One By One (Press It), Mystery Lover (Press It), Sexuality (Press It)
  • 효민 : Gold (Sketch), Road Trip (Sketch), Sketch (Sketch)
  • Pinkrush : Fingertips(Pinkrush) (PRODUCE 101 - 35 Girls 5 Concepts)
  • 소년공화국 : Get Down (BR:evolution)
  • 아이오아이 : Crush (1st Digital Single 《PRODUCE 101-Crush》), Whatta Man (Good Man) (1st Single 《WHATTA MAN》)
  • 피에스타 : APPLE PIE (APPLE PIE)
  • 강타 : Calling Out For You ('Home' Chapter 1 - The 1st Mini Album)
  • 서현 : 달빛(MoonLight) (Don't Say No)
  • NCT DREAM : 마지막 첫사랑 (My First and Last) (The First), BOOM (We Boom)
  • PRODUCE 101 : 나야 나 (PICK ME) (PRODUCE 101 - 나야나 (PICK ME)), Super Hot
  • RAINZ : Juliette, All Night Kinda Night (RAINZ 1ST MINI ALBUM `SUNSHINE`)
  • 여자친구 : Love Bug (Time for the moon night)
  • UNB : BLACK HEART (BLACK HEART)
  • 언더나인틴(VOCAL TEAM) : Go Tomorrow (Battle Of Title song)
  • 우상연습생 : Ei Ei
  • 몬스타엑스 : Stealer (TAKE.2 WE ARE HERE), Breathe (SHAPE of LOVE)
  • VAV : Thrilla Killa (THRILLA KILLA)
  • TWICE : STRAWBERRY (FANCY YOU)
  • 오마이걸 : Checkmate (The Fifth Season), Dolphin (NONSTOP), Dun Dun Dance (Dear OHMYGIRL), Dear You (나의 봄에게) (Dear OHMYGIRL), 나의 인형 (안녕, 꿈에서 놀아) (Dear OHMYGIRL), Quest (Dear OHMYGIRL), 초대장 (Dear OHMYGIRL), Swan (Dear OHMYGIRL), Real Love (Real Love), Eden (Real Love), Replay (Real Love), Parachute (Real Love), Kiss & Fix (Real Love), Blink (Real Love), Dear Rose (Real Love)
  • 예성(SUPER JUNIOR) : Pink Magic (Pink Magic)
  • 유학소녀 : Popsicle (유학소녀 스페셜 음원)
  • PRODUCE 101 JAPAN : ツカメ~It's Coming~
  • VAV : Give me more (GIVE ME MORE)
  • TWICE : GET LOUD (Feel Special)
  • VICTON : NEW WORLD (nostalgia), Nightmare (CONTINUOUS), Mayday (Mayday)
  • 강다니엘 : TOUCHIN` (TOUCHIN`)
  • 지연 : Take A Hike (SENPASS)
  • IZ*ONE : EYES (BLOOM*IZ)
  • NCT 127 : 영웅 (英雄; Kick It) (NCT #127 Neo Zone), Punch (NCT #127 Neo Zone), Right Now (LOVEHOLIC)
  • WayV : After Midnight, Electric Hearts (Awaken The World), 秘境 (Kick Back), Kick Back (Korean Ver.) (Kick Back)
  • 패트와 매트 (ft. 재재, 야니) : 라쿠카라차타라타 (스브스뉴스 문명특급 로고송)
  • 유아 : 숲의 아이 (Bon Voyage) (Bon Voyage), 날 찾아서 (Far) (Bon Voyage), 자각몽 (Abracadabra) (Bon Voyage)
  • CRAVITY : My Turn (HIDEOUT: BE OUR VOICE - SEASON 3.), Mammoth (HIDEOUT: BE OUR VOICE - SEASON 3.), Bad Habits (HIDEOUT: BE OUR VOICE - SEASON 3.)
  • 아이유 : Celebrity (LILAC), Flu (LILAC)
  • Weeekly : After School (We play)
  • 우주소녀 더 블랙 : Easy (My attitude)
  • 공원소녀 : Like It Hot (THE OTHER SIDE OF THE MOON)
  • 이달의 소녀 : & ([&]), PTT (Paint The Town) ([&]), WOW ([&]), Be Honest ([&])
  • WayV-TEN&YANGYANG : Low Low (Low Low)
  • 프로미스나인 : Talk & Talk (Talk & Talk)
  • 비투비 : Outsider (4U : OUTSIDE)
  • 루나(LUNA) : Beautiful Breakup (Beautiful Breakup), Love Paranoia (Love Paranoia), 너의 밤이 되어줄게(Lullaby)
  • IVE : ELEVEN (ELEVEN), After LIKE (After LIKE), My Satisfaction (After LIKE)
  • 방과후 설렘 단체곡 : SAME SAME DIFFERENT
  • VIVIZ : Fiesta, Love you like (BOP BOP!)
  • Apink : My oh My (HORN)
  • NMIXX : 占 (TANK) (AD MARE)
  • 태용, 제노, 헨드리, 양양, 지젤 : ZOO
  • CLASS:y : UP (CLASS IS OVER), SHUT DOWN (CLASS IS OVER), TELL ME ONE MORE TIME (CLASS IS OVER), SUPER COOL (CLASS IS OVER), FEELIN' SO GOOD (CLASS IS OVER), SAME SAME DIFFERENT (LIVES ACROSS) DIVIN' INTO YOU (LIVES ACROSS), Tick Tick Boom (Day & Night), ZEALOUS (Day & Night)
  • 기현 : VOYAGER (VOYAGER), YOUTH (YOUTH)
  • 청하 : Crazy Like You (Feat. BIBI) (Bare&Rare Pt.1)
  • 하성운 : FOCUS (Strange World), 어떻게 생각해? (Strange World), Too little too late (Duet With JAMIE) (Strange World)
  • 이채연 : HUSH RUSH (HUSH RUSH), Danny (HUSH RUSH), Aquamarine (HUSH RUSH), Same But Different (HUSH RUSH)

[1] Ryan이라는 영어 이름은 미국에서 살던 고등학교 시절에 여자친구가 지어줬다고 한다.[2] 어린 시절 부산광역시에서 자랐기 때문에 부산 출신이라고 알려져 있지만, 출생지는 경상남도 진주시이다.[3] 2022년 9월 14일 전속 계약을 체결했다. #[4] Ryan과 Lion의 발음이 비슷해서 생긴 별명이다.[5] 마켄 엔터의 대표를 2008년 11월부터 맡고 있다는 것으로 보아 2008년 10월 전후로 SM과 계약에 성공한 것으로 보인다.[6] 이효리에게 곡을 주기 위해 매니저에게 계속 이효리와 만나게 해달라고 매달려서 딱 10분만 만날 수 있는 기회를 얻게 되었고, 그 자리에서 음악을 들려주고 바로 승낙을 받았다고 한다.[7] 2008년 11월부터 맡고 있다고 한다.[8] 본인 소속사 걸그룹 데뷔 시기를 스포하기도.[9] 저작권 수익은 대략 월 몇 천 정도 라고한다.[10] 옴갤에 자주 출몰한다.[11] 예를 들어 '독배', '어델어델봐', '찍어라찍어라찍어라', '끼를좀끼를좀끼를좀' 같은 표현[12] 참고로 라이언전은 작곡 위주로 활동하며, 작사는 거의 하지 않는다. 참여한 작사도 영어 가사 정도다.

분류

  • 미국 작곡가
  • 대한민국의 작곡가
  • 진주시 출신 인물
  • 1979년 출생
  • 한국계 미국인
  • 재한 미국인
  • 미국의 개신교 신자
  • 디시인사이드의 고정닉

관련 게시물

Toplist

최신 우편물

태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