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오 지마 조선인 - io jima joseon-in

- "��, ������ ���縦 '����(���)'�� ���塤��������ȭ"

��������� ��� �̱����Ϻ��� �� �ִ� ���������� �Ϻ� �̿�����(׼����)�� ���������� ������ 200�� ��� 3���� 2 �̻��� �������� ���� ������ ����ߴٴ� ������ ù �������� ����� ���Դ�.

�����Ѹ� �Ҽ� ��������� �������� �������� �� ���� �������� ����� �� ��������ȸ�� �̿����� �������� ���� �������� ��� ���Ρ����������� ������ ������ 200�� �� 137��(68.5%)�� ����� ������ Ȯ�εƴٰ� 9�� ������.

�Ϻ� �����ʿ� �ִ� �� �̿������� �� �غ��밡 �� ���� �����⸦ �ȴ� ����� ���� �������� �� ����Ż�� �������� �����ϴ�. Ŭ��Ʈ �̽�Ʈ��尡 ������ ��ȭ '�ƹ����� ���' '�̿��������� �� ����'�� ���ؼ��� �� �˷��� �ִ�.

�̰������� 1945�� 2�� �߼����� 4������ 2������ ���� ���� �����Ϸ��� �̱�������Ϸ��� �Ϻ��� ���̿� ������ ������ �Ϻ��� 2�������� �����ߴ�. �̱������� ����� 5õ����, �λ��� 2��1õ������ ���� ��ŭ ������ ġ���ߴ�.

�̿������� �̱� B-29 ���ݱⰡ �ֵ��� �����ǰ� ������ �߰������� �־���, �̹� �����嵵 �Ǽ��� ���¿��� �Ϻ� ���� ������ �غ��ϴ� �̱����Դ� ������ ��������� �ݵ�� �����ؾ߸� �ߴ� ������ ����������.

����ȸ�� �Ϻ� �� ������ ���� ������ ��� �̿������� �������� ������ �������� 22���̾���. �̵��� �̹� ������ ���·� ¡���� ������ ��ġ�� ���ⱺ��(����) �ź��̾����� ��Ȳ�� ��ȭ���� ������ƴٰ� ���� �̿��������� �����ߴ�.

�̵� �����ڴ� ��ġ �Ϻ� ������ ���� '����(�������� ������ ���� ������ �״� ��)'�� ������ ���� ����� �߽����� �Ż翡 �ջ� ó���� ������ ����ƴ�.

�Դٰ� �̵��� ������ �޿��� ���� ��Ź���� 580��(���� ���� �� 7õ620��)���λ�� ������ ���� �����ߴٰ� ���⿣ �ݾ��� �ʹ� ���ٴ� ������ �������� �����ڵ鿡 ���� �Ϻ� ������ �ν��� ������ �巯���ٰ� ����ȸ�� �ؼ��ߴ�.

�̿����������� ���λ� �ƴ϶� ������ �������� ���忡 ���Եƴ�. ������ Ȯ�ε� 178�� �� 115���� �����µ�, �̱��� ���� �� ����ڰ� 93��, ���ݿ� ���� ����ڰ� 3���̾���. ���� � ���� '��������'�� 15���� ���ߴ�.

����ȸ ���ҿ� ������� "�������� ��� ������ ���� ���� ��񡤰�����翡 ���Եƴٰ� ��Ȳ�� ��ȭ���� ������ �������� ���� ���忡���� �������� �� ����ü���� �������� ������ �̵��� ������ ��Ÿ����"�� ���ߴ�.

�Ϻ��� �̵� ������ ����� ���� '�Ϻ� ������ ���� �����ߴ�'�� ǥ���ϸ� ������� ���� ���� ������ ��Ҵ�.

�Ϻ� ���δ� ������ 1952�� �̿����� ����� ���� �߱��۾��� ���������� ������ ������ ���Ե��� �������� ���� ������� �ʰ� �ִ�. �̿������� ������ �̡��� ȭ�� ���񿡵� ������ ���������� ���� ������ ����.

����ȸ�� �ѱ� ���� �������� ���Ϻ� ���ο� �̿����� ���� �߱� �������� ��û������ ���� �������� ���Եƴٴ� ��� ���� ��û ���Ϻ� �� �̿����� ����� ���� ���� ���� ��û �� ��ġ�� �ʿ��ϴٰ� �����ߴ�.

�� ������� "�̹� ����� �̿����� ������ ���������� ���� ù �������翩�� Ȯ�ε� �ο��� �Ϻο� �Ұ��� ��"�̶�� "���� �ڷḦ �������� �м��ϰ� �Ϻ� �� �ڷḦ �����Ϸ��� ���� ������ ����� �ʿ��ϴ�"�� �����ߴ�.

���մ���

일본 정부가 태평양전쟁 당시 격전지였던 이오지마(硫黃島)의 유골을 신형 고성능 레이더를 사용해 수색할 계획이라고 산케이신문이 31일 보도했다.

이오지마는 전쟁 막바지였던 1945년 총 36일에 걸쳐 미군과 일본군 사이에 치열한 전투가 치러졌던 곳이다.

이오지마 전투는 미국 해병대가 산 정상에 성조기를 꽂는 모습을 담은 사진으로 유명하며, 할리우드 영화 ‘아버지의 깃발’, ‘이오지마에서 온 편지’ 등으로도 알려졌다.

당시 전투에 참가한 일본군 2만3천명 중 90%가 전사했으며, 여전히 1만4천90구의 유골이 수습되지 못한 것으로 일본 정부는 보고 있다.

일본 정부는 지하 15m 이상까지 탐지할 수 있는 신형 레이더의 개발을 최근 마쳐 내년 4월부터 유골 발굴에 활용할 계획이다.

이오지마 전투에서 일본군은 길이 18㎞의 참호를 지하에 판 채 저항했는데, 새 레이더가 이 지하 참호를 찾아내면 발굴 작업을 진행해 유골을 수습할 계획이다.

이오지마에는 당시 강제동원됐다가 숨진 조선인들의 유골이 미수습된 채로 남아 있어 신형 레이더 수색을 통해 발굴될 가능성도 있다.

지난 2012년 국무총리 소속 대일항쟁기 강제동원 피해조사 및 국외 강제동원 희생자 등 지원위원회가 발표한 조사 결과에 따르면 이 섬에 강제동원된 조선인 군인·군속(군무원)은 200명이었으며 137명이 교전 과정에서 사망했다.

사망자의 시신 대부분은 발굴되지 못한 채 현지 어딘가에 묻혀 있는 것으로 추정된다.

일본 정부는 패전 직후인 1950년대 초반부터 이오지마의 유골 발굴을 진행하고 있지만 조선인 유골에 대해서는 언급하지 않고 있다.

만약 유골이 발굴되더라도 이 유골이 조선인의 것임을 확인하기까지는 적지 않은 장애물이 있다.

일본 정부는 2016년 ‘전몰자의 유골 수집 추진에 관한 법률’을 개정해 2025년까지 태평양전쟁 전사자의 유골을 적극적으로 수습하기로 했지만, 대상에 한반도 출신자는 제외했다.

한일 시민단체들의 반발에 일본 정부는 “한국 정부의 ‘구체적인 제안’이 있으면 (조선인 유골의 확인과 수습을) 검토하겠다”는 답변을 했지만, 유골 수습에 대한 양국 간 논의는 좀처럼 진전되지 않고 있다.

연합뉴스

[표지]

목차

부록 II-1 1

일제 강제동원 진상조사보고서-군인 동원 편 5

시베리아 억류 조선인 포로문제 진상조사 -중국 동북지역 강제동원 조선인을 중심으로- / 조건 6

요약문 7

I. 머리말 9

II. 조선인의 중국 동북지역 강제동원 14

III. 조선인의 시베리아 포로수용소 억류 23

IV. 시베리아 억류 조선인의 귀환 실태와 위원회 피해 조사 37

V. 맺음말 42

참고문헌 44

'大東亞聖戰大碑'와 7인의 한국인 특공대 / 表永洙 45

1. 진상조사 배경과 경과 46

2. 大東亞聖戰大碑의 건립과 무단각명 48

3. 7인의 한국인 특공대의 동원형태 53

4. 맺음말 59

부록 61

일제시기 조선 내 군사시설 조사 - 전남 서남해안 일대 군인동원을 중심으로 - / 정용문 85

요약문 86

I. 직권조사의 배경 88

II. 조선내 군편제 변화와 전남 서남해안의 작전지역 선정배경 94

III. 전남 서남해안 일대 일본군의 주요 군사시설 97

IV. 전남 서남해안 일대 일본군의 병력동원 실태 110

V. 결론 121

참고문헌 123

부록 124

조선인 BC급 전범에 대한 진상조사 -포로감시원 동원과 전범 처벌 실태를 중심으로- / 조건 142

요약문 143

I. 머리말 145

II. 일제의 조선인 포로감시원 동원과 포로수용소 배치 149

III. 포로감시원들의 전범 처벌과 전쟁책임 167

IV. 맺음말 -피해조사 내용과 앞으로의 과제 183

참고문헌 185

부록 187

'남양군도' 밀리환초(Mili Atoll)에서 학살된 강제동원 조선인에 대한 진상조사 / 조건 210

요약문 211

I. 머리말 212

II. 남양군도 밀리환초와 조선인 강제동원 216

III. 강제동원 조선인의 생존 투쟁과 일제의 학살 만행 226

IV. 맺음말 240

참고문헌 242

부록 244

일제 강제동원 진상조사보고서-군무원 동원 편 247

하와이 포로수용소 한인포로에 관한 조사 / 이세일 248

요약문 249

I. 진상조사의 배경과 경과 252

II. 전쟁포로에 관련된 쟁점 257

III. 하와이 포로수용소의 한인포로들 261

IV. 부로명표 통계분석 276

V. 결론 291

참고문헌 294

일제 강제동원 진상조사보고서-노무자 동원 편 297

일본 나가사키현 사키토정 埋火葬認許証 기재 조선인 사망자 문제 진상조사 / 김명환 298

요약문 299

I. 조사개요 302

II. 사키토탄광(崎戶炭鑛)과 조선인 306

III. 사키토정 「埋火葬認許証交付簿」 분석 312

IV. 결론 323

참고문헌 325

부록 326

우토로지역 주민의 도일(渡日)배경 진상조사 336

요약문 337

I. 진상조사 배경과 경과 341

II. 우토로 지역 형성배경과 조선인의 이주상황 346

III. 결론 385

참고문헌 387

소록도 한센병환자의 강제노역에 관한 진상조사 / 이병례 389

요약문 390

I. 진상조사 배경과 경과 392

II. 일제의 한센병환자 정책 398

III. 생존자 구술을 통해 본 강제노동 실태 411

IV. 결론 427

참고문헌 429

부록 431

죠세이(長生)탄광 수몰사고 진상조사 492

I. 진상조사 배경과 경과 493

II. 죠세이(長生)탄광의 역사 497

III. 조선인 노무동원의 실태 509

IV. 죠세이탄광 수몰사고 522

V. 결론 540

부록 II-2 544

일제 강제동원 진상조사보고서-노무자 동원 편 548

히로시마·나가사키 조선인 원폭피해에 대한 진상조사-강제동원된 조선인 노무자를 중심으로- / 허광무 549

요약문 550

I. 진상조사 배경과 경과 552

II. 주요 작업장과 송출지역 557

III. 조선인 강제동원의 두 유형 566

IV. 원폭 피폭의 유형과 피해 상황 578

V. 맺음말 587

참고문헌 589

부록 591

사할린 강제동원 조선인들의 실태 및 귀환 / 김명환 619

요약문 620

I. 조사개요 623

II. 사할린 지역 개관 631

III. 조선인 강제동원 실태 637

IV. 전후처리 679

V. 결론 684

참고문헌 689

부록 691

사할린 가미시스카(上敷香) 조선인 학살사건 진상조사 / 방일권 697

I. 진상조사의 배경과 경과 698

II. 가미시스카의 발전과 조선인 706

III. 이두복 재판에 나타난 가미시스카 조선인 학살 사건 719

IV. 맺음말 728

V. 부록 732

사할린 '이중징용' 피해 진상조사 / 정혜경 768

요약문 769

1. 머리말 772

2. 남사할린 북서부 지역 강제동원 조선인 탄광노무자 현황 778

3. '전환 배치'의 배경 및 원인 788

4. '전환 배치'의 실태 797

5. 맺음말 848

홋카이도 가야누마 탄광에 강제동원된 전북 출신자의 피해 진상조사 / 하승현 ; 정혜경 853

요약문 854

I. 진상조사 배경과 경과 857

II. 가야누마 탄광에 강제동원된 조선인 노무자의 피해실태 869

III. 관련 명부를 통해 본 전북지역 출신 노무자의 피해실태 895

IV. 피해조사를 통해 본 전북지역 출신 노무자의 피해실태 915

V. 맺음말 934

참고문헌 938

부록 940

거문도 군사시설 구축을 위한 주민 강제동원 진상조사 979

요약문 980

I. 진상조사 배경과 경과 982

II. 본토결전 준비시기 거문도의 역할과 주민동원 987

III. 결론 1010

참고문헌 1012

자료 1013

부록 1029

사할린 미즈호(瑞穗) 조선인 학살사건 진상조사 / 방일권 1035

요약문 1036

I. 진상조사 배경과 경과 1039

II. 미즈호 사건의 배경 1057

III. 미즈호 조선인 학살 사건 1081

IV. 맺음말 1130

참고문헌 1133

부록 II-3 1135

일제 강제동원 진상조사보고서-노무자 동원 편 1139

전시체제기 규슈(九州)지역 '아소(麻生)광업(주)' 강제동원 피해자에 대한 진상조사 / 심재욱 1140

요약문 1141

I. 진상조사 배경과 경과 1143

II. '아소(麻生)광업(주)'와 조선인 고용 1149

III. '아소(麻生)광업'의 조선인 강제동원 현황 1162

IV. 피해조사 통해 본 '아소(麻生)광업'의 강제동원 실태 1179

V. 맺음말 1201

참고문헌 1204

부록 1206

홋카이도 히가시카와초 에오로시발전소 강제동원피해 진상조사 / 하승현 1235

요약문 1236

I. 진상조사 배경과 경과 1238

II. 에오로시발전소와 조선인 강제동원 1243

III. 에오로시발전소의 강제동원 피해실태 1259

IV. 맺음말 1283

참고문헌 1287

에오로시발전소 강제동원 피해자 구술자료 1288

에오로시발전소 관련 일본측 구술자료 1297

추베쓰강 유수지 건설과 조선인 강제동원 1304

히가시카와초 현지조사 보고서 1316

부록 1327

제주도 군사시설 구축을 위한 노무·병력동원에 관한 조사 / 이병례 1376

요약문 1377

I. 직권조사 배경과 경과 1380

II. 일제말기 전황과 제주도의 군사적 위치 1392

III. 노무동원 실태 1400

IV. 병력동원 실태 1439

V. 결론 1454

참고문헌 1457

'조선여자근로정신대'방식에 의한 노무동원에 관한 조사 / 김미현 1460

요약문 1461

I. 직권조사 배경과 경과 1464

II. 여자근로정신대 동원정책 1475

III. 조선여자근로정신대 동원실태 - 위원회 신고분을 중심으로 1484

IV. 조선여자근로정신대의 노동실태 1517

V. 결론 1579

참고문헌 1584

부록 1586

부록 II-4 1668

일제 강제동원 진상조사보고서-위안부 동원 편 1788

인도네시아 동원 여성명부에 관한 진상조사 / 강정숙 1789

요약문 1790

I. 진상조사 배경과 경과 1793

II. 인도네시아의 일본군 위안소 1800

III. 여성명부와 동원여성의 실태 1812

IV. 동원여성의 일본군속 편입과 귀환 1858

V. 맺음말 1881

참고자료 1884

부록 1888

해남도로 연행된 조선인 성노예에 대한 진상조사 / 조건 2112

요약문 2113

I. 조사 및 결과보고서 제출 경위 2114

II. 위원회 피해조사 현황 2115

III. 「진상조사 연구용역 결과보고서」 2116

참고문헌 2140

구술자료 1. 위안부 생존자 구술 증언 녹취 2141

구술자료 2. 전 해남도 군인 간접 증언 2149

구술자료 3. 해남도 현지조사 증언 2216

일제 강제동원 진상조사보고서-노무자 동원 편 1672

남양군도 지역 한인노무자 강제동원 실태에 관한 조사(1939 ~ 1941) / 김명환 1673

요약문 1674

I. 직권조사 배경과 경과 1678

II. 1939년 이전 한인의 남양군도 이주 1688

III. 1939 ~ 1941년 한인 이주실태 1701

IV. 1939 ~ 1941년 한인 노무자 강제동원 실태 1715

V. 결론 1733

참고문헌 1736

부록 1738

부록 II-5 2245

일제 강제동원 진상조사보고서-유해 편 2317

야스쿠니 신사 '한국인' 합사에 관한 진상조사 / 남상구 2318

요약문 2319

I. 진상조사 배경과 경과 2321

II. 야스쿠니 신사 합사 실태 2325

III.'한국인' 희생자의 야스쿠니 신사 합사 2332

V. 결론 2351

참고문헌 2357

별첨자료 2360

1948년 한국으로 송환된 유골에 대한 진상조사 / 이광호 2392

요약문 2393

I. 진상조사 개요 2396

II. 진상조사의 진행 2398

III. 유골 봉환의 과정 2428

IV. 맺음말 2431

부록 2433

타이헤이마루사건 진상조사 2484

요약문 2485

1. 들어가며 2487

2. 쿠릴지역의 조선인동원과 전황변화 2491

3. 동원과정과 사건경위 2496

4. 피해신고 현황과 사망자 수 자료검증 2511

5. 마치며 2530

부록 2532

해방 직후 이끼·대마도지역의 귀국 조선인 해난사고 및 희생자 유골문제 진상조사(解放直後壱岐·対馬地域の帰国朝鮮人海難事故及び犠牲者遺骨問題真調査) / 정애영 2565

요약문 2566

I. 진상조사의 배경 및 경과 2572

II. 히로시마미쓰비시중공노무자 실종사건 2584

III. 1945년 조선인귀국해난사건의 개요 2601

IV. 해난 관련 조선인 유골문제의 부상과 추이 2617

V. 조선인 귀환해난 유골의 처리 및 안치현황 2642

VI. 결론 2653

참고문헌 2657

부록 2659

일제 강제동원 진상조사보고서-위안부 동원 편 2249

전시하 일본지역 '기업위안소'와 조선인 '기업위안부'에 대한 진상조사-홋카이도와 규슈 지역을 중심으로- / 조건 2250

요약문 2251

I. 머리말 2252

II. 일본지역 '기업위안소'의 등장 배경 2273

III. '기업위안소'의 실태와 특징 2291

IV. 맺음말 2313

부록 II-6 2684

일제 강제동원 실태기초조사 2688

일본지역 지하호에 관한 진상조사 -마쓰시로 대본영 지하호를 중심으로- / 조건 2689

요약문 2690

I. 머리말 2692

II. 일제 말기 지하호 건설 실태와 현황 2696

III. 마쓰시로 대본영 지하호 구축과 조선인 동원 2700

IV. 맺음말 2716

참고문헌 2717

부록 2718

1944년도 남양청 동원 조선인 노무자 피해실태 조사(1944年度南洋庁動員朝鮮人労務者被害実態調査) / 김명환 2739

요약문 2740

I. 실태조사 개요 2748

II. 일제의 팔라우 지배와 태평양전쟁 2751

III. 일제의 팔라우 개척과 조선인 노무자 동원 2755

IV. 남양청의 1944년도 노무자 동원현황 2761

V. 동원노무자들의 피해실태 2770

VI. 해방과 귀환 2780

VII. 위원회 피해처리 현황 2786

VIII. 조사 결과 2788

참고문헌 2792

1944년도 남양청 동원 조선인 노무자 명부 2794

전라남도 해남 옥매광산 노무자들의 강제동원 및 피해실태 기초조사(全羅南道海南玉梅鉱山労務者の強制動員及び被害実態基礎調査) / 우영송 2812

요약문 2813

I. 실태조사 개요 2821

II. 옥매광산 개황 2824

III. 조선인 강제동원 실태 및 피해 2840

IV. 조사결과 및 향후과제 2860

참고문헌 2865

전라남도 해남군 옥매광산 현지출장(2012년 10월 10일~11일) 사진 모음 2867

옥매광산 노무자 위원회 피해신고 목록 2878

일제 말기 이오지마(硫黃島) 강제동원 조선인 피해 실태 기초 조사(日帝末期硫黃島強制動員朝鮮人被害実態の基礎調査) / 정소영 2883

요약문 2884

I. 조사 배경 및 방향 2889

II. 이오지마의 전략적 위상과 전투 2892

III. 명부를 통해 본 이오지마 강제동원 조선인 2899

IV. 이오지마 조선인 군인 2903

V. 이오지마 조선인 군무원 2919

VI. 위원회 피해신고 처리 현황 2938

VII. 결론 2940

참고문헌 2944

이오지마 강제동원 조선인 군인 2946

이오지마 강제동원 조선인 군무원 2949

사망 기록을 통해 본 하시마(端島)탄광 강제동원 조선인 사망자 피해실태 기초조사(死亡記録から見る端島炭鉱の強制動員朝鮮人死亡者被害実態基礎調査) / 윤지현 2960

요약문 2961

I. 실태조사 개요 2965

II. 하시마(端島)탄광과 조선인 노동자 2969

III. 하시마(端島)의 조선인 사망기록 분석 2989

IV. 조사 결과 및 향후 과제 3018

참고문헌 3023

부록 3024

판권기 3043

Toplist

최신 우편물

태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