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본대학 입학 나이 - ilbondaehag ibhag nai

마이너 갤러리 이슈박스, 최근방문 갤러리

마이너 갤러리 소개

부매니저

杏花(hanghwa3…) 혼쨩(tw254)

갤러리 본문 영역

[질문] 나이 26살 일본대학 준비하는게 맞는걸까모바일에서 작성

1133(175.223) 2019.03.26 19:39:20


일본어는 잘함 젤피티 1급임

문제는 졸업하면 31살 ㅋㅋ 기술 배우는게 맞겠지?

아무리 내가 열심히 공부해서 일본 국립 공대를 간들 31살 신입을 어느회사에서 써줄까..?

이 생각을 하니까 진짜 그냥 닥치고 기술 배우는게 맞는거 같기도 하고 .. 하 ㅠㅠ

진짜 인생 족박았다 씨이발..


추천 비추천

0

0

하단 갤러리 리스트 영역

왼쪽 컨텐츠 영역

갤러리 리스트 영역

갤러리 내부 검색

오른쪽 컨텐츠 영역

일본어에 자신이 없습니다. 이메일은 모국어로 제출해도 괜찮습니까?

괜찮습니다. 전화, 팩스, 에미일 등의 질문에는 일본어, 영어, 중국어, 한국어, 베트남어로 대응이 가능합니다.

입학수속은 어떻게 하면 되나요?

현지에서 면접, 서류심사가 있습니다. 구체적인 장소, 시간에 대해서는 문의하여 주십시오.

동경국제대학부속일본어학교에 입학하면 비자종류는 무엇인가요?

보통 「유학비자」입니다만, 「정주자」,「가족체재」,「워킹홀리데이」등이라도 입학 할 수 있습니다.

언제든 입학 가능한가요?

전일제 입학시기는 4월, 7월, 10월로 연 3회로, 4월 입학은 1년코스, 7월 입학은 1년 9개월 코스, 10월 입학은 1년 6개월 코스입니다. 특히 유학 비자를 취득하여 입학한 경우에는 입학시기보다 수개월 전에 비자신청수속이 필요하므로 입학하려고 하는 시기보다 반년 전부터 준비가 필요합니다. 유학비자의 신청이 필요하지 않은 경우에는 입학시기의 전전월말까지 입학신청을 받고 있습니다. 그 외 단기청강생은 결원이 있으면 자신의 일본어 레벨에 맞게 정규생 반에 도중편입도 가능합니다. 프라이빗레슨은 언제든지 입학가능합니다.

입학시 조건이 있나요?

아래의 조건에 해당되어야 합니다.
(1) 고등학교를 졸업한 자, 또는 동등한 자격을 소유하고 있는 자. (모든 국적)
(2) 일본에서의 재류자격을 취득할 수 있는 자 (모든 국적)
(3) 일본어 능력시험 (N5) 상당의 일본어 능력을 가지고 있는 자. (중국, 베트남, 미얀마, 스리랑카, 네팔, 몽골,
      방글라데쉬의 국적자)

본국에서 고등학교를 졸업하지 않은 경우라도 입학할 수 있나요?

일본어학습만 목적으로 일본에 체재하는 경우는 입학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일본에서 대학이나 전문학교로 진학을 희망하는 경우는 고등학교 졸업이 지원자격 조건이므로 입학할 수 없습니다.

아직 고등학교를 졸업하지 않았는데 유학할 수 있나요?

단기관광비자로 단기청강생으로서 공부할 수는 있으나, 유학비자를 신청하기 위해서는 고교 졸업 또는 그에 상응하는 학력이 필요합니다.

입학에 연령제한이 있나요?

고졸이상의 학력이라면 특별한 연령제한은 없습니다.

비자 수속은 어떻게 하면 되나요?

본교는 지원자를 대신하여 입국관리국에 비자 취득에 필요한 ‘재류자격인정증명서’의 교부 신청을 하고 있습니다. 통상 4월생의 경우 2월 하순, 7월생의 경우는 5월 하순, 10월생의 경우는 8월 하순에 교부됩니다. 재류자격인정증명서는 학비 납입 후, 지원자본인에게 직접 보내므로 일본의 재외공관에서 ‘유학’비자 신청을 해 주십시오.

단기체제비자로 왕복하며 일본어를 공부할 수 없나요?

어학연수가 목적인 단기체재의 재류자격을 가진 자의 입국은 원칙적으로 한번만 가능합니다(외무성 일본대사관 공지). 본교에서는 유학비자 취득을 추천하고 있습니다.

동경국제대학부속일본어학교

〒169-0075

도쿄도 신주쿠구 다카다노바바 4-23-23
TEL 03-3371-6121
FAX 03-3371-6125

시작하며

안녕하세요. 일본에서 외노자 생활중인 우메슈입니다.

어제 일본취업정보 글을 올리고 나서, 이런 질문을 받았습니다.

"제가 지금 20대 중반인데, 지금부터 일본대학에 입학해서 취업하면 늦나요?" 라는 내용이었는데요.

전부터 일본취업의 연령제한으로 걱정하시는분도 많고, 케이스 별로 답변이 달라지는 사항이기 때문에 한번 포스팅으로 다뤄보기로 했습니다.

일본에 취업하고 싶은데 나이가 걱정되시는 분들은 끝까지 읽어주세요!

일본 현지의 취업 연령

우선 일본 현지에서 취업하는 연령대부터 알아보겠습니다.

여기서는 일본 나이를 기준으로 하기 때문에 만나이를 쓰겠습니다.

일단 일본은 한국과 다르게 스트레이트로 졸업하는 케이스가 대부분입니다.

군대가 없기도 하고, 따로 어학연수나 세계여행을 위해 휴학하는 경우도 거의 없구요.

고시낭인의 숫자도 그렇게 많지 않습니다.

때문에 평균적인 취업연령은 다음과 같습니다.

학력 평균취업연령
고졸 18세
대졸 22세
석사 24세
박사 27~28세


대졸자가 취업하는 나이가 22세라니, 가뜩이나 스트레이트인데다 만나이다 보니 엄청 어려보이죠.

현지인을 대상으로한 설명회 내용에 따르면, 일반적인 일본계 기업에서는 평균취업연령+5살까지라면 딱히 불이익은 없다고 합니다.

하지만 5살이 넘어가는 차이가 생기면 서류에서부터 힘들다고 하는데요.

아무래도 일본계 기업은 조직에 잘 녹아드는 사람을 선호하는데, 5살이나 차이가 나면 동기들과 어울리기도 조금 힘들뿐더러, 5년차인 대리가 자신보다 나이많은 신입을 대하기 껄끄러워진다는 문제가 있어서 그런듯합니다.

외국계 기업은 조금 더 여유로울지도

5살차이라는게 사실 커보일 수 있지만, 삼수하고나서 군대 갔다오고 뭐좀하면 훌쩍 넘어버릴 수도 있는 나이죠.

그렇다고 5살 차이를 넘어버리면 일본취업을 포기해야하는가하면, 반드시 그런건 아닙니다.

일반적인 일본계 기업으로의 지원은 조금 어려울 수 있지만, 외국계 기업 지원에는 전혀 문제가 없습니다.

외국계 기업은 국적/성별/연령과 상관없이 실력을 위주로 뽑기 때문인데요.

실제로, 제가 처음 입사했던 외국계 기업에서는 입사동기중에 학부졸 출신의 33세 한국인 형이 있었습니다.

만나이로 33세니, 한국나이로 34~35살 정도 되는거죠.

일본의 어린 신입사원들을 보면 정말 부럽긴 합니다.(출처: 合説ドットコム)


물론, 외국계가 아니어도 실력위주로 채용하는 업계(컨설팅, IT등)라면, 일본계라도 유효합니다.

사실 이런곳에서는 나이보다는 그 나이까지 뭘 했는지를 소명하는게 더 중요하다고 할 수 있습니다.

케이스별 취업이 늦어진 이유

일단 서류전형을 통과하더라도, 면접에서는 취업이 늦어진 이유에 대해 질문받을 수 밖에 없습니다.

케이스별로 어떻게 대처할지 한번 알아보겠습니다.

1. 군대

한국 남성이라면 대부분 군복무를 하게 되죠.

군복무로 인한 휴학은 전혀 불이익이 되지 않습니다.

오히려 일본에서는 쉽게 할 수 없는 경험이기 때문에 긍정적인 요소로 작용하니 전혀 걱정하지 마시고, 그대로 얘기하시면 됩니다.

아무래도 공익보단 현역의 경험이 더 좋게 작용합니다. 예를 들어, 분대장을 해보신 분이라면 리더쉽에 관한 에피소드로 써먹기 좋습니다.

2. 재수

요즘 재수, 삼수는 흔하죠. 일본도 한국만큼은 아니지만 재수하는 사람은 꽤 많습니다.

때문에, 삼수 정도까지는 전혀 문제가 되지 않습니다.

오히려 재수, 삼수는 목표를 위해 포기하지 않는 자세로 잘 포장하면, 플러스 요소로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삼수를 넘어가면 마이너스로 요소로 작용하게 되니, 적절한 해명을 준비하셔야 합니다.

참고로, 일본어로 재수생은 로닌(浪人)이라고 부르며, 재수, 삼수는 이치로(1浪), 니로(2浪)식으로 늘어나게 됩니다.

3. 유학, 자격증

어학연수나 워홀, 자격증 취득 등으로 인해 졸업연도가 느려지는 것 또한 문제가 되지않습니다.

또한, 해당 경험들을 통해 있었던 일들을 ES에 녹여내는 것은 남들과는 다른 차별화된 에피소드가 될 수 있으니 잘 활용해주세요.

유학 경험은 꽤나 좋은 에피소드가 될 수 있다. (출처: 成功する留学)

4. 지병

지병으로 인한 휴학의 경우, 완치된 상태라면 전혀 문제가 되지 않습니다.

입원생활에서 겪을 일 조차 ES에 녹여내는 귀중한 자원이 됩니다.

하지만, 아직 병이 진행중이라면 채용과정에서 불이익이 될 수 있으니, 조심하셔야 합니다.

혹시 장애인증이 있으신 분이시라면, 해당 전형을 진행중인 회사도 많으니 그런쪽을 노려보시면 오히려 손쉽게 취업하실 수도 있습니다.

5. 일본 대학교에 재입학

이건 한국분들에게 가끔 있을 수 있는 일인데요.

한국에서 대학을 다니고 있거나, 이미 일하시다가 일본으로 넘어오시는 케이스입니다.

이 경우에는 아무래도 준비기간도 있다보니, 위에서 언급한 5년을 훌쩍 넘어버리기 쉬워, 제대로 준비해야합니다.

한국대학을 다니다가 넘어온 경우

한국대학을 포기하면서까지 일본에 온 이유를 면접에서 잘 설명해야 합니다.

당연한 얘기지만, "한국은 취업하기 힘들어서" 라던지, "그냥 일본이 좋아서"와 같은 이유는 절대 금기입니다.

저런 말을 꺼낸 순간, 면접관의 마음속에서는 이미 불합격 상태일 겁니다.

적절한 대답은 "무언가 확고한 목표가 있었고, 그 목표를 위해선 다니던 대학을 중퇴하더라도 일본에 올 필요가 있었다"와 같은 명확한 이유를 제시해야 합니다.

사실 이런 이유를 제시하는게 현실적으로 정말 어렵기 때문에, 저는 대학교를 도중에 갈아타는 것보다는 일본 대학원으로 진학하시는 걸 추천합니다.

일하다가 넘어온 경우

한국에서 취직까지 했다가, 일본으로 넘어와 대학교를 재입학하거나 대학원에 진학한 케이스도 가끔 있는데요.

이 경우에도 일을 포기하고 넘어온 명확한 이유를 제시해야 하지만, 비교적 허들은 낮은 편입니다.

실제로 일했던 경력이 도움이 되기도 하구요.

"일하다가 다시 공부를 제대로 해보고 싶었고, 일본의 ~전공은 한국과 달리 ~한점이 있어 더욱 배우고 싶었다"와 같은 이유라면 납득해줄 겁니다.

마치며

일단 외국계 기업은 취업 연령이 늦어진 이유에 대해서만 잘 설명할 수 있다면 나이는 크게 문제가 되지않는거 같습니다.

일본계 기업은 평균 채용연령과 5년이상 차이나면 힘들다는 얘기가 있긴하지만, 그건 어디까지나 현지인들을 대상으로 한 얘기이기 때문에 외국인에게는 연령에 관해 조금 더 관대하게 봐주는 경향이 있는거 같습니다.

그래도 빠르게 준비하고 진행하는게 좋겠죠?

도움이 되셨다면 공감 버튼을, 추가로 궁금하신게 있다면 댓글 부탁드립니다!

Toplist

최신 우편물

태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