고라니 울음소리 이유 - golani ul-eumsoli iyu

우리가 몰랐던 고라니에 관한 사실들



한국에서 흔한 야생동물인 고라니에 관해 우리가 모르고 있는 사실들! 시골에 거주하는 분들이나 군대를 다녀온 남성들이라면 이 고라니가 더더욱 흔하게 느껴질 텐데요. 우리가 모르고 있던 고라니에 관한 것들을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고라니는 사실 국제적 멸종 위기 취약 종이다.

한반도에서 매우 흔한 야생동물인 고라니는 사실 국제적 멸종 위기 취약종으로 세계자연보전연맹에도 적색목록으로 등록되어 있는 야생동물입니다. 고라니는 한국과 중국에만 서식하는데 국제적으로 고라니 전체 수의 절반 이상이 한반도에 서식하고 있습니다.

고라니의 개체 수가 한반도에 유난히 많은 이유는 천적이 없어서인데 일제시대 때, 호랑이, 표범, 늑대들이 일본군에 의해 몰살 당하면서 천적이 사라졌기 때문.


물론 담비나 삵 정도가 고라니를 사냥하긴 하지만 성체는 거의 못 건드리는 편이고, 담비나 삵 자체도 천연기념물이라 개체 수가 적어 천적들이 고라니를 사냥하는 속도 보다, 고라니의 번식 속도가 비교도 안될 정도로 빠르기 때문.



고라니는 국내에서는 유해조수로 지정되어 있습니다. 중국에서는 고라니 개체 수 복원 작업을 하지만 국내에서는 농작물들을 사정없이 먹어치워 농민들과 인피티니 워를 치르고 있죠. 그것도 농작물을 다 먹는 것도 아니라, 완전 맛있는 부위 한 입만 먹고 나머지는 버려버림 ^^ 그래서 농부들에게는 멧돼지 더불어 골칫덩어리입니다.


해외에서는 뱀파이어 사슴이라는 별명이 붙어있다.

해외에서는 고라니에게 뱀파이어 사슴이라는 별명이 붙어 있습니다. 그 이유는 위 사진처럼 고라니 수컷에게는 날카로운 송곳니가 있기 때문.


거기다 고라니 수컷의 송곳니는 위처럼 움직일 수도 있다는 사실! 보통 송곳니가 있는 동물들은 이 송곳니만 따로 움직일 수가 없는데, 유일하게 고라니 수컷은 이 송곳니를 따로 움직일 수가 있습니다. 용도는 암컷을 차지하기 위해서 수컷끼리 싸울 때나, 서열 다툼에서 활용.
그리고 다른 사슴과 동물들과는 다르게 뿔이 암수 모두 자라지 않습니다.


고라니는 놀라울 정도로 수영을 잘 하는데, 아주 가끔 깊은 강도 헤엄쳐 갈 수 있으며, 심지어 한강을 헤엄치는 고라니도 종종 발견이 됩니다. 그래서 영문으로는 Water Deer라고 할 정도죠. 그리고 물가가 있는 지역 근처에서 주로 보금자리를 만드는 편입니다.

고라니 울음소리는 사람이 소리치는 소리와 비슷하다.


이건 듣는 사람마다 조금 다를 테지만, 군대를 다녀오신 분들은 야간 근무 때 산속에서 어떤 사람이 "왜!!!!" "으아!!!!" "야!!!" 라고 소리치는 것을 듣고 깜짝 놀라 지휘통제실로 통신보안이라는 말과 함께 보고를 때릴 뻔한 경우도 있었을 것입니다. 아 물론 과장이긴 하지만 종종 정말 사람이 내는 고함 소리와 비슷하게 들리기도 합니다. 저는 GOP에서 근무를 1년간 했었는데, 거기서는 처음 들어보면 정말 깜짝 놀랍니다.

새끼 고라니는 꽃사슴처럼 흰 반점이 있습니다. 그러나 생후 3개월 정도가 지나면 자연스레 사라지게 됩니다.
여담으로 가끔 인터넷에 새끼 고라니를 주웠다고 올리는 분들이 계신데, 고라니는 먹이를 구하러 갈 때 새끼를 안전하다고 판단되는 곳에 숨겨두고 먹이를 구하러 갑니다. 때문에 혼자 있다고 잡아오지 마시고, 어미가 데리러 갈 때까지 내버려 두세요.



우리나라에서는 고라니 개체 수를 조절할 수 있는 것이 인간뿐이 없기 때문에 멧돼지 더불어 사냥을 많이 합니다. 가죽은 쓸모가 없고 고기는 꽤 맛이 괜찮아서 먹을 수는 있으며 양념을 한 요리의 경우 소고기와 차이를 느끼기 힘들다고 합니다. 다만 우리가 쉽게 접하지 못하는 이유는 노린 냄새가 심하기 때문, 그리고 기생충에 감염될 가능성이 매우 높기 때문에 육회는 절대 먹어선 안됩니다.


요즘은 가끔 고라니가 도시에서도 보일 때가 있다고 하는데, 고라니 성격 굉장히 더러우니 건드리지 마세요. 예전에 한번 야생 고라니를 우연히 만나서 만져 보려고 했는데, 도망갈 길이 없다 벽에다가 머리를 피가 터질 때까지 들이 박아서 바로 길을 열어줬던 기억이 납니다. 실제로 만지려다가 다치는 사례들이 가끔 나온다고 합니다.

Toplist

최신 우편물

태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