고구려-수, 당 전쟁 의의 - gogulyeo-su, dang jeonjaeng uiui

[한국사] 고구려와 당나라 전쟁의 결과와 의의

  • 대학레포트 > 사회과학 > 자료상세보기 (자료번호:593658)
  • 조회 2028

  • 2012.09.20 / 2019.12.24
  • 14페이지 /
    ppt (파워포인트 2003)
  • 평가한 분이 없습니다. (구매금액의 3%지급)
  • 1,500원

최대 20페이지까지 미리보기 서비스를 제공합니다.

자료평가하면 구매금액의 3%지급!

1

2

3

4

5

6

7

8

9

10

11

12

13

14

추천 연관자료

  • [역사교육] E. H. Carr의 눈으로 본 우리 역사 교육의 현주소
  • [한국사개론] 삼국통일
  • 역사교육 속의 민족주의 고찰
  • [역사학] 삼국시대
  • 삼국통일 고구려 수나라 전쟁 고구려 당나라 전쟁 고구려 수당 전쟁 백제 멸망

목차 목차
고,당 전쟁의 역사적 배경
후연과 고구려
수나라와 고구려
당나라와 고구려
고당 전쟁의 주요 전투
1차 전투 – 안시성 전투
2차 전투 – 사수대첩
3차 전투 – 평양성 전투
고당 전쟁의 결과
시대적 결과
무기와 전술의 변화
전쟁에서 교훈
참고 문헌 및 링크
본문내용 고,당 전쟁의 역사적 배경
18대 태왕 , 고국양왕(광개토 대왕의 아버지)가 후연 공격을 시작 – 중단
19대 태왕, 광개토대왕 후연으로 공격을 받음(400년)
404년 후연 공격 중 백제와 왜의 연합군 공격으로, 잠시 수세
407년 후연을 견제하고 백제를 초토화, 후연이 분열
411년 광개토 대왕 후연을 정복

26대 태왕, 영양왕. 수나라 30만 대군 양성 소식에 선공, 수나라 고구려를 공격하려고 하였으나, 전염병과 해전에서 패배, 많은 물자와 병기 노획으로 수나라는 화친을 함(598년)
612년 수 양제의 1차 침입 (살수대첩) 수나라 패배
613년 수 양제의 2차 침입 (요동성 전투) 수성전략으로 이김
614년 수 양제의 3차 침입, 서로의 전의 상실로 화친으로 끝남

참고문헌 //blog.naver.com/PostView.nhn?blogId=dinos224&logNo=20113211378 백암성 전쟁에 관한 정보
//tadream.tistory.com/tag/%EC%97%B0%EC%A3%BC%EC%84%B1 참조자료 백암성
//php.chol.com/~noza/kokuryo/ko2.htm 참조 자료 오녀산성
//blog.naver.com/PostView.nhn?blogId=0120jjy&logNo=90081846760 평양성의 설명
//yakcho.egloos.com/9610430 고구려의 무기체계
//blog.hani.co.kr/chanmbaek/39993 고구려의 기술력(방어구나 활에 관하여)
//blog.naver.com/PostView.nhn?blogId=bulkarl0719&logNo=80149377192 전통기병에 관하여
//blog.naver.com/PostView.nhn?blogId=tpgnsdl17&logNo=30092186344 고구려의 군사기술 군대 병대체제 공성무기 병기
//blog.daum.net/joyro35/18317205 고구려 철갑기병에 관한
//blog.naver.com/PostView.nhn?blogId=ysenna&logNo=120004572250 고구려의 중기병 전략전술
//supercms.egloos.com/4091948 -고구려군의 공성병기 및 편재
//larca.egloos.com/1952694 - 고,당 전쟁의 전략 전술에 대하여 고찰 참조
//tadream.tistory.com/2633
//blog.naver.com/ksi3024?Redirect=Log&logNo=120029560502
//supercms.egloos.com/4091948
외 백과사전 및 삼국사기 자료집

회원 추천자료

  • 고구려의 대수,대당 전쟁
  • [동북공정] 동북공정과 민족주의
  • [역사왜곡] 고구려사왜곡문제 -동북공정
  • 삼국사기 긍정론과 부정론 및 나의생각
  • [한국문화와 역사] 수, 당나라 vs 고구려에 대한 역사에 대해서

1충북대학교

초록 열기/닫기 버튼

이 글은 고구려-수·당 전쟁의 군사사적 의미를 국가체제와 국제관계의 양면에서 생각해 본 것이다. 고구려와 수·당의 전쟁은 대규모의 군대가 동원된 大戰의 연속이었다. 대규모 군대의 동원은 무기체계와 軍制의 개편에 기초했는데, 이는 중앙집권적 국가체제의 정비와 짝하였다. 또한 중앙집권성의 강화를 추동하였고 파급력을 미쳤다. 7세기 백제·신라·일본은 전쟁에 직·간접적으로 참여하며 중앙집권적 국가체제를 강화시켰다. 이와 같은 연동성은 교통의 발달과 밀접했다. 전쟁은 군대와 군수물자를 이동시켜야 가능했기에 교통의 발달을 동반했다. 동북아시아와 내륙아시아·중원을 잇는 육상·수상·해상교통로가 두루 발달했다. 동아시아 여러 나라의 중앙집권적 국가체제 정비는 문물 교류를 통해 이루어졌는데, 교통의 발달은 그에 활력을 제공했다. 전쟁과 동반한 교통의 발달은 동아시아를 하나의 역사세계로 견인해 간 것이다. 7세기 고구려와 수·당의 전쟁은 동아시아 고대사회의 변화에 기초해 변화를 촉구했다.

This article considers the meaning of Goguryeo-Sui War and Goguryeo-Tang War in East Asian history in terms of both state system and international relations. These wars were a continuation of great war mobilizing large-scale armies. Mobilization of large-scale armies was based on the reformation of the weapon and military systems, which was paired up with the aligning of a centralized state system. It also promoted the strengthening of centralization and made power of influence. In the 7th century, Baekje, Silla, and Japan engaged directly or indirectly in the war, and strengthened the centralized state system. This interlocking was closely related to the development of transportation. War was accompanied by the development of transportation, because it was possible by moving militaries and military supplies. Overland, waterborne and marine traffic route connecting Northeast Asia, inland Asia, and Central Plains of China developed evenly. The alignment of a centralized state system in several East Asian countries was achieved through cultural exchanges, and the development of transportation vitalized this. The development of transportation accompanied by war led East Asia to one world of history. Goguryeo-Sui War and Goguryeo-Tang War in the 7th century called for change based on the change of ancient society in East Asia.


키워드열기/닫기 버튼

,

,

,

,

Goguryeo-Sui War, Goguryeo-Tang War, weapon system, military system, transportation, world of history.

피인용 횟수

  • KCI 2회

  • 300 회 열람
  • KCI 원문 미리보기
  • 원문 찾아보기
  • 논문 인용하기
  • 서지정보 내보내기

    • txt
    • RefWorks
    • Endnote
    • XML

  • 현재 페이지 인쇄

인용현황

관련 게시물

Toplist

최신 우편물

태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