에어컨 냉매부족 현상 - eeokeon naengmaebujog hyeonsang

자동차 에어컨이 시원하지 않으신가요? a/c버튼을 눌렀는지 확인하고 풍량을 변경해봐도 시원하지 않은 건 같습니다. 하지만 이렇게 에어컨이 시원하게 나오지 않을 때 꼭 확인해야 하는 부분은 바로 '냉매량'입니다. 냉매가 부족할 경우 절대 에어컨이 나오지 않는데, 그럼 어떻게 확인해야 하는지 알아보겠습니다.

에어컨 냉매가 부족한 이유?

확인해야 할 부분 몇 가지

불량 부위에 따른 수리 비용

에어컨 냉매가 부족한 이유?

  • 기계적인 고장
  • 냉매 누출

에어컨이 시원하지 않은 이유는 크게 두 가지입니다. 바로 기계적인 고장 또는 냉매 누출입니다.

기계적인 문제는 에어컨 콤프레셔,  냉매파이프, 콘덴서, 이베포레이터 등의 고장을 말합니다. 일반적으로 파손으로 인해 냉매가스의 누출로 에어컨이 시원하지 않은 원인에 해당됩니다.

냉매 부족은 왜 발생할까요? 앞서 말씀드린 에어컨 시스템 부품들의 손상으로 냉매가스가 누출되는 경우 이외 자연적으로 방출되는 냉매가 있기 때문입니다.

자동차 에어컨 시스템은 가정용 에어컨과는 달리 각각의 부품들을 연결하고 있습니다. 기밀유지를 위해 단순 고무 오링을 사용하고 있기 때문에 시간이 지남에 따라 경화 또는 변형으로 기밀을 유지할 수 없기 때문에 냉매 누출이 발생하게 됩니다.

에어컨 냉매 파이프

확인해야 할 부분 몇 가지

  • 기계적인 부분
  • 냉매 확인

에어컨 콤프레셔 상태를 확인합니다. 실내에 있는 A/C 버튼을 눌러 계기판 RPM의 변화를 살펴봅니다. 또 콤프레셔는 눈으로 직접 확인해 버튼을 누를 때와 누르지 않을 때 회전하는 모습이 다른지 확인합니다.(리니어 타입이라면 해당 없습니다.)

에어컨 콤프레셔에는 두 개의 파이프가 장착됩니다. 한 개는 고압 다른 하나는 저압 파이프입니다. 얇은 파이프가 고압인데, 해당 파이프의 고장이 다발생으로 나타나며 문제 발생 시 호스 주변이 오일에 젖어 있습니다.

범퍼 안쪽에 있는 에어컨 콘덴서를 확인합니다. 콘덴서 면이 전체적으로 같은 색상이어야 하며, 혹 어느 한 부분이 젖어 있다면 콘덴서 불량을 의심해야 합니다.

기계적으로 문제가 없다면 냉매량이 정상인지 확인해야 합니다. 자동차마다 주입되는 냉매량이 다르기 때문에 내차의 제원을 확인해야 합니다. 실제 차에 들어 있는 냉매량이 정상인지 확인하려면 장비를 연결해야 하기 때문에 가까운 정비소에 방문하시길 바랍니다.

불량 부위에 따른 수리 비용

  • 부품 가격
  • 교환 공임

부품 가격의 경우 에어컨 콤프레셔 20만 원~50만 원, 콘덴서 12만 원~15만 원, 에어컨 파이프의 경우 제품에 따라 1만 원~5만 원 정도 예상하시면 됩니다.

교환 비용의 경우 같은 부품이라 해도 차량별 부품별로 비용이 다릅니다. 때문에 정확한 비용의 경우 가까운 정비소를 방문해 확인 바랍니다. 대략적인 가격이라면 공임나라 표준 공임 확인 바로가기를 통해 알아보시길 바랍니다.

꼭 알아야 할 내용!

- 자동차검사 유효기간 조회 초간단 방법

- 개인 중고차 직거래 방법 알고 계신가요?

에어컨냉매 부족한 이유를 찾아서(에어컨가스충전 하기전에)

인천에어컨설치2020. 8. 10. 8:10

안녕하세요

오늘은 에어컨냉매 부족한 이유를 찾아서 다닌 현장에 대해서 포스팅을 해보겠습니다. 이글을 보고 있는 여러분들이라면 에어컨가스충전에 대해서 알아보시다가 오신것이니 꼭 참고하시길 바랍니다. 그러니 글을 끝까지 읽어봐주시길 바랍니다.

참고로 저는 설치기사이고 수리기사가 아니기에 모든누설부위를 찾을수는 없습니다. 다만 찾을려고 노력을 하는것뿐입니다.

에어컨냉매 부족한다면 어딘가에서 새고 있는것입니다.

가장중요한것입니다. 절대 가스는 혼자 없어지지 않습니다.

설치를 올해 6월달에 진행을 했으며 7월 중순까지 사용이 잘 되었지만 찬바람이 안나와서 상담을 한 내용입니다.

현장은 잘 알고있는 아파트이며 매립배관형태구조의 아파트이기에 스캐줄을 잡고 방문을 하게 되었습니다.

청라에 위치한 아파트이며 매립배관형태의 구조로 상당히 꺼려지는 설치구조입니다. 제품가동을 하니 역시 찬바람이 안나오는 에어컨냉매 부족현상이기에 어디에서 새는지 확인을 하기 위해서 형광물질을 투입하고 UV랜턴으로 확인을 했습니다.

형광액이 흘러나오는 현장입니다. 에어컨가스충전을 진행해야만 했던 이유는 바로 위의 사진처럼 매립배관체결기구에서 누설이 되고있기때문이였습니다. 이런 경우 매립배관 기구를 제거를 하고 재설치를 진행해서 매립배관수리를 진행해야하는 경우가 맞습니다. 이번 여름은 벽걸이제품쪽 서비스밸브를 잠궈서 사용을 하고 이후에 어떻게 할지 결정을 하기로 했습니다.

설치를 올해진행을 했고 스탠드와 벽걸이제품 따로 따로 사용을 하지만 스탠드제품만 찬바람이 안나와서 방문을 하게 되었습니다.

매립배관형태의 구조이며 마찬가지로 기구로 되어진 매립배관형태의 구조입니다. 위의 동영상을 보시면 누설이 되고 있는 모습이 보일것입니다. 저는 처음에는 체결불량으로 생각을 하고 너트교체를 진행하고 재작업을 통해서 작업을 진행했습니다.

체결부위를 재작업을 진행하면서 너트를 교체하고 거스러미제거 및 실런트를 이용한 체결을 3번이나 진행을 했지만 마찬가지로 누설이 되었습니다. 여기서 혼돈이 많이 되었습니다. 과연 설치불량일까 ? 아님 매립배관 기구 불량일까 ? 3번이나 진행을 했는데 마찬가지로 계속 되는 누설증상으로 기구제거에 대해서 안내를 해드리고 매립배관수리 전문업체에 이관을 해드리고 진행을 하게되었습니다.

기존에 있던 기구제거를 하고 용접을 통해서 배관연장을 진행해서 질소압력을 걸어놓고 3일이상 지켜보고 압력게이지 안빠지는것을 확인을 하고 재설치를 통해서 진행을 하게되었습니다.

매립배관형태의 아파트이며 5년전에 제품설치를 하셨으며 올해 7월달까지 별이상없이 잘 사용을 했지만 갑자기 찬바람이 안나오게 되어서 에어컨가스충전 업체를 섭외해서 진행을 했지만 2틀만에 안시원해졌다면서 상담을 했습니다. 상담을 통해서 이것은 바로 알수가 있었습니다. 제품상의 문제가 있으니 서비스센터에 접수를 통해서 진행을 하시고 제품수리를 받으시는게 좋을것 같다고 안내를 했지만 원인을 찾아달라고 하셔서 방문을 하게되었습니다.

제품가동을 하고 압력을 확인하니 역시나 냉매가 하나도 없는 상황입니다. 2틀만에 에어컨냉매 부족해서 찬바람이 안나오는것이면 엄청 빨리 새는 경우입니다. 우선 저는 설치기사이게 설치쪽부터 점검을 하기로 했습니다.

질소를 이용해서 원인을 쉽게 찾을수 있을것 같기에 바로 질소투입을 하고 하나씩 확인을 하기로 했습니다. 투인원 제품이기에 스탠드쪽 벽걸이쪽 체결부위 용접부위 확인을 했습니다.

체결부위 용접부위 아니였습니다. 역시 설치상의 문제라기 보다는 매립배관 혹은 실외기라고 생각을 했습니다. 실외기뚜껑을 열고 여기저기 확인을 했지만 못 찾았습니다.

실외기에서는 누설이 가장많이 되고 있는곳이 바로 이부분 콘드라는 부위입니다. 해당부위를 겉과 속 다 확인을 했지만 아니였습니다. 이래도 못 찾나 싶었지만 아무리 생각을 하고 경험을 토대로 보았을때 분명 실외기가 맞는것 같아서 실외기에 질소가압테스트를 진행하고 게이지를 달아놓기로 했습니다. 눈에 보이면 다행이지만 눈으로 안보이는 경우도 있습니다. 그럴때 이용하는게 질소가압테스트입니다.

실외기에서 스탠드배관을 풀어놓고 벽걸이배관쪽 배관을 잠궈놓은 상태에서 질소를 이용해서 실외기에 가압테스트를 진행했습니다. 주변정리를 하고 돌아오니 분명 압력이 빠졌습니다. 그쵸 ? 여러분들 눈에도 보이죠 ?

우선 게이지를 달아놓고 다음날 고객님께 연락을 해서 게이지 상태를 확인해달라고 했습니다. 첫번째 사진이 오전의 사진이고 두번째 사진이 오후의 사진입니다. 네 맞습니다. 실외기에서 누설로 인해서 에어컨 가스충전을 진행했던것입니다. 이런경우 제품상에서 누설이 되는경우이기에 서비스센터에서 수리를 하셔야합니다.

이전설치를 2년전에 진행을 했으며 작년까지 찬바람이 잘나왔지만 올해에 찬바람이 안나와서 그 이유에 대해서 상담을 한 내용으로 방문을 하게되었습니다.

설치상의 문제인 배관체결부위를 확인을 했지만 원인을 못 찾아서 실외기뚜껑을 열고 확인을 했지만 실외기도 아니였습니다. 배관이 살짝 의심스러운 상태이기에 형광물질 투입을 선택하고 확인을 했지만 원인을 찾을수가 없었습니다. 이후에 찬바람이 다시 안나올때 연락을 해달라고 하고 다시 방문을 했습니다.

배관불량으로 찾았습니다. 배관에 묻어 나오는 형광물질을 찾았습니다. 찾기 어려운곳이였습니다. 배관누설로 인해서 배관교체에 대해서 안내를 해드리고 재설치를 해야만 했습니다.

이번현장 저에게는 역대급입니다. 이 현장 누설 찾기 위해서 엄청 고생한 현장입니다. 초~울트라캡 미세누설 현장입니다. 에어컨가스충전을 하면 한해는 별이상없이 잘 사용을 하는 고객님입니다. 제가 작년에 진행을 하면서 형광액을 넣어놨습니다. 올해에 영락없이 연락이 왔으며 저도 궁금한 현장이였습니다.

역시나 압력을 확인하니 아직도 15PSI의 압력이 잡혀서 아직도 남아있는 상황입니다. 너무나도 궁금해서 가장 의심스러운 뒤쪽 체결부위를 분리해보았습니다.

보이시죠 ? 너트에 묻어있는 형광물질 보이시죠 ? 냉매누설탐지액으로 나오지 않던 체결부위인데 이렇게 형광물질이 묻어있습니다. 못 믿으시겠다고 ? 저도 안 믿겨져요~ 그래서 같은 부위에 달려있던 고압관 너트도 확인을 했습니다.

두개의 너트 동시에 비교해서 보시면 아시겠지만 고압관에는 형광물질이 안 묻어있고 저압관에는 형광물질이 묻어있습니다. 이렇게해서 너트 교체 및 체결부위 거스러미제거 하고 다시 만들어드리고 실런트를 이용해서 배관체결을 다시 진행을 해드렸습니다.

이후 피드백을 통해서 고객님과 계속 연락중이며 아직까지 잘 사용을 하고 있는 상황입니다. 찾아서 다행이긴 합니다만 작년에 못 찾아드린게 너무 죄송스러웠습니다.

찾아드린 현장들만 올려드려서 이사람 잘 찾나보나 하는데 아닙니다. 실제로 못 찾는 현장도 많이 있고 아직 게이지 달아 놓고 진행중인 현장들도 많이 있습니다. 다만 찾을려고 노력을 하는것뿐입니다. 찾을려고 하면 찾을수는 있지만 그만큼 시간과 비용이 많이 들어가야한다는 점 알아주셨으면 합니다.

가장 중요한것 한가지 에어컨가스충전을 한다는것은 어딘가에서 누설이 되고 있다라는것은 사실입니다. 누설부위를 찾고 수리를 하지 않는다면 계속해서 누설이 될것입니다.

바로 시간과 비용이 많이 들기때문입니다. 제 블로그에서 누설로만 검색해도 여러현장들이 나옵니다. 배관누설 , 제품누설 , 체결부위누설 , 매립배관누설 등등 찾는비용 수리비용보다 충전비용이 저렴하기때문에 충전만 진행을 하는것입니다. 솔직히 벽걸이제품의 경우는 체결부위불량, 설치불량사례 아니고서는 찾고 수리하는것보다는 제품교체하는것이 더 저렴할수 있는 상황도 있습니다.

위의 5가지 사례로 정리를 하자면 매립배관불량 , 설치 및 매립배관불량 , 제품불량 , 배관불량 , 설치불량 사례입니다. 이처럼 누설은 어디에서도 될수 있는것입니다. 꼭 설치불량만 있는것이 아니고 제품불량 , 배관불량도 있으니 참고하시길 바랍니다.

관련 게시물

Toplist

최신 우편물

태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