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수생 거북이 죽음 - bansusaeng geobug-i jug-eum

디시 파양갤에 반수생 거북사육을 위한 자료들이 있긴 있지만 총체적인 것이 없으므로 내가 써봄.  고수들이 아니라 고무다라이에 물만 넣고 기르면

되는줄 아는 초보자들을 위한 내용이니 특별한 건 없음.  짤은 파양갤에서 업어옴. 갤러들의 양해를 부탁함.  틀린내용 있으면 태클 환영.

이 글의 많은 내용은 디시 좆문가와  낮은시선 느린발걸음 거북 이라는 책과 드미트리님의 '아쿠아 비너스'에서 인용했음.(www.aquavenus.co.kr)

목차

1. 반수생거북?

2. 사육장

3. 물의 깊이

4. 쉴곳(육지)

5. 조명

6. 여과시스템

7. 먹이

8. 물갈이 및 여과기 청소

9. 계절별 준비

p.s 귀찮으니 반말로 작성함

----------------------------------------------------------------------------------------------------------------------------

1. 반수생거북?

    반수생 거북은 영어로는 Semi-Aquatic이라고 한다. 흔히 큰 대형마트나 수족관 같은데 가보면 조그만 수조에 쪼매난 거북이들이 왕창왕창 쌓여서

    버둥거리는걸 본적이 있을터인데 그 대부분의 거북들이 반수생 거북이다.  반수생의 뜻은  물에서 살긴사는데 반드시 생활할 육지가 필요하다는

   뜻이다. 이런 거북의 종류에는 흔히 볼수있는 레드벨리터틀, 페닌슐라, 보석거북, 남생이, 자라, 청거북(붉은귀거북) 등등이 있다. 거북을 기를때 주

   의할 점은 거북은 오래 산다. 20년이상 기를걸 각오하고 길러라. 중간에 방생한답시고 풀면 겨울에 다 얼어죽는다. 또 반수생 거북은 해츨링(새

  끼)=>성체로 갈때 정상적으로 길렀다면 크기가 매우  커진다. 새끼때 동전 500원 만했던 놈이 어느새 6개월 후엔 성인 손바닥 만해 지기

  때문에 해츨링만 보고 귀엽다고 덥썩 조그만 수조에 키우면 되겠지 하면 나중에 반드시 후회하며 다른곳에 주고 마는게 보통이니 키울

  때 잘 생각해 봐야 한다.  

   여담으로 지금 시중에서 유통되는 반수생거북들 즉 샾이나 마트등에서 파는건 우리나라의 겨울을 버티지 못하고 죽어서 생태계교란

   이 없을걸로 판단되서 수입허가가 된거다. (그러니 방생하면 거의 다 죽는다는 얘기다. 물론 그런데도 적응한 붉귀 성님도 있지만..그리고 인간적으

   로 거북이 들여올때 택배는 부치지 말자..또 처음부터 욕심부리지말고 한마리 부터 키우는것을 추천한다.  거북이는 외로움같은거 안타니까 걱정말

   고 한마리부터 시작 ㄱㄱ)

 반수생거북의 대표 붉은귀거북 성님

2. 사육장

   수조, 수납용박스(리빙박스), 고무다라, 반신욕조 등이 있다. 가능한 넓은 공간이 확보되는 것이 좋으며 수조를 이용할경우 유리로 된것이 좋다. 어.

    리빙박스는 물 많이 넣으면 옆으로 휜고 관상하는 재미도 떨어진다. 고무다라 나 반신욕조나 뭐 이런것들은 기르는데는 큰 무리는 없겠지만 거북이

    를 보면서 즐기기에는 무리가 아닐까? 돈이 없다면 할수 없지만 최선은 유리로 된 수조라고 본다.

   수조의 크기는 크면 클수록 좋다. 이건 진리다. 자신의 경제력과 집의 공간등을 고려해서 하되 거북이가 등갑이 30cm정도 되는데 1자수조에 가둬놓

   고 기르는 짓거리는 하지 말자. 또 좁은 공간에 많이 기르지 말자. 과밀사육은 어느 동물이든 좋을거 없다. 해츨링(새끼)일대야 작으니 1자수조에

   3~4 마리 키울수도 있겠다만 조금만 더 키우면 감당 안된다. 한마리나 많아야 두마리 정도를 기르는걸 추천한다. 또 각 인터넷 쇼핑몰이나 매장

  에서 거북이 전용이랍시고 높이를 낮춘수조를 전용이랍시고 파는데 그런걸 절대 절대 절대 쓰면 안된다. 그거 개사기꾼들이 호구들을

  낚기 위해 만든거다. 이유는 다음장에 기술.

일반적인 유리 수조

3. 물의 깊이

  보통 사전에 공부하지 않고 거북을 기르게 되면 물 높이를 낮춰서 기르는게 상식처럼 되 있다. 나도 처음 기를땐 물을 한 1/4만 채우고 이정도면 되겠지 해서 의기양양하게 디시에 인증사진 올리고 했는데 물은 깊어도 상관 없다!  단  기어올라가서, 몸을 완전히 말릴 수 있는 쉴곳(육지)가 존재하는 경우에는 깊어도 상관없다. 반수생거북중에 물에 빠져 죽는놈은 없다. 육지가 있다면. 다만 장식품이나 육지 등에 끼어서 익사할수 있기 때문에 장식을 할때 생각을 해야 한다. 보통 거북이는 육지가 필요하다고 주서 들어서 돌같은 걸로 육지를 만들고 물을 얕게 하는경우가 많은데 그건 권장되지는 않는다. 생각해봐라 1자수조를 사용하는데 있어 물을  육지때문에 10cm 채우는거랑  수심을 25cm이상 채우는거랑 공간활용도는 어마어마하게 차이난다. 다만 수심을 깊게 할려면 인공적인 육지가 필수다. 만들수도 있는데 자세한 건 아쿠아비너스 홈페이지에서 검색 ㄱㄱ 육지에 대해선

다음장으로

사진처럼 이렇게 하면 안된다는 거다.

4. 쉴곳(육지)

   반수생 거북은 삶의 터전은 물과 육지 두가지 요소가 다 필요하다. 쉴곳은 육지에 해당하는 요소이고 이는 단순히 쉬는 공간이 아니다. 일광욕

   을하고 등껍질을 말리고, 살균을 하는 장소로서의 역활이 쉴곳이다. 추가적으로 쉴곳에 기어올라가기 위해서 근육을 쓰게하고 발톱을 마모하게 하고

   하는 등의 효과가 있다. 또 이런 쉴곳에는 자외선등(UVB램프)와 스팟램프가 필요하다. 이렇게 셋팅해 놓으면 지가 알아서 놀다가 육지에서 일광욕

   하는거 볼수 있다. 반수생은 일광욕 하는거 볼때가 졸귀다. 물이 얖든 깊은 쉴곳은 반드시 있어야 하고 기왕 기르기로 햇으면 물좀 채우고 거북섬이

   나 터틀닥, 터틀뱅크 같은 인공육지 질러버려 그게 관상하기에도 좋다. 경제적으로 안되면 루바(구멍슝슝뚤린 플리스틱판)같은거 이용해서 만들어

   줘도 된다. 암튼 쉴곳(육지)는 필수다

5. 조명

    조명은 반수생거북을 사육함에 있어 필수다! 왜냐면 칼슘대사와 온도조절을 하기 위해서.. 그래서 일반 형광등이나 삼파장 램프같은거 말고 전

    용 UVB램프와 스팟램프가 있어야 한다. UVB램프가 있어야 비타민D3를 스스로 생산하고 칼슘대사를 돕는다. 또 스팟램프가 있어야 거북이가 뜨뜻

    한 곳에서 몸도 말리고 하는등을 통해서 체온조절을 한다. 가장 좋은건 유리나 아크릴를 통과하지 않은 직사광선이지만 아마 대부분의 사육환경은

    직사광선을 못 쬘거야. 그러니 램프가 필수다. 램프 없으면 키우지마. 가끔 파양갤에 보면 저는 거북이 일광욕도 따로 안시키고 램프도 없이 잘키웠

    는데요? 하는 애들 있는데 너넨 키운게 아니라 고문한거다. 추가적으로 고수들은 이 UVB램프의 필요성에 대해서 없어도 된다는 의견도 있다. 하지

    만 보통 초보들이 한여름에 일광욕 시킨답시고 밖에 방치하다가 죽이는 경우가 많이 떄문에 초보들은 UVB램프를 쓰는 것을 권장한다. 반수생중에

   서도 육식성향이 강한 머스크 류 등보다는 초식성향이 강한 쿠터류등이 UVB램프가 필요하다. 3장 사진에 보면 왼쪽 아래에 뱅글뱅글말린 램프가

   하나 보일텐데 그게 바로 UVB램프다.

6. 여과시스템&환수

    반수생거북은 처음에 말한것처럼 물에서 많은 시간을 보낸다. 또 수조든 고무다라든 뭐든 반드시 여과기가 있어야 한다. 단 매일매일 환수(물을 갈

     음) 할 자신이 있다면 없어도 되지만 당신이 매일 환수를 할리는 없으니 여과기를 설치해라.(길러보면 알겠지만 매일 환수한다는건 말이 쉽지 정말

     어렵다.) 거북이 잘 버틴다고해서  물도 잘 안갈아주고 여과기도 없이 키우는 애들은 키우는게 아니라 고문하는거다. 거북이를 어항에서 기르다보

     면 배설물이나 먹이찌꺼지, 허물등이 상상외로 많이 나온다. 그러니 여과기는 수조용량에 비해서 오바라고 생각될정도로 준비하는것이 좋다. 여과

     기종류에는 상면여과기, 저면여과기,  외부여과기, 걸이식여과기, 측면여과기 등등이 있는데 명심해라 여과기는 거북항의 환수주기를 늘려주

    기 위해서 있는것이지 '여과기만 설치했으니 물을 안 갈아 줘도 되겠지? 라는 생각은 절대 금물이다.' 거북이는 물고기가 아니고(물고기

     도 부분환수한다) 물이 더러워지는게 생각보다 빨리 일어난다. 그러니 여과시스템에 맡겨서 물을 보충만 해주면서 기를수 없다!(연못이나 호수에

     기른다면 몰라도..한 7~8자 슈퍼 어항에서 키우는게 아닌이상 환수는 필수)   물이 삶의 터전이기 때문에 수질을 깨끗하게 관리하는건 내 거북이

     병에 안걸리고 튼튼하게 살수 있는 환경을 만든다는 거다. 다만 스펀지여과기처럼 여과재가 노출된건 거북이가 뜯어먹을수 잇으니 쓰지마라. 참고

    로 작으면서 좋은 여과기는 없다. 세상에 마법은 없기 때문이지. 여과기는 물리적 여과기(측면,걸이식등 )과 생물학적(스펀지, 저면, 외부등) 등

    이 있는데 물리적인 것과 생물학적인 것 등을 섞어 쓰되 맹신하지 말고 최소 일주일에 한번이상은 수조내의 물을 80%이상 교체하는 환수를 실시해

    야 건강하게 키울 수 있다.

7. 먹이

  거북이 키우기에 있어 매우 중요하지. 자연상태에서야 거북이 지가 꼴리는대로 알아서 잘 먹겠지만 사육상태에서는 스스로 균형을 유지하기가 어렵

  다. 설마 사료1종류만 계속 먹이면서 이걸로 되겟지 라고 생각사람은 없겠지?? 애완샾에서 구할수 있는 반수생거북사료 + 잉어와 금붕어용 사료도

  거북이 줄수 있다. 근데 이것만 주면 필수영양소 결핍이 올수 있으니 다른종류의 먹이도 공급해야 한다. 보통 수족관에서 거북이 사면 감마루스 하나

  떨렁 주면서 '이거만 주면 되요' 이지랄하는데 개소리다. 감마루스는 간식으로 지급하고 테트라 랩토민이나 박스터틀 푸드, 생칩바이오, 래피아이등

  을 주는게 좋다. 또 거북이는 사실 아무거나 줘도 다 잘먹긴하는데 사료를 베이스로 하고(3~4종류이상) 채소류와 동물성단백질(밀웜, 염분뺀 멸치,

  미구라지)등을 주면 좋다. 나는 수조에 물배추하고 부레옥잠같은걸 같이 키우는데 물배추 잘 뜯어 먹는다. 참고로 반수생거북들은 쿠터류(여러분들

  이 마트나 샵에가서 마리당 만원에서 이만원에 업어오는 그런 거북이)는 보통 해츨링때는 잡식, 커서는 초식을 선호하게 된다. 붉귀 같은 슬라이더류

  는 걍 잡식.   머스크류는 육식이 강함. 자기 거북의 종류를 알았다면 인터넷에서 확인해보고 맞는데로 키우면 된다.

좌- 테트라 렙토민(기본적인 베이스 사료)  // 우- 박스터틀 푸드(초식성향이 강한 거북을 위한 사료)

 

8. 물갈이 및 여과기 청소

     초보들이 하는 가장 큰 실수가 거북이는 튼튼하니 물을 한 2주나 3주에 한번 갈아줘도 된다고 생각하는 것이다. 물갈이는 미리미리 하는게 좋다. 물

    에서 썩은내나고 앞이 안보일정도로 뿌옇게 될때까지 두면 거북이도 훅 갈수 있다. 생물학적 여과기는 청소할때 너무 열심히 하면 안된다. 여과재에

    박테리아가 생겨서 그 박테리아들이 유기물들을 분해하는데 청소할때 꽉짜고 빡빡 닦으면  다 죽는다. 가볍에 한번 짜주는 정도로 해주면 되고 묻은

    유기물등을 제거하면 된다. 또 여과재는 청소용으로 준비한 물로해야 된다. 근데..사실 거북이는 이런 생물학적 여과를 기대하기가 어렵고 물을 자

    주 갈아 주는 것이 가장 좋다. 청소주기는 일주일에 한번 정도를 기본으로 잡되 자신의 수조 크기와 거북이가 내뿜어 내는 분비물로 인해 더러워지

    는 속도를 보고 판단하는게 좋다.

9. 계절별 준비

    거북이를 기르는데 또 필수 요소가 있다. 바로 히터다. 여름엔 필요 없을 수 있지만 겨울엔 반드시 반드시 필요하다. 의외로 히터의 중요성

    을 모르는 애들이 많던데 히터는 반드시 있어야 하고 또 히터는 꼭 물에 다 잠기게 하거나 혹은 맨위 꼭지 부분만 올라오도록 설치해야 한다.(안그럼

    터진다. 말그대로 폭팔 '펑')겨울엔거북이 활동할 물의 온도를 최소 24~27도 이상으로 유지해야 겨울잠을 안잔다. 잠자면 밥도  안먹고 푹쉬니까

    좋은거 아니냐고?  영원히 자는수도 있다. 사육하는데 특별한 이유가 없다면 겨울잠을 재울 필요는 없고 지금 우리나라에서 키우는 거북중에 겨울

    잠을 자서 안전한건 남생이와 자라, 일본 돌거북정도(남생이 일본버전) 뿐이다. 왜냐면 걔들은 토종이기 때문에. 그이외에 거북이들은 따뜻한 남쪽

   나라나 플로리다 이런데서 잘 살다가 온 애들이기 때문에 한겨울의 추위를 버틸 수 없다. 물론 붉귀 성님은 여기서도 예외.  여름엔 외부온도를 고려

   해서 안켜도 상관지만 하던데 온도 고려해서 해라.  

내가 적은 내용들은 많은 부분을 인용한거다. 그리고 태클 및 지적등은 환영한다. 마지막으로 하고 싶은 말은 무슨 생물이든 키우고 싶다면 경제력이 있어야 한다. 그래야 동물을 동물답게 존중하면서 기를수 있다. 돈 없이 단지 귀여우니 키워보겠다고 하는건 동물 학대가 될 수 있다. 또 내가 쓴글을

다 읽어봤으면 알겠지만 생물을 기른다는건 항상 신경쓸게 많고 생각할게 많은 일이다. 거북이니까 개나 고양이보다 쉽겠지 라고 생각하면 오산이다.

거북이는 귀가 있나요?

거북이귀가 없어요. 정확히 외이가 없습니다.

거북이 다리 몇 개야?

두루미는 2개, 거북은 4개의 다리를 갖고 있습니다.

Toplist

최신 우편물

태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