백설이 잦아 진 골에 풍유법 - baegseol-i jaj-a jin gol-e pung-yubeob


백설이자자진 골에 - 이 색 -
    백설(白雪)이 자자진 골에 구루미 머흐레다. 반가온 매화(梅花)난 어내 곳에 픠엿난고. 석양(夕陽)에 홀로 셔 이셔 갈 곳 몰라 하노라. [현대어 풀이] ◎백설이 녹아 없어진 골짜기에 구름이 험하구나. ◎반가운 매화는 어느 곳에 피어 있는가? ◎저물 무렵 홀로 서서 어디로 가야할 지를 모르겠노라. [창작 배경] 작자는 고려의 충신으로서 쇠퇴해가는 고려의 국운을 바로 잡으려는 뜻을 이루지 못했지만, 조선왕조가 들어서서 작자 에게 벼슬을 내렸지만 끝까지 사양하며 지조를 굽히지 않은 선비였다. 이 시조는 고려말 당시에 자꾸만 기울어져가던 고려 왕조에 대한 안타까운 심정을 읊은 작품이다. [이해와 감상] 고려왕조의 국운이 점점 쇠퇴해지고 어두워져만 가는 것을 헤아리고, 그 안타까움을 자연물에 빗대어 형상화 한 작품 이다. 초장의 '백설'은 고려왕조의 번성했던 시절 내지는 고려왕 조의 충신을, '구름'은 고려왕조가 몰락해 가는 암울한 기운 내지는 새로운 왕조를 이룩하기 위한 신흥 세력들을 나타 내고 있다. 중장의 '반가온 매화'는 고려왕조의 국운을 다 시금 회복시킬 수 있는 우국지사나 역사적 분위기를 나타 낸다. 종장의 '석양'은 스러져가는 고려의 운명을 우의적 으로 표현한 것이며, 갈 곳을 몰라 하는 시적 자아의 모습 에서 안타까워하는 심정과 갈등하는 모습을 읽을 수 있다. 작자는 왕조의 마지막인 역사의 전환기를 맞이하는 심정 을 자연의 경치에 빗대어 표현하고 있다. 충신과 지사들 (백설, 매화)이 몰락하고, 간신들(구름)이 들끓는, 나라가 기울어 가는 이 판국에 몸둘 곳을 몰라 하는 작자의 심정 을 읊고 있다. 역사적 전환기에 처한 지식인의 고민을 '석 양에 홀로 셔 이셔 갈 곳 몰라 하노라'하는 탄식 속에 묻으 면서도 어디선가 나타나 줄 것만 같은 '매화'와 연결시켜 그 정을 더해 주고 있다. *자자진 → 잦아진, 녹아 없어진 *머흐레라 → 험하구나. [개관 정리] □ 성격 : 평시조, 단시조, 우국시 □ 표현 : 풍유법 □ 주제 : 우국충정

......^^백두대간^^........白頭大幹
21346

1수로 『청구영언(靑丘永言)』에 수록되어 있다. 고려가 망한 것을 회고하고 인세(人世)의 무상함을 슬퍼하여 지은 시조이다. “白雪(백설)이 ᄌᆞ자진 골에 구루미 머흐레라/반가온 梅花(매화)ᄂᆞᆫ 어ᄂᆡ 곳에 픠엿ᄂᆞᆫ고/夕陽(석양)에 홀로 셔 이셔 갈곳 몰라 ᄒᆞ노라.”

이색은 신흥사대부(新興士大夫)를 지도하는 위치에 있었던 온건파로서 그가 역사의 전환점에서 머뭇거리고 번민하는 심정을 이 작품은 잘 나타내 주고 있다. 특히 백성·구름·매화·석양 등의 시어(詩語)는 고려의 사직을 지키려는 선비, 고려 왕조를 무너뜨리는 신흥세력, 고려를 섬기려는 우국지사, 기울어져가는 고려 왕조의 현실 등을 상징하고 있다.

  백설(白雪)이 자자진 골에 구룸이 머흐레라

  반가온 매화(梅花)는어느곳에 퓌엿는

  석양(夕陽)의 홀로 셔 이셔 갈 곳 몰라 하노라

                                                                        - 이색(李穡) 

[말뜻]

- 백설 : 고려 유신(遺臣)을 비유.

- 자자진 : 잦아진. 녹아 없어진.

- 구룸 : 조선의 신흥세력인 이성계 일파를 비유함.

- 머흐레라 : 험하구나.

- 매화 : 우국지사(憂國之士), 구국지사(救國之士)를 비유함

- 석양 : 기울어 가는 고려 왕조를 비유함.

[핵심 정리]

* 갈래 : 평시조, 단시조 

* 연대 : 고려 말엽

* 성격 : 우국적(憂國的), 우의적

* 표현 : 은유법, 풍유법

* 제재 : 매화, 고려의 쇠잔

* 주제 : 우국충정(憂國衷情). 혼탁한 정치에 대한 안타까움

* 출전 : <청구영언>

[현대어 해석]

  백설이 녹아 없어지는 골짜기에 구름이 험하기도 하구나

  반가운 매화는 어느 곳에 피어 있는가

  석양 속에 홀로 서서 어디로 갈지 몰라 하노라

[작품 감상]

  고려의 유신(遺臣)인 화자가 고려말의 험난한 정치적 상황 속에서 점차 기울어 가는 나라를 바라보며 안타까워하는 심정이 우의적으로 잘 나타나 있다. 간신배를 상징하는 '구름'이 험한 속에서 나라를 구할 우국지사인 '매화'가 피어나기를 기다리고 있으며, 하지만 기울어 가는 고려 왕조인 '석양' 속에서 어디로 가야 할지 방향을 잡지 못하는 안타까움의 심정을 노래한다. 한 폭의 동양화를 보는 듯한 시적 구도 속에서 화자의 우국의 정이 절절하게 표현된 작품이다.

관련 게시물

Toplist

최신 우편물

태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