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서왕 이야기 요약 - aseowang iyagi yoyag

아서(Arthur)왕은 6세기경 영국의 전설적 인물이며 켈트 민족에 속하는 영웅이다.

브리튼 지방을 소재로 한 일련의 중세 로맨스에서 원탁의 기사들을 다스리는 왕으로 나온다. 이러한 전설들이 어떻게, 어디에서 유래했는지, 그리고 그가 역사상의 실제 인물이었는지는 확실하지 않다.

아서가 역사상의 인물로서 웨일스인들을 이끌어 템스 강 중류에서 전진해오는 서부 색슨족에게 저항했다는 가설은 2명의 초기 연대기작가인 길다스와 넨니우스의 주장을 합친 자료와 10세기 후반의 <웨일스 연대기 Annales Cambriae>에 근거를 두고 있다.

9세기 넨니우스의 <브리튼 역사 Historia Britonum>에 따르면, 아서는 색슨족에 저항해서 12번의 전쟁을 치렀으며 몬스 바도니쿠스에서 가장 큰 승리를 거두었다고 한다. 그러나 이 작품에 나오는 아서에 대한 기록은 출전이 불확실하고 아마도 시(詩) 작품에서 옮긴 것으로 보인다.

'아서왕 이야기'는 켈트족의 다양한 신화와 전설에 기독교 전승까지 덧씌워진 것으로, 여러 중세 작가 특히 프랑스 출신의 작가들이 아서의 출생에 대한 일화, 기사들이 벌이는 모험, 왕비인 귀네비어와 기사인 랜슬롯 경의 불륜의 사랑 등 여러 가지 다양한 이야기를 만들어냈다. 예수가 최후의 만찬에서 사용한 뒤 아리마태아의 요셉에게 주었다는 성배 탐색, 귀네비어와 랜슬롯의 불륜의 사랑 때문에 결국 기사들 사이의 우정은 깨지고 아서는 죽으며 왕국도 파멸을 맞는다.

<칼을 뽑는 아서>

아서와 그의 왕실에 관한 이야기는 11세기 전에 웨일스 지방에서 큰 인기가 있었다. 이 이야기가 유럽에서도 유명해진 것은 12세기의 수도사 몬머스의 제프리가 라틴어로 <브리튼 왕 열전 Historia regum Britanniae>(1135~39)을 쓰면서부터였다.


<브리튼 왕 열전 Historia regum Britanniae>

이 이야기는 동부 프랑스에서 로마군을 무찌르고 영광스럽게 개선했으나 조카 모드레드가 이끄는 반란군과 싸워 치명상을 입은 한 왕을 찬양하는 내용이다. 12세기말 켈트족 이야기에서 소재를 빌려온 크레티앵 드 트루아는 5편의 로맨스에서 아서를 불가사의한 힘을 가진 통치자로 설정하고, 또 아서 왕의 전설에 성배를 찾는 내용을 덧붙였다. 13세기 산문형식의 로맨스가 다루기 시작한 2가지 주제는 성배를 차지하는 일과 랜슬롯과 귀네비어의 사랑이다.

한편 영국에서는 15세기에 토머스 맬러리는 사라져 가는 중세적 질서에 대한 애석함을 느끼고 아서왕 전설을 집대성해 산문으로 기록한 <아서왕의 죽음>(1485)을 출판하였는데, 이것은 영국 최초의 산문소설이라는 점에서, 중세문화의 아름다운 영상을 후대의 문인들 가슴에 소생시켰다는 점에서도, 영문학사상에 불후의 명성을 남기고 있다.

# 원탁의 기사(圓卓의 騎士) The Knights of the Round Table 

영국 아더왕 King Arthur 전설에서 아더왕을 받들던 12명의 기사.


 원탁은 말 그대로 둥근 탁자로 이 탁자의 어디에 앉던지 모두가 동등했으며, 지위나 계급은 아무런 효과가 없었다. 위대한 군주 밑에서 확립된 고결한 전우애의 상징. 상하의 차별이 없는 평등성을 시사. 기사들의 우위 다툼을 멈추게 하기 위해 아더왕이 고안해냈다고 한다. 원탁의 기원에 관해서는 여러 설이 있다. 이 원탁의 크기와 좌석의 숫자는 잘 알려져 있지 않으며, 중세이후, 그리스도 최후의 만찬과 성배전설과 맞물려 13개의 좌석으로 묘사됨. 원탁은 마법사 Merlin 멀린에 의해 만들어졌다고 한다. 멀린은 원탁을 만들고 전국의 영주들과 기사들을 불러모아 왕에게 충성하고 서로간에 도움과 협력을 주고 받겠다는 맹세를 하게한 것으로 알려져 있다. 멀린은 원탁을 만들면서 그리스도의 13 사도를 기념해 13개의 좌석을 만들었는데, 이중 열 두개의 좌석만이 명망이 높은 기사들의 소유가 되었다. 마지막 13번째 자리는 배신자 유다를 상징하는 자리로 그 자리만큼은 언제나 비워두었다. 한 대담한 사라센기사가 경고를 무시하고 그 자리에 앉았더니 대지가 입을 벌려 그를 삼켜버렸다. 원탁에는 마법의 힘이 있어 그 자리의 주인이 다가오면 그윽한 향기가 나며 그 자리의 주인이 될 기사 이름이 새겨지게 되어 있었다. 이 자리에 앉기 위해서는 용기나 명예 등 여러 가지의 면에서 그 자리의 이전 주인보다 뛰어나지 못하면 앉을 수가 없었다. 실제로 영국 윈체스터에는 이를 본 딴 원탁이 하나 있는데 이는 정복자 윌리엄에 의해 만들어 진 것이라고 한다. 원탁의 기사는 여러 나라를 순례하며 성배를 찾고, 무용을 연마하여 약한 자, 특히 여성을 도와주는 중세 기사도를 구현하는 존재였다. 기사들의 무용담에 관해서는, 12∼15세기에 영국·독일·프랑스를 중심으로 많은 시와 산문이 쓰여졌다.

아더왕은 6세기경의 전설적 인물이며 켈트족에 속하는 영웅이다. 아더왕은 당시 선진 국가인 로마가 브리튼에서 철수하고 난 뒤 야만족의 침입을 받아서 곤란에 처해있던 브리튼을 이끌고 야만족에게 맞섰던 것으로 여겨지는 인물.

전설의 내용은 아더왕의 용맹스러운 건국담(建國談)으로 되어 있다. 그가 무공을 세워 여러 나라를 공략했지만, 결국 조카의 반란을 토벌할 때, 치명상을 입고 사자(死者)의 섬 애벌른에 옮겨지게 될 때까지를 주된 줄거리로 하고 있는데 여기에 왕에게 봉사하는 원탁의 기사들의 활약이 얽혀 있다.


<멀린과 아더>

아서왕은 잉글랜드왕의 왕자로 태어나 마법사 멀린의 도움으로 즉위, 주변 여러 나라의 평정을 도모한다. 그리고 보검 Excalibur엑스캘리버를 입수하고, 카메리아드왕의 공주 기니비어와 결혼하며, 원탁의 기사단을 인계받는다.

<엑스칼리버>

그 후 아서왕의 공적은 점차 커가고, 용사 랜슬롯 등이 기사단에 참가한다. 그리고 랜슬롯과 기니비어의 불륜의 사랑과 성반 탐색의 모험 이야기가 전개되며, 결국 아서왕은 치명상을 입고, 기사를 시켜 보검 엑스캘리버를 물 속에 던지게 한 다음 avalon 아발론으로 떠난다. 이러한 줄거리 이외에도 150명의 원탁기사단의 무공(武功)과 사랑, 그리스도가 최후의 만찬에 썼고 또한 십자가에 매달린 그리스도의 피를 받을 때 사용했다는 성반(聖盤)의 행방을 탐색하는 이른바 The Holy Grail 성배(聖杯)이야기 등 여러 가지 전설이 담겨 있는데, 이러한 것들을 총칭해서 <아더왕전설>이라 한다.

<아더왕의 죽음>

- Lancelot 랜슬롯은 Guinevere 기네비어에 대한 열렬한 애정으로 수많은 나라를 정벌하고 수많은 위험에서 그녀를 구해내었다. 독살의 누명을 뒤집어 쓴 그녀를 구해내었고, 악한 기사에게 납치된 그녀를 구하기 위해 짐마차를 타고 가는 수모도 견뎌내었다. 그러나 그런 그의 사랑은 애초에 잘못된 사랑이었다. 그녀와의 관계로 인해 그는 성배를 발견하고도 그것을 얻을 수 없었다. 기네비어와의 관계가 아더왕에게 알려지고 그는 궁전에서 도망가게 된다. 자신과의 관계로 기네비어가 화형에 당하게 되자 그녀를 구하기 위해 뛰어들었다가 우연히 Gawain의 두 동생을 죽이게 되고 아더왕과 처절한 전투를 벌일 수 밖에 없게 된다. 모드레드의 반역으로 간신히 아더왕과 화해를 하게 되지만 아더왕을 돕기 위해 그가 영국에 도착했을 때, 이미 아더왕은 숨을 거둔 뒤였다. 랜슬롯은 행방불명 된 기네비어를 한 수도원에서 찾아내지만 그녀는 이미 신에게 의탁한 몸이었다. 랜슬롯 역시 한 은자를 찾아가 그 역시 승복을 입고 속죄하며 기도와 단식생활에 들어간다. 그렇게 6년 후 기네비어가 세상을 떠나자 랜슬롯은 그녀의 장례를 치르고 아더왕에게 하사 받은 성에 돌아가 세상을 떠난다.

출처 : 네이버백과사전, //myhome.naver.com/silberne/forblogNibelungenlied.htm

영상 : 히스토리채널 카멜롯

Toplist

최신 우편물

태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