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2 월드컵 선수 - 2022 woldeukeob seonsu

사진=대한축구협회

2022 FIFA 카타르 월드컵 아시아 최종예선 9, 10차전에 참가할 남자 국가대표팀 선수 25명 명단이 14일 발표됐다.

파울루 벤투 감독이 이끄는 한국 남자축구국가대표팀은 24일 서울월드컵경기장에서 열리는 이란과의 최종예선 9차전, 29일 두바이 알막툼스타디움에서 열리는 UAE(아랍에미리트)와의 최종예선 10차전을 앞두고 있다.

벤투 호는 이미 2022 카타르 월드컵 본선 행을 확정지은 상태지만 이란과 조 1위 자리를 두고 경쟁한다. 조 1위를 차지하는 것이 월드컵 본선 조 추첨에서 보다 유리하다. 현재 한국은 앞선 최종예선 8경기에서 6승 2무를 거둬 A조 2위에 올라있다. A조 1위는 7승 1무를 기록 중인 이란이다.

벤투 감독은 이번 최종예선에 최정예 멤버를 소집했다. 손흥민(토트넘 홋스퍼), 황의조(지롱댕 드 보르도), 김민재(페네르바체SK), 황희찬(울버햄튼), 이재성(마인츠05) 등 유럽에서 활약 중인 선수들이 명단에 이름을 올렸다. 수원FC 수비수 박민규는 첫 발탁의 영예를 안았다.

2022 FIFA 카타르 월드컵 3월 최종예선 참가 남자 국가대표팀 선수 명단 (총 25명)

GK : 김승규(가시와레이솔), 조현우(울산현대), 송범근(전북현대), 김동준(제주유나이티드)

DF : 김영권, 김태환(이상 울산현대), 김민재(페네르바체SK), 권경원(감바오사카), 박지수(김천상무), 이재익(서울이랜드FC), 윤종규(FC서울), 김진수(전북현대), 박민규(수원FC)

MF : 정우영(알사드), 백승호, 송민규(이상 전북현대), 김진규(부산아이파크), 이재성(마인츠05), 권창훈(김천상무), 정우영(SC프라이부르크), 손흥민(토트넘홋스퍼), 황희찬(울버햄튼), 나상호(FC서울)

FW : 황의조(지롱댕 드 보르도), 조규성(김천상무)

송치훈 동아닷컴 기자

한국시간으로 11월24일 오후 10시에 남미의 강호 우루과이를 상대로 대한민국의 2022 카타르월드컵 첫 여정이 시작된다. 이제 결전의 시간은 100여 일 앞으로 다가왔다. 오는 9월말 FIFA 소집 주간에 치를 두 차례 A매치가 실질적으로 벤투 감독에게 주어진 마지막 테스트의 장이다.

거스 히딩크 감독을 비롯한 과거의 A대표팀 감독들은 월드컵 직전까지 무한경쟁 체제로 갔다. 이유는 크게 두 가지다. 히딩크 감독의 경우 2002년 한일월드컵 개최국 자격으로 본선에 직행했고, 그 전까지 본선에서 단 1승도 거두지 못했던 한국 축구의 처참한 월드컵 경쟁력을 극복하기 위해 마지막까지 건강한 긴장감을 불어넣었다. 딕 아드보카트, 홍명보, 신태용 감독의 경우 월드컵을 1년여 앞두고 선임된 이들이었기에 구조적 변화가 불가피했다. 이들은 1차전 선발라인업 예상조차 어려웠다.

반면 벤투 감독은 지난 1년가량 베스트11에 큰 변주를 주지 않고 있다. 2010년 남아공월드컵을 준비하던 허정무 감독과 비슷한 흐름이다. 최종예선을 안정적으로 통과한 감독들의 공통점이다. 최근 동아시안컵 한일전에서 다시 한번 0대3 완패를 당하며 위기론이 불거졌지만, 손흥민을 비롯한 주력 유럽파가 합류하면 달라질 것이라는 기대가 완충 작용을 했다. 그래서 역대 어떤 지도자보다 벤투 감독의 월드컵 구상은 예측이 쉬운 편이다.

ⓒ연합뉴스·페네르바흐체 SK 홈페이지(김민재)·AFP 연합(황의조)

손흥민·황의조·황희찬, 유럽 빅리그에서 40골 터트려

한국 축구가 월드컵 출전을 앞두고 팀의 가장 큰 경쟁력을 공격으로 꼽은 적은 없었다. 아시아에서는 최강의 공격진을 갖춰도 세계적인 팀과의 경쟁에서는 작아 보였다. 하지만 이번 대회는 다르다. 손흥민(토트넘), 황의조(보르도), 황희찬(울버햄튼)의 빅리그 트리오가 A대표팀의 공격을 이끌고 있기 때문이다. 지난 시즌 기준으로 세 선수는 유럽 빅리그에서만 총 40골(손흥민 24골, 황의조 11골, 황희찬 5골)을 터트렸다. 상대 팀에서 한국의 공격을 저지하는 것을 전술 준비의 첫 목표로 삼을 수밖에 없다.

프리미어리그 득점왕에 오르며 다시 한번 월드클래스로 인정받은 손흥민은 한국 선수로는 두 번째 월드컵 3회 연속 득점에 도전한다. 첫 기록 보유자는 박지성(2002년 포르투갈전, 2006년 프랑스전, 2010년 아르헨티나전)이다. 손흥민은 2014년 알제리전, 2018년 멕시코전과 독일전에서 득점을 올렸다. 월드컵 본선에서 3골을 기록한 선수는 박지성, 안정환, 손흥민뿐이다. 손흥민이 이번 대회에서 득점을 올리면 자연스럽게 역대 한국 선수 중 월드컵에서 가장 많은 득점을 올린 선수로 이름을 올린다.

황의조는 이번 카타르 대회가 첫 월드컵 출전이다. 2018년 러시아월드컵에서는 일찌감치 신태용 감독의 구상에서 제외돼 쓴맛을 봤다. 황의조는 2018년 자카르타아시안게임에서 한국을 우승으로 이끌며 거기서의 자신감을 앞세워 2019년 여름 프랑스 무대로 향했고, 빠르게 경쟁력을 증명했다. 보르도에서 지난 3년 동안 29골 7도움을 올렸다. 특히 팀이 강등권에서 맴돈 최근 2시즌 연속 두 자리 득점을 올리며 주가가 더 올랐다.

황희찬은 만 22세에 출전한 러시아월드컵이 아쉬움의 연속이었다. 스웨덴, 멕시코와의 경기에 모두 선발 출전했지만 득점 기회를 날렸다. 독일과의 조별리그 최종전에는 후반 10분 교체 투입됐다가 23분 뒤에 고요한으로 다시 교체돼 나왔다. 경기 중 재교체는 선수에게는 치욕과 같다. 당시 신태용 감독은 황희찬이 수비에서 실수를 거듭하는 걸 보며 그 같은 판단을 내렸다고 밝힌 바 있다. 4년 사이 기복을 줄이고, 전술적 역할을 성실히 소화하며 빅리거가 된 황희찬은 그런 성장을 이번 월드컵을 통해 보여주길 원한다.

공격진은 백업 멤버도 든든하다. 월드컵 최종예선에서 벤투호의 최대 수확으로 꼽히는 스트라이커 조규성(김천 상무)이 상대에 따라 황의조를 대신해 선발 출전이 가능하다. 피지컬적으로 강인한 선수이기 때문에 교체 투입에서도 흐름을 바꿀 수 있다. 상황에 따라 손흥민을 최전방에 세운다면 다재다능한 정우영(프라이부르크)을 측면에 배치할 수 있다. 폭발적인 스피드를 지닌 엄원상(울산 현대)도 K리그에서 무서운 기세를 보이고 있어 언제든 조커로 활용 가능하다.

허리 라인에서도 주전은 굳어진 지 오래다. 최종예선 기간 동안 공격진보다 더 변화의 폭이 적었다. 황인범(올림피아코스), 이재성(마인츠), 정우영(알사드)이 벤투 감독이 구상 중인 본선 조합이라는 건 팬들도 다 인지하는 부분이다. 공격 전개와 수비 가담이 모두 좋은 황인범과 이재성은 각각 슈팅과 공간 창출이라는 장점까지 지녔다. 이 두 선수가 왕성한 기동력으로 공격부터 수비까지 커버하면 수비형 미드필더인 정우영이 뒤쪽의 센터백과 함께 후방을 지킨다.

권창훈(김천 상무), 백승호(전북 현대) 등이 백업 자원으로 확실히 자리를 잡았지만, 주전과 비주전 사이의 갭이 크다는 지적이 나온다. 선수층의 뎁스가 얇다는 얘기다. 특히 정우영이 빠졌을 때 최종예선이나 최근 A매치에서의 벤투호 경기력이 너무 크게 요동쳤다. 기성용이 국가대표 은퇴를 선언한 이후 정우영이 중원을 지휘하고 조율하는 공백을 잘 메워왔지만, 미래는 물론 당장의 월드컵을 위해서도 추가적인 옵션을 확보해야 하는 게 숙제다.

목적의식 강한 선수 많은 수비라인…김민재 존재감 돋보여

포백 수비에는 그동안 월드컵 무대와 유독 인연을 맺지 못했던 선수들이 주전으로 도약한 상태다. 그만큼 이번 월드컵에 대한 목적의식이 남다를 수밖에 없다. 벤투 감독은 중앙에는 김민재(나폴리)와 김영권(울산 현대)을, 좌우 측면에는 김진수(전북 현대)와 김태환(울산 현대)을 배치하는 형태로 주전 수비라인에 대한 구상을 마쳤다. 이 중 김민재, 김진수, 김태환은 이번 월드컵이 첫 무대다. 김민재는 러시아월드컵을 앞두고 주전으로 급부상했지만 부상을 당하며 낙마했다. 김진수 역시 부상으로 러시아월드컵에 나서지 못했다. 김태환은 앞선 두 차례 월드컵 모두 경쟁 체제를 갖췄지만 최종 명단에 들지 못했다.

특히 김민재의 존재감이 우월하다. 튀르키예(터키)를 떠나 수비의 본고장인 이탈리아로 향한 김민재는 나폴리 합류 후 곧바로 주전으로 분류된 상태다. 1996년생으로 이제 전성기가 시작된 만큼 카타르월드컵을 통해 평가가 한층 더 올라갈 수 있다. 수비라인은 허리와 달리 백업 멤버가 확보된 상태다. 센터백에는 권경원(감바 오사카)과 박지수(김천 상무)를 중심으로 조유민(대전 하나시티즌), 정승현(김천 상무)이 경쟁 중이다. 측면 수비도 왼쪽에는 홍철(대구FC), 오른쪽에는 김문환(전북 현대)이 있다. 지난 두 차례 월드컵에 모두 나선 베테랑 풀백 이용(수원FC)은 팀을 옮기며 출전 기회를 확보해 월드컵 3회 출전의 꿈을 키우는 중이다.

골키퍼 포지션은 세이브 능력 외에도 벤투 감독이 원하는 빌드업 능력까지 갖춘 김승규(알샤바브)가 우위에 있다. 하지만 지난 러시아월드컵 때도 최종예선까지 주전이었던 김승규가 본선에 가서 조현우에 밀려 1분도 뛰지 못했다. 조현우(울산 현대)는 소속팀에서 특유의 슈퍼 세이브를 보여주며 또 한 번의 뒤집기를 노리고 있다. 그들을 받칠 멤버로는 김동준(제주 유나이티드), 송범근(전북 현대), 구성윤(김천 상무)이 대기 중이다.

2022년 FIFA 월드컵원어 명칭개최국개최기간경기장참가국총 경기
بطولة كأس العالم لكرة القد 2022
카타르
11월 20일 ~ 12월 18일
8개 (5개 도시)
32개국 (5개 또는 6개 대륙)
64

« 2018

2026 »

2022년 FIFA 월드컵(2022 FIFA World Cup)은 카타르에서 개최하는 제 22회 FIFA 월드컵으로, 시기는 2022년 11월 20일부터 12월 18일까지이다. 가을과 겨울 사이에 이슬람 국가에서는 처음 열리는 월드컵이기도 하다.

아랍권뿐만 아니라 이슬람권에서 열리는 첫번째 월드컵이다. 2002 한·일 월드컵 이후 20년 만에 아시아에서 다시 열리는 월드컵[1]이다. 1998년 월드컵부터 24년 동안 지속된 32개국 체제의 마지막 월드컵으로, 다음 대회인 2026년 월드컵부터는 48개국으로 출전국이 늘어난다.

조 추첨식은 4월 1일 저녁 7시(현지시각), 카타르 국립 컨벤션 센터에서 진행됐다.

개최국 선정[편집]

2018년과 2022년 FIFA 월드컵 유치전은 2009년 1월에 막이 올랐고, 유치 의사가 있는 국가 협회는 2009년 2월 2일까지 등록할 수 있었다. 멕시코는 중도에 포기했고, 인도네시아의 유치 의사는 정부가 유치 의사를 담은 서류를 제출하지 않음에 따라 2010년 2월 FIFA에 의해 거절되었다.

2010년 12월 2일 스위스 취리히에서 열린 22명의 FIFA 집행위원회 위원의 투표를 통해 카타르 2022년 FIFA 월드컵 개최국이 결정되었다. 카타르는 대한민국과 일본이 공동 개최한 2002년 FIFA 월드컵 이후 아시아에서는 2번째, 중동에서는 1번째 월드컵 개최국이 되었는데, 이 과정에서 카타르 정부가 FIFA에게 500만 달러의 뇌물을 줘서 개최국 자격을 획득했다는 논란에 휩싸였다.[2]

투표 결과 (12표 이상 과반수) 국가 득표율 1차 투표 2차 투표 3차 투표 4차 투표
카타르
11 10 11 14
미국
3 5 6 8
대한민국
4 5 5
일본
3 2
오스트레일리아
1

본선 참가국 확대 가능성[편집]

2018년 4월 12일 남미 축구 연맹(CONMEBOL)은 FIFA 측에 2026년 FIFA 월드컵 개최 4년 전에 열리는 2022년 FIFA 월드컵 참가국 수를 32개국에서 48개국으로 확대할 것을 요구했다. 잔니 인판티노 FIFA 회장은 CONMEBOL의 구상을 지지했지만 FIFA는 해당 결정을 유보했다.[3] 이에 따라 FIFA는 개최국 카타르의 동의 여부를 확인한 이후에 FIFA 평의회에서 해당 안건을 다루기로 결정했다.

FIFA는 2019년 3월에 실시된 타당성 조사를 통해 2022년 FIFA 월드컵이 1개 이상의 이웃 나라와 2~4개의 경기장을 추가하면 48개국이 참가하는 대회로 확장할 수 있다는 결론을 내렸다. FIFA는 대회 형식을 변경함으로써 유치 경쟁자를 잃거나 법적 조치를 배제할 수는 없지만 그러한 위험은 낮다는 결론을 내렸다. 이에 따라 FIFA와 카타르는 2019년 6월에 열릴 FIFA 평의회, FIFA 총회에서 이웃 나라와의 공동 개최를 모색할 예정이라고 밝혔고 해당 안건이 받아들일 경우에는 2019년 6월에 프랑스 파리에서 열릴 제69차 FIFA 총회에서 해당 안건이 채택할 예정이었다.[4] 하지만 FIFA는 2019년 5월 22일에 공개된 공식 성명을 통해 2022년 FIFA 월드컵에서는 32개국이 참가한다고 밝혔다.

지역 예선[편집]

  진출국

  예선 참가국

  예선 불참/기권/실격국

  FIFA 비회원국

  예선 탈락국

FIFA의 6개 대륙 연맹은 자체 예선 대회를 조직한다. 현재 211개국 모든 FIFA 회원 협회가 참가 자격이 있었다. 주최국인 카타르는 자동으로 토너먼트 진출 자격을 얻었다. 그러나 아시아 축구 연맹은 첫 두 라운드가 2023년 AFC 아시안컵 예선을 겸하는 역할을 하기 때문에 카타르가 아시아 지역 예선에 참가할 것을 의무화했다.[5] 카타르가 아시아 2차예선 E조 1위를 기록하며 결승에 진출한 이후 각조 2위팀 중 5번째인 레바논(아시아 2차예선 H조 2위)이 대신 진출했다.[6] 현 월드컵 챔피언 프랑스도 평소와 같이 예선을 통과했다.[7] 세인트루시아는 처음에 예선에 참가했지만 첫 경기 전에 예선에서 기권했다.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북)은 코로나-19 감염증(코로나19) 팬데믹(세계적 대유행)으로 인한 안전 문제로 예선을 도중 기권하였다. 미국령 사모아와 사모아는 오세아니아 지역 예선 조추첨 전에 모두 기권하였다. 통가는 2022년 훙가 통가-훙가 하아파이 화산 분화와 쓰나미 이후 철수했다. 대표팀 선수단에서 코로나-19 발생으로 인해 바누아투와 쿡 제도도 철수했다.

2022년 6월 5일 기준으로 2018년 이전 토너먼트에 참가한 22개국을 포함하여 30개국이 결승전에 진출했다. 카타르는 FIFA 월드컵에 데뷔한 유일한 팀으로 이탈리아 이후 처음으로 토너먼트 데뷔를 한 개최국이 되었다. 그 결과 2022년 월드컵은 예선을 통해 진출한 팀이 한 팀도 데뷔하지 못한 첫 월드컵이 됐다. 네덜란드, 에콰도르, 가나, 카메룬, 미국이 2018년 대회에서 지역예선 탈락한 뒤 본선 대회에 복귀했다. 캐나다는 36년 만에 돌아왔고, 그들의 유일한 이전 모습은 1986년이었습니다.[8] 웨일스는 64년만에 두번째 출전을 했다. 이는 유럽 팀의 기록 격차이며 1958년에 있었던 유일한 참가였다.[9]

4회 세계 챔피언이자 현 유럽 챔피언인 이탈리아는 사상 처음으로 2회 연속 월드컵 진출에 실패하여 유럽 예선 플레이오프 준결승전에서 졌다.[10] 이탈리아는 예선에 실패한 유일한 전 챔피언이었다. 이전 월드컵 개최국인 러시아는 2022년 러시아의 우크라이나 침공으로 인해 출전 자격이 박탈되었다.[11] 칠레는, 2015년 및 2016년 코파 아메리카 우승팀이었지만 2회 연속 본선 진출에 실패했다. 나이지리아는 지난 3번의 월드컵과 지난 7번의 월드컵 중 6번의 월드컵 본선 진출에 성공하여 아프리카 최종 플레이오프 라운드에서 원정 다득점으로 가나에 뒤져서 탈락했다. 이집트, 파나마, 콜롬비아, 아이슬란드, 스웨덴 등 2018년 월드컵에 진출한 팀들도 2022년 대회에는 출전하지 못했다.

지역 예선 국가/팀
유럽 (UEFA) 13장
남미 (CONMEBOL) 4.5장
북중미카리브 (CONCACAF) 3.5장
아시아 (AFC)
카타르
(개최국)+4.5장
아프리카 (CAF) 5장
오세아니아 (OFC) 0.5장

본선 진출 팀[편집]

국가대표팀 본선 진출 자격 본선 진출 확정일 이전 대회 성적1이전 대회
최고 성적
카타르
개최국 2010년 12월 2일 0 (첫 참가) 첫 참가
독일
유럽 예선 J조 1위 2021년 10월 11일 19 (1934, 1938, 19542, 19582, 19622, 19662, 19702, 19742, 19782, 19822, 19862, 19902, 1994, 1998, 2002, 2006, 2010, 2014, 2018) 우승 (1954, 1974, 1990, 2014)
프랑스
유럽 예선 D조 1위 2021년 11월 15일 15 (1934, 1938, 1954, 1958, 1962, 1966, 1982, 1986, 1998, 2002, 2006, 2010, 2014, 2018) 우승 (1998, 2018)
덴마크
유럽 예선 F조 1위 2021년 10월 12일 5 (1986, 1998, 2002, 2010, 2018) 8강 (1998)
브라질
남미 예선 1위 2021년 11월 11일 21 (1930, 1934, 1938, 1950, 1954, 1958, 1962, 1966, 1970, 1974, 1978, 1982, 1986, 1990, 1994, 1998, 2002, 2006, 2010, 2014, 2018) 우승 (1958, 1962, 1970, 1994, 2002)
벨기에
유럽 예선 E조 1위 2021년 11월 13일 13 (1930, 1934, 1938, 1954, 1970, 1982, 1986, 1990, 1994, 1998, 2002, 2014, 2018) 3위 (2018)
크로아티아
유럽 예선 H조 1위 2021년 11월 14일 5 (1998, 2002, 2006, 2014, 2018) 준우승 (2018)
스페인
유럽 예선 B조 1위 2021년 11월 14일 16 (1934, 1950, 1962, 1966, 1978, 1982, 1986, 1990, 1994, 1998, 2002, 2006, 2010, 2014, 2018) 우승 (2010)
세르비아
유럽 예선 A조 1위 2021년 11월 14일 12 (19303, 19503, 19543, 19583, 19623, 19743, 19823, 19903, 19983, 20064, 2010, 2018) 4위 (1930, 1962)
잉글랜드
유럽 예선 I조 1위 2021년 11월 15일 15 (1950, 1954, 1958, 1962, 1966, 1970, 1982, 1986, 1990, 1998, 2002, 2006, 2010, 2014, 2018) 우승 (1966)
스위스
유럽 예선 C조 1위 2021년 11월 15일 11 (1934, 1938, 1950, 1954, 1962, 1966, 1994, 2006, 2010, 2014, 2018) 8강 (1934, 1938, 1954)
네덜란드
유럽 예선 G조 1위 2021년 11월 16일 10(1934, 1938, 1974, 1978, 1990, 1994, 1998, 2006, 2010, 2014) 준우승 (1974, 1978, 2010)
아르헨티나
남미 예선 2위 2021년 11월 16일 17 (1930, 1934, 1958, 1962, 1966, 1974, 1978, 1982, 1986, 1990, 1994, 1998, 2002, 2006, 2010, 2014, 2018) 우승 (1978, 1986)
이란
아시아 3차 예선 A조 1위 2022년 1월 27일 5(1978, 1998, 2006, 2014, 2018) 조별 리그 탈락 (1978, 1998, 2006, 2014, 2018)
대한민국
아시아 3차 예선 A조 2위 2022년 2월 1일 10 (1954, 1986, 1990, 1994, 1998, 2002, 2006, 2010, 2014, 2018) 4위 (2002)
일본
아시아 3차 예선 B조 2위 2022년 3월 24일 6 (1998, 2002, 2006, 2010, 2014, 2018) 16강 (2002, 2010 ,2018)
사우디아라비아
아시아 3차 예선 B조 1위 2022년 3월 24일 5 (1994, 1998, 2002, 2006, 2018) 16강 (1994)
에콰도르
남미 예선 4위 2022년 3월 24일 3 (2002, 2006, 2014) 16강 (2006)
우루과이
남미 예선 3위 2022년 3월 24일 14 (1930, 1950, 1954, 1958, 1962, 1966, 1970, 1974, 1986, 1990, 2002, 2010, 2014, 2018) 우승 (1930, 1950)
캐나다
북중미카리브 3차 예선 1위 2022년 3월 27일 1 (1986) 조별 리그 탈락 (1986)
가나
아프리카 3차 예선 승자 2022년 3월 29일 3 (2006, 2010, 2014) 8강 (2010)
세네갈
아프리카 3차 예선 승자 2022년 3월 29일 2 (2002, 2018) 8강 (2002)
포르투갈
유럽 예선 플레이오프 C조 승자 2022년 3월 29일 7 (1966, 1986, 2002, 2006, 2010, 2014, 2018) 3위 (1966)
폴란드
유럽 예선 플레이오프 B조 승자 2022년 3월 29일 8 (1938, 1974, 1978, 1982, 1986, 2002, 2006, 2018) 3위 (1974, 1982)
튀니지
아프리카 3차 예선 승자 2022년 3월 29일 5 (1978, 1998, 2002, 2006, 2018) 조별리그 탈락 (1978, 1998, 2002, 2006, 2018)
모로코
아프리카 3차 예선 승자 2022년 3월 29일 5 (1970, 1986, 1994, 1998, 2018) 16강 (1986)
카메룬
아프리카 3차 예선 승자 2022년 3월 29일 7 (1982, 1990, 1994, 1998, 2002, 2010, 2014) 8강 (1990)
멕시코
북중미카리브 3차 예선 2위 2022년 3월 30일 16 (1930, 1950, 1954, 1958, 1962, 1966, 1970, 1978, 1986, 1994, 1998, 2002, 2006, 2010, 2014, 2018) 8강 (1970, 1986)
미국
북중미카리브 3차 예선 3위 2022년 3월 30일 10 (1930, 1934, 1950, 1990, 1994, 1998, 2002, 2006, 2010, 2014) 3위 (1930)
웨일스
유럽 예선 플레이오프 A조 승자 2022년 6월 5일 1 (1958) 8강 (1958)
오스트레일리아
대륙간 플레이오프 아시아 지역 VS 남미 지역 승자 2022년 6월 13일 5 (1974, 2006, 2010, 2014, 2018) 16강 (2006)
코스타리카
대륙간 플레이오프 오세아니아 지역 VS 북중미 지역 승자 2022년 6월 14일 5 (1990, 2002, 2006, 2014, 2018) 8강 (2014)

1 굵은 글씨는 당해년도 우승팀을 가리킨다. 이탤릭 체 글씨는 당해년도 개최국을 가리킨다.

2 서독으로 참가했다. 동독도 별도 대표팀으로 있었으며, 1974년 대회 본선에만 유일하게 본선 진출하였다.

개최 도시 및 경기장[편집]

루사일알코르도하카타르의 개최 도시

루사일

도하

알코르

알와크라

알라이얀

도하 부근의 경기장

에듀케이션

974

칼리파

알투마마

알라이얀도하알와크라
루사일 국립 경기장 알베이트 스타디움 스타디움 974 알투마마 경기장
수용인원: 80,000명 수용인원: 60,000명 수용인원: 40,000명 수용인원: 40,000명
에듀케이션 시티 스타디움 아흐메드 빈 알리 경기장 칼리파 국제경기장 알자누브 스타디움
수용인원: 45,350명 수용인원: 44,740명 수용인원: 40,000명 (증축됨) 수용인원: 40,000명

사건 및 논란[편집]

뇌물 수수와 관련된 논란[편집]

2014년 6월 1일 영국의 《선데이 타임스》는 모하메드 빈 함맘 전 아시아 축구 연맹(AFC) 회장이 자신의 모국인 카타르에 대한 지지를 호소하면서 FIFA 관계자들에게 거액의 뇌물을 전달했다고 보도했다. 이 신문은 2022년 FIFA 월드컵 개최국 결정을 1년 전부터 모하메드 빈 함맘이 로비 활동을 벌이는 과정에서 500만 달러에 가까운 뇌물이 오고 갔으며 이에 대한 이메일, 은행 거래 명세서 등을 입수했다고 밝혔다.

2015년 국제축구연맹 부패 사건을 계기로 2022년 FIFA 월드컵 유치 과정에 연루된 축구인 상당수가 미국 당국의 조사를 받았다.

개최 시기와 관련된 논란[편집]

카타르는 유치 과정에서 중동의 더운 기후 문제에 대해 모든 경기장에 에어컨을 설치하겠다는 파격적인 공약으로 대응했다. 이 때문에 환경 문제가 제시되기도 했지만 태양열을 이용한 친환경 냉방 장치를 설치하겠다고 공약했다. 카타르는 6월 ~ 7월의 평균 기온이 섭씨 40 ~ 50도에 육박하기 때문에 여름에 개최할 경우에는 선수단, 해설진, 관중들이 건강이 우려되기 때문에 국제 축구계에서는 겨울 개최안이 나왔다. 그러나 2022년 동계 올림픽과 일정이 중복되는 문제로 동계 스포츠 단체에서 반발하였다.

제프 블래터 FIFA 회장은 2013년 11월 8일 아랍에미리트 아부다비에서 열린 2013년 FIFA U-17 월드컵 결승전을 관전한 뒤 가진 인터뷰에서 1월이나 2월 개최는 동계 올림픽과 FIFA 월드컵 서로 간의 흥행을 저하시키기 때문에 반대 입장을 표명했으며 겨울에 개최할 경우에는 11월 - 12월에 개최해야 한다고 해명했다. 국제 동계 스포츠계는 올림픽과 겹치지 않는 시기에 개최하는 것도 동계 스포츠의 관심을 떨어트릴 우려로 반대하고 있다. 또한 유럽의 축구 리그 시기와 겹쳐 유럽 축구 리그에 방해가 된다는 이야기도 있어 카타르로선 큰 난관을 헤쳐나가야 하는 실정이었다. 4월에 개최하는 것은 이슬람교의 금식 기간인 라마단(2022년 라마단은 2022년 4월 2일부터 5월 1일까지임)과 겹치기 때문에 더더욱 불가능한 실정이었다.

2015년 3월 19일 FIFA 집행위원회에서 2022년 FIFA 월드컵 본선 개최 시기를 2022년 11월 21일부터 12월 18일까지로 결정하였다. 12월 18일은 개최국인 카타르의 국경일이기도 하다.

외국인 노동자의 인권침해 논란[편집]

영국의 일간 신문 《가디언》은 카타르에 체류하는 많은 외국인 노동자가 열악한 노동 환경에서 생활하고 있다고 보도했다. 《가디언》의 보도에 따르면 카타르의 월드컵 관련 기반 시설 공사에 참여하고 있는 외국인 노동자들은 하루 종일 물과 음식조차 먹지 못하고 있으며 열악한 숙소에서 생활하고 있다고 보도했다. 카타르는 카팔라(Kafala)라고 부르는 중동 고유의 노동 계약 시스템을 사용하고 있다.

휴먼 라이츠 워치, 국제 노동조합 연합은 카타르의 카팔라 시스템이 노동자가 고용주의 동의 없이 직업을 바꾸거나 그만둘 수 없으며, 임금 체불에도 항의할 수 없는 제도여서 노예 제도를 연상시킨다고 비판했다. 실제로 카타르의 외국인 노동자들 가운데 90%가 자신의 여권을 고용주에게 몰수당한 것으로 알려졌다.

조추첨과 일정[편집]

월드컵 본선 조추첨은 지역 예선이 완료되기 전인 2022년 4월 1일 저녁 7시(UTC+3), 카타르 도하에 있는 도하 전시 컨벤션 센터에서 열렸다.[12][13] 2022년 4월 1일 기준,대륙간 플레이오프의 두 승자와 유럽 지역 예선 플레이오프의 패스 A 승자는 추첨 당시 알려지지 않았다.[14]

추첨을 위해 32개 팀은 2022년 3월 31일의 FIFA 세계 랭킹에 따라 4개의 포트에 할당된다. 포트 1에는 개최국 카타르(A1 위치에 자동으로 배정됨)와 상위 7개 팀이 포함된다. 포트 2에는 상위 8개 팀이 포함되며, 그 다음 상위 8개 팀은 포트 3에 포함된다. 포트 4에는 최하위 5개 팀과 대륙간 플레이오프 승자 2팀 및 유럽 플레이오프 패스 A의 최종 승자가 포함된다. 플레이오프 승자들은 같은 대륙 연맹의 팀들은 유럽 팀을 제외하고 같은 조에 속할 수 없다. 이 원칙은 자리 표시자 팀에도 적용되며, 각 플레이오프 동점의 두 잠재적 승자의 연합을 기반으로 하는 제약 조건이 적용됩니다. 추첨은 포트 1에서 시작하여 포트 4에서 끝난다. 각 팀이 선택된 다음 알파벳 순으로 첫 번째 사용 가능한 그룹에 할당된다. 그런 다음 그룹 내 팀의 위치가 추첨되고 포트 1 팀이 각 그룹의 위치 1에 자동으로 추첨된다.[15] 조추첨 위한 포트는 다음과 같다.:

포트 1 포트 2 포트 3 포트 4

카타르 (51) (개최국)
브라질 (1)
벨기에 (2)
프랑스 (3)
아르헨티나 (4)
잉글랜드 (5)
스페인 (7)
포르투갈 (8)

멕시코 (9)
네덜란드 (10)
덴마크 (11)
독일 (12)
우루과이 (13)
스위스 (14)
미국 (15)
크로아티아 (16)

세네갈 (20)
이란 (21)
일본 (23)
모로코 (24)
세르비아 (25)
폴란드 (26)
대한민국 (29)
튀니지 (35)

카메룬 (37)
캐나다 (38)
에콰도르 (46)
사우디아라비아 (49)
가나 (60)
웨일스 (18)
오스트레일리아 (42)
코스타리카 (31)

경기 일정은 2020년 7월 15일 FIFA에 의해 확인되었다.[16] 개최국 카타르가 참가하는 개막전은 현지 시간 2022년 11월 20일 19:00(UTC+3)에 알베이트 스타디움에서 열릴 것이다. 조별리그에서는 개막일 1경기, 개막일 다음날 3경기 후 매일 4경기가 진행되며, 첫 두 라운드는 킥오프 시간이 13:00, 16:00, 19:00, 22:00이고 조별리그 마지막 경기들은 18:00, 22:00이다. 마지막 라운드의 동시 킥오프와 녹아웃 토너먼트 경기. 3위 결정전은 2022년 12월 17일 칼리파 인터내셔널 스타디움에서, 결승전은 2022년 12월 18일 루사일 아이코닉 스타디움에서 18시에 열릴 예정이다.[17]

조 추첨 전에 경기 장소와 각 경기의 킥오프 시간을 정하는 기존 토너먼트와는 달리, 각 경기일의 조별 경기 일정은 조별리그 조 추첨 이후에 특정 장소 및 킥오프 시간으로 배정한다. 각 특정 고정구의 팀이 알려져 있다. 이는 주최측이 관중을 위한 경기장 할당과 텔레비전 관중을 위한 시작 시간을 최적화할 수 있도록 장소가 매우 가깝기 때문일 수 있다.[16] 각 조의 조별리그 경기는 다음 경기장에 할당된다.:[17]

  • A, B, E, F조 : 알베이트 스타디움, 칼리파 국제경기장, 알투마마 경기장, 아흐메드 빈 알리 경기장
  • C, D, G, H조 : 루사일 국립 경기장, 스타디움 974, 에듀케이션 시티 스타디움, 알자누브 스타디움

선수 명단[편집]

심판진[편집]

소속 축구 대륙 주심 선심 비디오 판독 심판
아시아 (호주 포함)
압둘라흐만 알-자심
크리스 비스
알리레자 파가니
마닝(马宁)
모하메드 압둘라 모하메드
(여성) 야마시타 요시미(山下良美)
모함마드레자 아볼파즐리
모하메드 알-함마디
하산 알-마리
탈레브 알-마리
사우드 알-마갈레
(여성) 애슐리 비첨
모함마드레자 만수리
앤튼 슈체티닌
차오이
스시앙
압둘라 알-마리
션 에번스
무함마드 타키 알자파리
아프리카
바카리 가사마
무스타파 고르발
빅터 고메스
(여성) 살리마 무칸상가
마게트 은디아예
재니 시카즈위
마흐무드 아부엘레갈
지브릴 카마라
제르송 두스 산투스
압델학 에치알리
모크란 구라리
아르세니우 마렝굴라
엘비스 누푸에
소우루 파초아니
엘 하지 말릭 삼바
자켈리 시웰라
레두안 지예드
아딜 주락
북중미
Iván Barton Cisneros
Ismail Elfath
Mario Escobar Toca
Said Martínez Sorto
César Ramos Palazuelos
Kyle Atkins
Karen Díaz Medina
Helpys Feliz Cuevas
Miguel Hernández Paredes
Walter López Ramos
Juan Carlos Mora Araya
David Morán Santos
Alberto Morín Méndez
Kathryn Nesbitt
Corey Parker
Caleb Wales
Zachari Zeegelaar
Drew Fischer
Fernando Guerrero Ramírez
Armando Villarreal
남미
하파에우 클라우스
안드레스 마톤테 카브레라
케빈 오르테가
페르난도 라팔리니
위우통 상파이우
파쿤도 테요
헤수스 발렌수엘라
네우자 박
후안 파블로 벨라티
디에고 본파
브루누 보스킬리아
에세키엘 브라일로프스키
가브리엘 차데
호드리구 엔히키 코헤아
툴리오 모레노
미카엘 오루에 메디나
브루누 피리스
헤수스 산체스 카브레라
다닐루 시몽 마니스
마르틴 소피
니콜라스 타란
호르헤 우레고 마르티네스
훌리오 바스쿠냔
니콜라스 가요 바라간
레오단 곤살레스 카브레라
후안 소토
마우로 비글리아노
오세아니아
매슈 콩거
테비타 마카시니
마크 룰
유럽
(여성) 스테파니 프라파르
이슈트반 코바치
다니 마켈리
시몬 마르치니아크
안토니오 마테우 라오스
마이클 올리버
다니엘레 오르사토
다니엘 지베르트
앤서니 테일러
클레망 튀르팽
슬라프코 빈치치
오비디우 아르테네
사이먼 베넷
개리 베스윅
스튜어트 버트
치로 카르보네
파우 세브리안 데비스
니콜라 다노
로베르토 디아스 페레스
라파엘 폴틴
알레산드로 잘라티니
시릴 그랭고르
토마시 클란치닉
안드라시 코바치치
토마시 리스트키에비치
바실레 마리네스쿠
애덤 넌
얀 자이델
파베우 소콜니츠키
헤설 스테이흐스트라
얀 더 프리스
폴 판 부컬
제롬 브리자르
바스티안 당케르트
리카르도 데 부르고스 벵고에체아
마르코 프리츠
알레한드로 에르난데스
마시밀리아노 이라티
토마시 크비아트코프스키
후안 마르티네스 무누에라
브누아 미요
파올로 발레리

조별 리그[편집]

각 조의 상위 2개국이 16강에 진출한다. 각 조의 순위는 다음과 같이 결정된다 (규정 32조 5항):

  1. 3경기에서 획득한 총 승점;
  2. 3경기에서 기록한 골득실차;
  3. 3경기에서 기록한 총 득점;

두 국가 이상 위의 세 부문에서 동률시 다음 방식대로 최종 순위가 결정된다:

  1. 위 조건에서 모두 동률인 팀들간 획득한 승점;
  2. 위 조건에서 모두 동률인 팀들간 기록한 골득실차;
  3. 위 조건에서 모두 동률인 팀들간 기록한 총 득점;
  4. 페어플레이 점수
    1. 경고: 1점 감점
    2. 경고 누적으로 인한 퇴장: 3점 감점
    3. 즉각 퇴장: 4점 감점
    4. 경고 후 즉각 퇴장: 5점 감점
  5. FIFA 조직위원회의 추첨.
  • 모든 시간은 현지 시각(AST/UTC+3)을 따름.

A조[편집]

순위팀v  d  e  h경기승무패득실차승점통과 1 2 3 4
카타르 (H)
0 0 0 0 0 0 0 0 결선 토너먼트16강 진출
에콰도르
0 0 0 0 0 0 0 0
세네갈
0 0 0 0 0 0 0 0
네덜란드
0 0 0 0 0 0 0 0

첫 경기는 2022년 11월 20일부터 시작될 예정이다.
출처: FIFA
순위 결정방식: 조별 리그 순위결정
(H) 홈경기.

2022년 11월 20일
19:00
카타르
경기 1
에콰도르
알베이트 스타디움, 알코르
리포트
2022년 11월 21일
19:00
세네갈
경기 2
네덜란드
알투마마 경기장, 도하
리포트
2022년 11월 25일
16:00
카타르
경기 18
세네갈
알투마마 경기장, 도하
리포트
2022년 11월 25일
19:00
네덜란드
경기 19
에콰도르
칼리파 국제경기장, 알라얀
리포트
2022년 11월 29일
18:00
에콰도르
경기 35
세네갈
칼리파 국제경기장, 알라얀
리포트
2022년 11월 29일
18:00
네덜란드
경기 36
카타르
알베이트 스타디움, 알코르
리포트

B조[편집]

순위팀v  d  e  h경기승무패득실차승점통과 1 2 3 4
잉글랜드
0 0 0 0 0 0 0 0 결선 토너먼트16강 진출
이란
0 0 0 0 0 0 0 0
미국
0 0 0 0 0 0 0 0
웨일스
0 0 0 0 0 0 0 0

첫 경기는 2022년 11월 21일부터 시작될 예정이다.
출처: FIFA
순위 결정방식: 조별 리그 순위결정

2022년 11월 21일
16:00
잉글랜드
경기 3
이란
칼리파 국제경기장, 알라이얀
리포트
2022년 11월 21일
22:00
미국
경기 4
웨일스
아흐메드 빈 알리 스타디움, 알라이얀
리포트
2022년 11월 25일
13:00
웨일스
경기 17
이란
아흐메드 빈 알리 스타디움, 알라이얀
리포트
2022년 11월 25일
22:00
잉글랜드
경기 20
미국
알베이트 스타디움, 알코르
리포트
2022년 11월 29일
22:00
웨일스
경기 33
잉글랜드
아흐메드 빈 알리 스타디움, 알라이얀
리포트
2022년 11월 29일
22:00
이란
경기 34
미국
알투마마 경기장, 도하
리포트

C조[편집]

순위팀v  d  e  h경기승무패득실차승점통과 1 2 3 4
아르헨티나
0 0 0 0 0 0 0 0 결선 토너먼트16강 진출
사우디아라비아
0 0 0 0 0 0 0 0
멕시코
0 0 0 0 0 0 0 0
폴란드
0 0 0 0 0 0 0 0

첫 경기는 2022년 11월 22일부터 시작될 예정이다.
출처: FIFA
순위 결정방식: 조별 리그 순위결정

2022년 11월 22일
13:00
아르헨티나
경기 8
사우디아라비아
루사일 국립 경기장, 루사일
리포트
2022년 11월 22일
19:00
멕시코
경기 7
폴란드
스타디움 974, 도하
리포트
2022년 11월 26일
16:00
폴란드
경기 22
사우디아라비아
에듀케이션 시티 스타디움, 알라이얀
리포트
2022년 11월 26일
22:00
아르헨티나
경기 24
멕시코
루사일 국립 경기장, 루사일
리포트
2022년 11월 30일
22:00
폴란드
경기 39
아르헨티나
스타디움 974, 도하
리포트
2022년 11월 30일
22:00
사우디아라비아
경기 40
멕시코
루사일 국립 경기장, 루사일
리포트

D조[편집]

순위팀v  d  e  h경기승무패득실차승점통과 1 2 3 4
프랑스
0 0 0 0 0 0 0 0 결선 토너먼트16강 진출
오스트레일리아
0 0 0 0 0 0 0 0
덴마크
0 0 0 0 0 0 0 0
튀니지
0 0 0 0 0 0 0 0

첫 경기는 2022년 11월 22일부터 시작될 예정이다.
출처: FIFA
순위 결정방식: 조별 리그 순위결정

2022년 11월 22일
16:00
덴마크
경기 6
튀니지
에듀케이션 시티 스타디움, 알라이얀
리포트
2022년 11월 22일
22:00
프랑스
경기 5
오스트레일리아
알자누브 스타디움, 알와크라
리포트
2022년 11월 26일
13:00
튀니지
경기 21
오스트레일리아
알자누브 스타디움, 알와크라
리포트
2022년 11월 26일
19:00
프랑스
경기 23
덴마크
스타디움 974, 도하
리포트
2022년 11월 30일
18:00
오스트레일리아
경기 37
덴마크
알자누브 스타디움, 알와크라
리포트
2022년 11월 30일
18:00
튀니지
경기 38
프랑스
에듀케이션 시티 스타디움, 알라이얀
리포트

E조[편집]

순위팀v  d  e  h경기승무패득실차승점통과 1 2 3 4
스페인
0 0 0 0 0 0 0 0 결선 토너먼트16강 진출
코스타리카
0 0 0 0 0 0 0 0
독일
0 0 0 0 0 0 0 0
일본
0 0 0 0 0 0 0 0

첫 경기는 2022년 11월 23일부터 시작될 예정이다.
출처: FIFA
순위 결정방식: 조별 리그 순위결정

2022년 11월 23일
16:00
독일
경기 11
일본
칼리파 국제경기장, 도하
리포트
2022년 11월 23일
19:00
스페인
경기 10
코스타리카
알투마마 경기장, 도하
리포트
2022년 11월 27일
13:00
일본
경기 25
코스타리카
아흐메드 빈 알리 경기장, 알라이얀
리포트
2022년 11월 27일
22:00
스페인
경기 28
독일
알베이트 스타디움, 알코르
리포트
2022년 12월 1일
22:00
일본
경기 43
스페인
칼리파 국제경기장, 도하
리포트
2022년 12월 1일
22:00
코스타리카
경기 44
독일
알베이트 스타디움, 알코르
리포트

F조[편집]

순위팀v  d  e  h경기승무패득실차승점통과 1 2 3 4
벨기에
0 0 0 0 0 0 0 0 결선 토너먼트16강 진출
캐나다
0 0 0 0 0 0 0 0
모로코
0 0 0 0 0 0 0 0
크로아티아
0 0 0 0 0 0 0 0

첫 경기는 2022년 11월 23일부터 시작될 예정이다.
출처: FIFA
순위 결정방식: 조별 리그 순위결정

2022년 11월 23일
13:00
모로코
경기 12
크로아티아
알베이트 스타디움, 알코르
리포트
2022년 11월 23일
22:00
벨기에
경기 9
캐나다
아흐메드 빈 알리 경기장, 알라이얀
리포트
2022년 11월 27일
16:00
벨기에
경기 26
모로코
알투마마 경기장, 도하
리포트
2022년 11월 27일
19:00
크로아티아
경기 27
캐나다
칼리파 국제경기장, 도하
리포트
2022년 12월 1일
18:00
크로아티아
경기 41
벨기에
아흐메드 빈 알리 경기장, 알라이얀
리포트
2022년 12월 1일
18:00
캐나다
경기 42
모로코
알투마마 경기장, 도하
리포트

G조[편집]

순위팀v  d  e  h경기승무패득실차승점통과 1 2 3 4
브라질
0 0 0 0 0 0 0 0 결선 토너먼트16강 진출
세르비아
0 0 0 0 0 0 0 0
스위스
0 0 0 0 0 0 0 0
카메룬
0 0 0 0 0 0 0 0

첫 경기는 2022년 11월 24일부터 시작될 예정이다.
출처: FIFA
순위 결정방식: 조별 리그 순위결정

2022년 11월 24일
13:00
스위스
경기 13
카메룬
알자누브 스타디움, 알와크라
리포트
2022년 11월 24일
22:00
브라질
경기 16
세르비아
루사일 국립 경기장, 루사일
리포트
2022년 11월 28일
13:00
카메룬
경기 29
세르비아
알자누브 스타디움, 알와크라
리포트
2022년 11월 28일
19:00
브라질
경기 31
스위스
스타디움 974, 도하
리포트
2022년 12월 2일
22:00
세르비아
경기 47
스위스
스타디움 974, 도하
리포트
2022년 12월 2일
22:00
카메룬
경기 48
브라질
루사일 국립 경기장, 루사일
리포트

H조[편집]

순위팀v  d  e  h경기승무패득실차승점통과 1 2 3 4
포르투갈
0 0 0 0 0 0 0 0 결선 토너먼트16강 진출
가나
0 0 0 0 0 0 0 0
우루과이
0 0 0 0 0 0 0 0
대한민국
0 0 0 0 0 0 0 0

첫 경기는 2022년 11월 24일부터 시작될 예정이다.
출처: FIFA
순위 결정방식: 조별 리그 순위결정

2022년 11월 24일
16:00
우루과이
경기 14
대한민국
에듀케이션 시티 스타디움, 알라이얀
리포트
2022년 11월 24일
19:00
포르투갈
경기 15
가나
스타디움 974, 도하
리포트
2022년 11월 28일
16:00
대한민국
경기 30
가나
에듀케이션 시티 스타디움, 알라이얀
리포트
2022년 11월 28일
22:00
포르투갈
경기 32
우루과이
루사일 국립 경기장, 루사일
리포트
2022년 12월 2일
18:00
가나
경기 45
우루과이
알자누브 스타디움, 알와크라
리포트
2022년 12월 2일
18:00
대한민국
경기 46
포르투갈
에듀케이션 시티 스타디움, 알라이얀
리포트

결선 토너먼트[편집]

  • 모든 시간은 현지 시간(AST/UTC+3)을 따름.

16강 8강 준결승 결승
                           
12월 3일 - 도하 (칼리파)
A조 1위
12월 9일 - 루사일
B조 2위
16강 1경기 승자
12월 3일 - 알라이얀
16강 2경기 승자
C조 1위
12월 14일 - 루사일
D조 2위
8강 1경기 승자
12월 5일 - 알와크라
8강 2경기 승자
E조 1위
12월 9일 - 도하 (에듀케이션 시티)
F조 2위
16강 5경기 승자
12월 5일 - 도하 (라스 아부 아부드)
16강 6경기 승자
G조 1위
12월 18일 - 루사일
H조 2위
준결승 1경기 승자
12월 4일 - 알코르
준결승 2경기 승자
B조 1위
12월 10일 - 알코르
A조 2위
16강 3경기 승자
12월 4일 - 도하 (알투마마)
16강 4경기 승자
D조 1위
12월 13일 - 알코르
C조 2위
8강 3경기 승자
12월 6일 - 도하 (에듀케이션 시티)
8강 4경기 승자 3위 결정전
F조 1위
12월 10일 - 도하 (알투마마) 12월 17일 - 도하 (칼리파)
E조 2위
16강 7경기 승자 준결승 1경기 패자
12월 6일 - 루사일
16강 8경기 승자 준결승 2경기 패자
H조 1위
G조 2위

16강전[편집]

2022년 12월 3일
18:00
A조 1위 경기 49 B조 2위 칼리파 국제경기장, 알라얀
2022년 12월 3일
22:00
C조 1위 경기 50 D조 2위 아흐메드 빈 알리 스타디움, 알라얀
2022년 12월 4일
18:00
D조 1위 경기 52 C조 2위 알투마마 경기장, 도하
2022년 12월 4일
22:00
B조 1위 경기 51 A조 2위 알베이트 스타디움, 알코르
2022년 12월 5일
18:00
E조 1위 경기 53 F조 2위 알자누브 스타디움, 알와크라
2022년 12월 5일
22:00
G조 1위 경기 54 H조 2위 스타디움 974, 도하
2022년 12월 6일
18:00
F조 1위 경기 55 E조 2위 에듀케이션 시티 스타디움, 알라얀
2022년 12월 6일
22:00
H조 1위 경기 56 G조 2위 루사일 국립경기장, 루사일

8강전[편집]

2022년 12월 9일
18:00
경기 53 승자 경기 58 경기 54 승자 에듀케이션 시티 스타디움, 알라얀
2022년 12월 9일
22:00
경기 49 승자 경기 57 경기 50 승자 루사일 국립경기장, 루사일
2022년 12월 10일
18:00
경기 55 승자 경기 60 경기 56 승자 알투마마 경기장, 도하
2022년 12월 10일
22:00
경기 51 승자 경기 59 경기 52 승자 알베이트 스타디움, 알코르

준결승전[편집]

2022년 12월 13일
22:00
경기 57 승자 경기 61 경기 58 승자 루사일 국립경기장, 루사일
2022년 12월 14일
22:00
경기 59 승자 경기 62 경기 60 승자 알베이트 스타디움, 알코르

3위 결정전[편집]

2022년 12월 17일
18:00
경기 61 패자 경기 63 경기 62 패자 칼리파 국제경기장, 알라얀

결승전[편집]

2022년 12월 18일
18:00
경기 61 승자 경기 64 경기 62 승자 루사일 국립경기장, 루사일

통계[편집]

득점자:[편집]

도움 기록[편집]

팀 득점 기록[편집]

팀 실점 기록[편집]

징계[편집]

수상[편집]

상 수상자
골든 볼
골든 슈

미정
미정
미정

골든 글러브
최우수 신인 선수상
FIFA 페어 플레이 트로피

드림팀[편집]

골키퍼 수비수 미드필더 공격수 감독

미정

미정

미정

미정

미정

상금[편집]

  • $8M - 조별 리그 탈락국 (16개국)
  • $12M - 16강 탈락국 (8개국)
  • $16M - 8강 탈락국 (4개국)
  • $22M - 4위
  • $24M - 3위
  • $28M - 준우승국
  • $38M - 우승국

최종 순위[편집]

최종 순위는 다음과 같다:

참고: 축구의 통계적인 법칙에 따라 연장전에서 승부가 난 경기는 똑같이 승패로 간주되지만, 승부차기를 통해 승부가 난 경기는 무승부로 간주된다.[18]

순팀 조전승무패득실차점8강전에서 탈락 16강전에서 탈락 조별 리그에서 탈락
1 경기 64 승자
2 경기 64 패자
3 경기 63 승자
4 경기 63 패자
5 경기 57 패자
6 경기 58 패자
7 경기 59 패자
8 경기 60 패자
9 경기 49 패자
10 경기 50 패자
11 경기 51 패자
12 경기 52 패자
13 경기 53 패자
14 경기 54 패자
15 경기 55 패자
16 경기 56 패자
17 A조 3위
18 B조 3위
19 C조 3위
20 D조 3위
21 E조 3위
22 F조 3위
23 G조 3위
24 H조 3위
25 A조 4위
26 B조 4위
27 C조 4위
28 D조 4위
29 E조 4위
30 F조 4위
31 G조 4위
32 H조 4위

중계권[편집]

  •   북아프리카-중동 - BeIN스포츠 (중동-북아프리카 아랍 국가들)
  • 알바니아 – RTSH[19]
  • 아르메니아 - ARMTV[19]
  • 오스트레일리아 - SBS(호주)[20]
  • 오스트리아 – ÖRF[19]
  • 아제르바이잔 – İTV[19]
  • 벨라루스 – BTRC[19]
  • 벨기에 – VRT(플란더런, 브뤼셀), RTBF(왈롱, 브뤼셀)[19]
  • 보스니아 헤르체고비나 – BHRT[19]
  • 브라질 – 헤지 글로부, 스포르TV[21]
  • 불가리아 – BNT[19]
  • 캐나다 – CTV(영어권 지상파), TSN(영어권 스포츠채널), RDS(프랑스어권 스포츠채널)[22]
  •   캐리비언 – International Media Content, SportsMax[23]
  • 중국 – CCTV[24]
  • 크로아티아 – HRT[19]
  • 대한민국 – KBS, MBC, SBS TVN
  • 키프로스 – CyBC[19]
  • 체코 – ČT[19]
  • 에스토니아 – ERR[19]
  • 유럽 연합 유럽연합 – 유럽방송연맹 (37 countries)[19]
  • 프랑스
    모나코
    안도라 – TF1(개막전을 포함한 조별리그 16경기, 프랑스 대표팀 경기, 16강전 5경기, 8강전 3경기, 준결승전 2경기, 3위 결정전, 결승전), BeIN스포츠(프랑스)(전경기)
  • 독일 – ARD, ZDF[25]
  • 조지아;– GPB[19]
  • 헝가리 - MTVA[19]
  • 아이슬란드 – RÚV[19]
  • 아일랜드 – RTÉ[19]
  • 이스라엘 – IPBC[19]
  • 라트비아 – LTV[19]
  • 리투아니아 – LRT[19]
  • 북마케도니아 – MRT[19]
  • 몰타 - PBS[19]
  • 멕시코 – Televisa, TV Azteca[19]
  • 몰도바 – TRM[19]
  • 몬테네그로 – RTCG[19]
  • 네덜란드 – NOS[19]
  • 뉴질랜드 – 스카이스포츠(뉴질랜드)[26]
  • 폴란드 – TVP[19]
  • 포르투갈 – RTP[27]
  • 루마니아 – TVR[19]
  • 세르비아 – RTS[19]
  • 슬로바키아 – RTVS[28]
  • 영국 – BBC,[출처 필요] ITV[19]
  • 미국 – 폭스스포츠(미국)(영어),[29] 텔레문도 데포르테스(스페인어)[30]

마케팅[편집]

FIFA 파트너 FIFA 월드컵 후원업체 아프리카-중동 서포터 북미 서포터 남미 서포터

  • 아디다스[31]
  • 코카콜라[32]
  • 완다
  • 현대자동차–기아자동차[33]
  • 카타르항공[34]
  • 카타르 에너지
  • 비자카드[35]

  • 버드와이저[36]
  • Byju's
  • Crypto.com
  • 하이센스
  • 맥도날드
  • 멍뉴
  •   틱톡
  • 비보 스마트폰[37]

  • GWC 물류 센터
  • Ooredoo
  • Qatar National Bank

  • Algorand
  • The Look Company

  • Claro
  • Nubank
  • UPL (회사)

각주[편집]

  1. 2018년 월드컵 경기 중 일부는 아시아 러시아 지역인 예카테린부르크에서도 열렸으며, 2002 월드컵의 경우, 개막전은 대한민국 서울에서 열렸고, 결승전은 일본 요코하마에서 열렸다.
  2. 英언론 “카타르, 월드컵 유치 과정서 500만달러 뇌물수수”
  3. “FIFA President Gianni Infantino open to CONMEBOL's request to expand Qatar World Cup”. ESPN. 2018년 4월 13일.
  4. “기로에 선 ‘월드컵 48개국 시대’”. 2019년 4월 28일에 확인함.
  5. Palmer, Dan (2017년 7월 31일). “Hosts Qatar to compete in qualifying for 2022 World Cup”. 《insidethegames.biz》 (Dunsar Media Company). 2019년 6월 6일에 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2017년 8월 15일에 확인함.
  6. “Groups finalised for Qatar 2022 & China 2023 race”. 《The-AFC.com》 (Asian Football Confederation). 2019년 7월 17일. 2019년 8월 20일에 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2019년 10월 9일에 확인함.
  7. “2022 World Cup odds: France favorite to repeat in Qatar; USA behind Mexico with 16th-best odds”. 《CBS Sports》. 2019년 4월 1일에 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2018년 9월 7일에 확인함.
  8. “Canada 4-0 Jamaica: Canadians qualify for first World Cup since 1986”. 《BBC Sport》. British Broadcasting Corporation. 2022년 3월 28일. 2022년 6월 5일에 확인함.
  9. “World Cup 2022: Wales qualifies for final after 64 year wait”. 《BBC News》. British Broadcasting Corporation. 2022년 6월 5일. 2022년 6월 5일에 확인함.
  10. “Italy 0–1 North Macedonia: European champions stunned in World Cup play-offs”. 《BBC Sport》 (British Broadcasting Corporation). 2022년 3월 24일. 2022년 3월 24일에 확인함.
  11. “FIFA/UEFA suspend Russian clubs and national teams from all competitions”. 《FIFA.com》 (보도 자료). Fédération Internationale de Football Association. 2022년 2월 28일. 2022년 2월 28일에 확인함.
  12. “FIFA Council endorses global summit to discuss the future of football”. 《FIFA》. 2021년 10월 20일. 2021년 10월 20일에 확인함.
  13. “2022 European football calendar: Match and draw dates for all UEFA competitions”. 《UEFA》. 2022년 1월 1일. 2022년 1월 5일에 확인함.
  14. “Procedures for the Final Draw for the FIFA World Cup Qatar 2022 released”. FIFA. 2022년 3월 22일. 2022년 3월 22일에 확인함.
  15. “Draw procedures: FIFA World Cup Qatar 2022” (PDF). FIFA. 2022년 3월 22일. 2022년 3월 22일에 확인함.
  16. ↑ 가 나 “FIFA World Cup match schedule confirmed: hosts Qatar to kick off 2022 tournament at Al Bayt Stadium”. FIFA.com. 2020년 7월 15일. 2020년 12월 5일에 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2020년 7월 15일에 확인함.
  17. ↑ 가 나 “FIFA World Cup Qatar 2022 Match Schedule” (PDF). FIFA.com. 2020년 7월 15일에 원본 문서 (PDF)에서 보존된 문서. 2020년 7월 15일에 확인함.
  18. “Final Tournament Standings”. FIFA.com. 2014년 7월 15일에 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2019년 5월 18일에 확인함.
  19. ↑ 가 나 다 라 마 바 사 아 자 차 카 타 파 하 거 너 더 러 머 버 서 어 저 처 커 터 퍼 허 고 노 “EBU in European media rights deal with FIFA for 2018 and 2022 FIFA World Cups™” (보도 자료). European Broadcasting Union. 2012년 3월 30일. 2012년 7월 2일에 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2012년 3월 31일에 확인함.
  20. Hassett, Sebastian (2011년 10월 28일). “SBS locks in two more World Cups”. 《Brisbane Times》. 2011년 10월 28일에 확인함.
  21. “Globo buys broadcast rights to 2018 and 2022 FIFA World Cups™”. FIFA. 2012년 2월 28일. 2012년 3월 1일에 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2012년 2월 28일에 확인함.
  22. “Bell Media lands deal for FIFA soccer from 2015 through 2022”. TSN. 2011년 10월 27일. 2013년 12월 12일에 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2011년 10월 27일에 확인함.
  23. Myers, Sanjay (2011년 10월 28일). “SportsMax lands long-term FIFA package”. 《Jamaica BServer》. 2011년 10월 29일에 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2011년 10월 28일에 확인함.
  24. “FIFA grants media rights in China PR to CCTV until 2022”. FIFA. 2017년 11월 1일. 2018년 9월 10일에 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2017년 11월 23일에 확인함.
  25. “BBC, ITV, ARD and ZDF sign World Cup TV deals”. 《sportspromedia.com》. 2015년 5월 29일에 확인함.
  26. “Sky Sports signs eight-year deal with FIFA”. 《The New Zealand Herald》. 2016년 7월 7일에 확인함.
  27. Barros, Carlos. “RTP e Seleção Nacional até 2018”. 《RTP.pt》. Rádio e Televisão de Portugal. 2015년 2월 24일에 확인함.
  28. "[1]." teraz.sk. Retrieved on 27 January 2018. "RTVS získala vysielacie práva na zápasy EURO 2020 a MS 2022."
  29. FIFA.com (2011년 10월 21일). “FIFA awards US TV Rights for 2015–2022”. 2018년 12월 13일에 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2018년 7월 14일에 확인함.
  30. Longman, Jeré (2011년 10월 21일). “Fox and Telemundo Win U.S. Rights to World Cups”. 《The New York Times》. 2011년 10월 22일에 확인함.
  31. “FIFA and adidas extend partnership until 2030”. FIFA. 2013년 11월 21일. 2017년 6월 28일에 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2017년 5월 10일에 확인함.
  32. Matthews, Sam (2005년 11월 22일). “Coca-Cola renews Fifa football sponsorship until 2022”. Campaign. 2017년 8월 27일에 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2017년 5월 10일에 확인함.
  33. “Hyundai-Kia drives on as FIFA Partner until 2022”. FIFA. 2010년 11월 24일. 2017년 6월 18일에 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2017년 5월 10일에 확인함.
  34. “Qatar Airways announced as Official Partner and Official Airline of FIFA until 2022”. FIFA. 2017년 5월 7일. 2017년 5월 11일에 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2017년 5월 10일에 확인함.
  35. Mickle, Tripp (2013년 4월 1일). “Visa extending World Cup deal for eight years”. 《Sports Business Daily》. 2017년 8월 27일에 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2017년 5월 10일에 확인함.
  36. “FIFA and Anheuser-Busch InBev announce FIFA World Cup sponsorship for 2018 / 2022”. FIFA. 2011년 10월 25일. 2017년 8월 27일에 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2017년 5월 10일에 확인함.
  37. Carp, Sam (2017년 5월 31일). “Fifa agrees massive World Cup deal with Vivo”. SportsPro. 2017년 6월 2일에 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2017년 5월 31일에 확인함.

외부 링크[편집]

  • 위키미디어 공용에 2022년 FIFA 월드컵 관련 미디어 분류가 있습니다.
  • (영어) 2022년 FIFA 월드컵 카타르 유치 위원회

Toplist

최신 우편물

태그